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절집 27

전북 김제. 망해사 낙서전(樂西殿) 전북 문화재자료 제128호.

망해사(望海寺) 2020 한국관광공사 비대면 관광지 100선 선정되었다.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1004 (심포10길 94) 망해사는 754년(경덕왕 13) 통장법사(通藏法師)가 창건한 후 성쇠를 거듭하다가 1609년(광해군 1) 진묵대사(震默大師)가 중창하였다. 1933년부터 다시 본전을 개수하였고, 1977년에는 보광명전(普光明殿)· 칠성각(七星閣)· 낙서전을 복원· 중수하였다. 1984년에는 보광명전과 칠성각을 헐고 그 자리에 대웅전을 새로 지었으며, 1989년 종각을 새로 지었다. 망해사 이정표와 애국지사 곽경열 선생 추모비 이정표가 함께 붙어있다. 망해사로 향하는 길목. 망해사 안내판이 길손을 반긴다. 안내판 바로 옆에 부도탑이 있다. 잠시 후 망해사 도량에 들어섰다. 도량 앞에..

한국의 절집 2024.02.07

전남 나주. 문성암(文聖庵) 백양사 말사.

나주. 문성암(文聖庵) *주소: 전남 나주시 다도면 암정로 325-37. 문성암은 나주 덕룡산 아래 좁은 산간에 자리한 대한 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 백양사의 말사이다. 과거 운흥사와 관련된 문수암이 위치하였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곳에 1987년 다정스님이 문성암을 창건하였다. 따라서, 문성암의 역사가 오래지 않아 자료가 많지 않으나 다정스님의 글과 글씨가 현판이나 주련이 많이 있다. 문성암의 건축기법은 마치 일본식 건물과 비슷하며 2층 건물의 특이한 구조로 1층은 종무소로 사용하며 2층은 참회전(懺懷殿)이라 하여 법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문성암의 특이한 점은 도량에 불상이나 석탑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처님 모시는 법당이 2층에 있으며 2층의 처마 아래에 문성암(文聖庵)이라는 현..

한국의 절집 2024.01.24

전남 나주. 반남박씨 수호사찰. 석천사(石泉寺)

반남. 석천사(石泉寺) 해탈문. 연락처: 061-336-0504. 석천사(石泉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이며 반남박씨(潘南朴氏) 종중(宗中)에서 문중 자손들의 번영과 만복을 위하여 세운 사찰이다. *주소: 전남 나주시 반남면 석천리 272 (석천로 51-30) 석천사 안내판. 석천사(石泉寺) 석천사(石泉寺)는 반남박씨(潘南朴氏) 시조(始祖) 호장공(戶長公) 박응주(朴應珠)의 묘역(墓域)을 수호(守護)하는 사찰로서 조선조 태종(太宗: 6년: 1406)에 좌의정 박은(朴은: 6세)이 묘역 건너편 자미산 산록에 창건하였으며 그 후 이곳 석천리로 옮겨지었다. 이 사찰은 10世 인성왕후(인종대왕비)와 13世 의인왕후(선조대왕비)께서 수호전교(守護傳敎)를 내림으로써 시조묘역 원찰(願刹)로서의 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국의 절집 2023.11.08

전남 영암. 법흥사(法興寺)

법흥사 대웅전. *소재지: 전남 영암군 금정면 연지길 121. 법흥사를 찾아가는 길은 상당히 구불구불한 편도 1차로길을 산속으로 파고들어 가야했다. 법흥사를 찾아간 주 목적은 석조관음보살좌상이 있다기에 찾아갔으나 직접 눈으로 목격하지 못해 카메라에 담지 못하고 돌아서려니 못내 아쉬움이 컸다. 법흥사는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노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6·25 전쟁 직후인 1953년에 창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과 영암군 금정면 경계에 있으며, 국도 23호선에서 금정면사무소를 지나 안노리 모정 마을 안쪽으로 약 2.5㎞ 들어가면 나온다. 절의 창건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1961년에 편찬된 『영암군지』의 불우(佛宇) 항목에 의하면 정보현(丁寶鉉) 대사(..

