명리학 기초 50

사주(四柱)는 여덟 글자(八字)를 중요하게 본다.

사주(四柱)는 여덟 글자(八字)를 중요하게 본다.  사주가 과연 무엇인지 궁금한 사람들도 많다. 어떤 놈은 평생 잘 먹고 잘 사는데 나는 왜 이 모양 이 꼴이냐.누구는 호텔 같은 집에서 사는데 나는 지하도에서 잠을 자느냐,누구는 부자 집에서 태어나고 나는 왜 이리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느냐.누구는 외국 유학까지 해서 박사가 되는데 나는 중졸이냐.저 인간은 학교 다닐 때 나보다 공부도 못했고 사귀어 보아도 별 능력도 없는 거 같은데 왜 나는 이 모양이고 저 친구는 잘 나가느냐. 누구는 팔자가 좋아 가정부 쓰면서 골프나 치러 다니는데 나는 남의 집 청소나 하러 다니나.나는 회사에서 정말 성실하게 일하고 또 업무 추진능력도 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나보다 못한입사동기 홍길동은 상무인데 나는 부장이냐 등등 불평불만..

명리학 기초 06:00:19

12지지의 이해.

12지지의 이해.  지지(地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12字로 되어있다.이를 즉 십이지(十二支)라 한다. 地支도 天干과 마찬가지로 각각 음양과 오행이 매어져 있다.즉, 子, 寅, 辰, 午, 申, 戌은 陽에 속하니 양지(陽支)라 하고, 丑, 卯, 未, 酉, 亥는 陰에 속하니 음지(陰支)라 한다. 五行으로는 亥,子가 水. 寅,卯가 木. 巳,午가 火. 辰,戌,丑,未가 土. 申,酉가 金이다.  ◉1. 子水.子는 십이지의 첫 번째다. 달은 11월이다. 시간은 밤 11시부터 새벽 1시전이다.동물로는 쥐다. 子는 본래 양이므로 양수(陽水)가 되는 것이지만 육친법에는 干을 취용하는 법이라 子에 암장된 정기(正氣) 癸를 취하여 음수(陰水)로 따지게..

명리학 기초 2024.05.07

10천간의 이해.

10천간의 이해. ​◉甲木(갑목) 양목(陽木), 지지(地支)의 인(寅)과 같다.대림목(大林木), 십간 중(十干 中) 첫 번째, 큰 나무, 유실수, 상승의 기(氣), 강직, 단호, 두목, 사장, 우두머리, 책임자, 우월감, 활동적, 적극적, 경쟁에 강한 것이 특징, 자존심, 고집 때문에 직장생활 어렵다. 잘 자람, 뇌성벽력 중 腦에 속함, 성질은 따스함, 윗사람한테 억압 잘 받음, 넘어지면 잘 못 일어남(상체보다 하체 약하기 때문), 군인, 경찰계통 직업, 입이 4개이기 때문에 학자, 법관, 못 배워도 말을 잘함, 융통성 약함, 갑(甲)이 극(剋)을 받으면 머리에 이상 생길 수도, 받는 것 보다 주는 것을 좋아하는 군자의 덕, 한번 결정한 것은 잘 뒤집지 않는다. 경쟁자 있어야 더 잘하고, ..

명리학 기초 2024.05.04

명리학의 역사.

명리학의 역사. 사주명리학은 사람이 태어난 년,월,일,시(年,月,日,時) 4기둥(四柱)의 天干과 地支 8개 글자(八字)의 음양오행을 이용하여 운명을 예측하는 학문이다. 고대(古代)에는 주역(周易)에 의한 음양설(陰陽說)이 존재했고, 전국시대(戰國時代)에는 태양의 영향을 받는 오행성(五行星)으로 운명을 예측하는 오행설(五行說)이 전파되기 시작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年,月,日,時의 干支를 가지고 時間을 기록한 것은 서기 126년 동한(東漢) 순재(順宰) 以後이다. 당(唐)나라의 이허중(李虛中)은 년주(年柱)의 납음(納音)을 위주(爲主)로 운명을 판단하던 당사주(唐四柱)를 만들었고, 生年,月,日,時의 생극제화(生剋制化)에 의한 이치로 통변(通辯)을 하여 명리학(命理學)의 기초를 다졌다. ..

명리학 기초 2024.05.02

천간 활용.

천간 활용. 1) 갑목. 생각은 많이 하나 행동력이 약하다. 피부 바깥은 거칠고 강하나 속은 여리고 약하다. 남에게 약하게 보임을 싫어하고 밖으로 부풀려 보이도록 하려는 성질이다. 자기보호 본능이 아주 강하다. 이런 성정은 사주 상황에 따라 또 어떤 지지에 뿌리박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 질수도 있으나 대강 그렇다는 말이다. 갑은 첫머리이므로 어떤 조직이던 머리의 역할을 많이 한다. 사물로는 막대기, 목재, 소나무, 잣나무 등 일반적으로 큰 나무다. 갑은 토를 좋아하니 나무는 땅에 뿌리를 박아야 하기 때문이다. 2) 을목. 새가 앉아 있는 모양, 줄기가 뻗어나는 모양,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 연한 수풀, 싹이요 넝쿨이다. 화초다. 약하지만 진취성있고 좌절하지 않는다. 바람에 흔들리는 잎새니 의지할 곳이 제한..