한국의 절집 2023.08.01

전남 영암. 전통사찰. 축성암(祝聖庵)

축성암 극락보전. 주소: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1841-1번지. 축성암은 1920년대 일제초기에 창건된 전통사찰로서 목포시에 인접한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일대가 1990년대초 한라조선소 조성단지로 편입되면서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1.5㎞ 떨어진 현 장소로 1994년 이전하였다. 한지에 묵서한 조성발원문(가로 118㎝×세로 26㎝)에 따르면 1700년(숙종 26) 해남 성도암에서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 웹사이트 - 아미타삼존불. 관세음보살. 나반존자. 칠성단. 신중단. 대웅보전. 영암 축성암 목조 나반존자상 안내문. 靈巖 祝聖庵 木造 那畔尊者像 안내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0호. 나반존자상은 소발의 머리에 상호는 원만하며, 눈과 코 입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한국의 절집 2023.07.25

전남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聖風寺址 五層石塔)

성풍사지 오층석탑(聖風寺址 五層石塔) 보물 제1118호. (1992.01.15.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 533-1. ​ 성풍사터(聖風寺址)에 서있는 탑으로, 전체의 무게를 받쳐주는 기단(基壇)을 2단으로 두고, 5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새겨 쌓아 올렸으며, 몸돌의 모서리마다 건물의 기둥을 세운 듯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얇으며, 밑면의 받침이 3층까지는 4단이고, 4·5층은 3단으로 줄어들어 일정하지 않다. 처마의 네 귀퉁이는 아래에서 올려볼 때 뾰족하게 보일 만큼 날카롭게 솟아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으로는 노반과 복발만이 ..

한국의 절집 2023.07.24

전남 영암. 도선국사비각(道詵國師碑閣) 보물 제1395호.

도선국사비각(道詵國師碑閣) 보물 제1395호. *주소: 전남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도갑사) 도갑사 도선·수미비는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이首)를 구비한 석비로 도갑사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조선시대 수미왕사의 행적을 기록한 높이 517㎝ 규모의 석비이다. 석비가 자리한 탑구(塔區)는 수매의 판석으로 조성했는데, 전면의 구도는 방형이지만, 뒷면은 귀부의 형상과 같이 ‘ㅅ’자형으로 조성해 전체적으로는 6각형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귀부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약간 튼 형태인데 입에는 상·하 8개의 이빨로 여의주를 꽉 물고 있는 형상이다. 코는 큼직하며, 반구형의 양 눈은 부리부리하게 표현하였다. 등에는 전형적인 귀갑문 대신 ..

한국의 절집 2023.07.22

전남 영암. 전남 문화재자료 제79호. 도갑사(道岬寺)

월출산 도갑사 일주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1984년 2월 29일 지정)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말 국사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원래 이곳에는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이 있었으며 도선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곳이다. 전설에 의하면, 도선의 어머니 최씨(崔氏)가 빨래를 하다가 물 위에 떠내려 오는 참외를 먹고 도선을 잉태하여 낳았으나 숲 속에 버렸다. 그런데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그를 날개로 감싸고 먹이를 물어다 먹여 길렀으므로 최씨가 문수사 주지에게 맡겨 기르도록 하였으며, 장성한 그가 중국을 다녀와서 문수사 터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1456년(세조 2)신미(信眉)와 수미(守眉)가 중건..

한국의 절집 2023.07.19

전남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259호)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靈巖. 望月寺 石佛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2002.11.27. 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호산로 611-35 (이천리 산 159-7) 당우는 극락전과 약사전으로 규모는 조그만 절집이지만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로 지정되어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라 할 수 있다. 망월사 극락전. 극락전 현판. 극락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지장탱화. 삼성탱화. 신중탱화. 범종각을 대신한 극락전에 안치한 호산 망월사라고 새겨진 종. 석불좌상을 모신 약사전. 약사전 현판. 망월사 석불좌상 안내문. 망월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두께가 32㎝나 되는 두꺼운 돌에 양각을 한 여래좌상이다. 불신 뒤에는 배(舟) 모양의 광배가 ..

한국의 절집 2023.07.18

전남 해남. 미황사(美黃寺)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주문. 미황사: 전화 061-530-5227. *주소: 전남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247. 미황사(美黃寺)는 신라 경덕왕 8년(749년) 창건 이후 각종 역사 문화적 유적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달마산 경관과 조화를 잘 이루는 풍치 절경의 산사이다. 달마산은 삼황(三黃)이라고 하는데 불상과 바위, 석양빛이 조화를 이룬 것을 말하며, 바위병풍을 뒤로 두르고 서해를 내려다보며 도솔봉-달마산 능선에서 내려다보이는 남해의 섬과 미황사. 달마산 일대의 수려한 경관, 산능선부에 풍화에 매우 강한 규암층이 길게 노출되면서 발달한 흰색의 수직 암봉들이 병풍같이 늘어서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난 경승지이다. 미황사에 주석하고 있는 지운스님과 현공스님, 금강스님이 1989년에 주인 없이 비어있던 미..

한국의 절집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