명리학 기초 2024.03.02

마음의 음양오행

- 마음의 음양오행(陰陽五行) - 양간(陽干,甲,丙.戊,庚,壬)은 직선적이고, 거취가 분명하며, 물욕도 상당하며, 명확하게 의사를 표현, 남의 지배를 받기를 싫어한다. 甲木의 적극성, 丙火의 맹렬함, 戊土의 고집, 庚金의 강인함, 壬水의 활발함. 음간(陰干, 乙,丁,己,辛,癸)은 다소곳하여 소극적이며 항상 행동에 앞서서 생각을 깊게 하는 성분. 오행의 성격(五行의 性格) 1. 木性ㅡ甲,乙 木性은 어질다, 木日生으로 목이 많으면 인자하고, 측은지심이 있다. 그러나 너무 많으면, 어질지 못하고 질투심이 있으며, 변덕스럽고 마음이 잘다. 모자라면, 심화가 부정하고, 하는 일에 절도가 없으며, 인색하다. 木日生으로 사주에 불(火)이 너무 많으면 金,水, 또는 습토가 있어 왕성한 불을 억제하면, 겸손하고, 예의가..

명리학 기초 2024.02.27

오행의 장부

오행의 장부 오행(五行)의 장부(腸腑) 火; 심장. 눈. 치아. 어깨. 위장. 신경. 土; 위장. 소장. 지라. 대장. 金; 폐. 간. 입. 대장. 소장. 철분. 손발톱. 水; 방광. 자궁. 허리. 수족. 木; 간. 폐. 몸. 사지. 눈. 머리. 이것이 四柱에 弱하거나 旺하면 病이다. 大運이나 歲運에서 오는 運도 잘 보고 판명해야 한다. 지지(地支)의 신체부위. 子; 산증. 자궁. 방광. 다리. 귀. 허리. 丑; 위장. 지라. 비장. 입. 寅; 사지. 몸. 간. 신경. 卯; 눈. 손. 담. 간. 辰; 허리. 다리. 자궁. 방광. 巳; 눈. 심장. 치아. 피부. 다리. 신경. 午; 심장. 눈. 피부. 위장. 잠. 신경. 남자는 힘이 없다. 未; 비장. 위장. 지라. 申; 해소병. 다리 얼굴. 배꼽. 손. ..

명리학 기초 2024.02.24

오행의 변화

오행의 변화 사주 중에서 너무 왕성한 오행의 판단. *水多하면 - 제일 먼저 官인 土가 죽는다. 식상인 木은 물에 잠수하고 인성인 金은 녹이 쓸고. 재성인 火는 불을 피우지 못한다. [풀이] 사주 중에 물이 많으면 흙은 물에 잠겨 본성을 잃어버리고, 나무는 물에 잠수하고 흙의 기운을 못 받아 죽어가고, 쇠는 물에 잠기면 녹이 쓸어 제 몸을 부식하게 하고, 물에 젖은 나무는 불을 피울 수 없다. *木多하면 - 관성인 金은 우그러지고 식상인 火는 까물어 꺼지고 인성인 水는 말라 버리고 재성인 土는 먼지가 된다. [풀이] 사주 중에 나무가 많으면 쇠는 파묻혀 힘을 쓸 수 없고, 나무를 많이 넣으면 불을 까물어 져서 피우지 못하고, 물은 많은 나무를 키울 수 없어 고갈되고, 흙은 제 기능을 상실하여 먼지가 된다..

명리학 기초 2024.02.22

육충의 통변.

육충의 통변. 육충(六沖)의 구성. 寅申 卯酉 辰戌 巳亥 午子 未丑 沖은 깨진다. 해당 六親의 散失을 의미한다. 반드시 死亡을 의미하지는 않으나 해당 글자를 써먹지 못한다. 예를 들자면... ○壬○○ ○○寅申 壬水 입장에서 寅木 食傷과 申金 印星이 깨지는데, 근묘화실(根苗花實)을 적용하면 날 때부터 申金 印星이 깨지기 시작한다. 이유는? 寅木 食傷 때문에. 食傷은 친할머니. 印星은 어머니. 어머니가 깨지기 시작한다. 친할머니 때문에 六親 이외에 食傷은 進路 혹은 노는 거, 印星은 공부. 날 때부터 공부가 깨지기 시작한다. 이유는? 놀아서. 16세가 넘어가면 寅木이 깨진다. 이유는? 申金 印星 때문에. 어머니가 친할머니 등살 때문에 괴로웠고, 그 以後 어머니의 복수, 그 결과로 친할머니 역시 無力해진다. ..

명리학 기초 2024.02.20

인성의 육친 성격.

인성의 육친 성격. 印星의 六親 性格. 9. 편인(偏印) 偏印은 나와 같은 陰陽이 나를 生하는 五行이다. 財星이 없어 偏印을 剋制하지 못하고 食神을 보면 倒食(도식)이라고 한다. 나에게 귀중한 神인 食神을 剋制한다고 하여 倒食이라고 하는 것이다. 六親으로는 이모, 계모, 조부에 해당한다. 눈치가 빠르고 재주가 있으며 임기응변에 능하다. 偏印은 기회주의 성격이 농후하다. 항상 자기 물건을 챙겨놓는 버릇이 있으며 누가 나의 것을 뺏어가지 않는가 하는 불안한 심상을 지니고 있다. 다소 고독한 성격으로 외로움을 잘 탄다. 어느 때는 성인군자 같고, 어느 때는 소인배 같은 종잡기 힘든 인물이다. 불평불만이 많아서 가족 간에 친함이 없고, 특히 어른을 모시기를 싫어한다. 대인관계가 불안함은 그의 행동이 뻣뻣하기 때..

명리학 기초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