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09

극설교집의 여명.

극설교집의 여명. 丁 乙 壬 庚丑 酉 午 戌 (空亡: 午未) 乙 丙 丁 戊 己 庚 辛 (대운: 8)亥 子 丑 寅 卯 辰 巳 본 명조는 乙木 日主가 午月 염천에 출생하여 午戌로 半火局을 이루고時干에 丁火가 透干하여 천간유인력(天干誘引力)으로 火의 기세가 막강하다. 또한 日支와 時支에 酉丑으로 半金局을 이루며 年干에 庚金이 透干하니天干誘引力으로 金의 기운도 왕성하니 乙木의 입장에서는 火는 日干의기운을 洩氣하고 金은 日干을 剋하니 剋泄이 겸하여 극설교집이라 하겠다. 그런데 月干의 壬水가 弱한 일간 乙木을 生하느라고 안간힘을 쓰고 있으니從하기도 어려워 印綬로 用神을 삼는데 壬水는 時支의 丑土에 着根하나매우 미약한 것이 아쉽다. *본 명조 주인공은 지난 2018년에 1살 년하 남성과 결혼을 하였고초임(初姙)..

명리학 실전 2025.06.12

전남 보성. 서재필 기념공원

서재필 기념공원 안내판. *소재지: 전남 보성군 문덕면 용암리 1024. 서재필 기념공원은 "송재(松齋) 서재필(1864~1951)의 얼을 기리고 호국정신과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조성했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것과 똑같은 크기로 독립문을 복원하고, 서재필이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던 외갓집인 생가를 복원하였다. 또한 사당과 생가를 잇는 2km 길이의 송재로(松齋路)와, 주암호변에 조각공원을 조성하였다. 그밖에 유물전시관, 동상, 토산품센터, 야외공연장, 야외촬영장 등이 주암호의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다. 서재필 기념공원 안내문. 송재 서재필 선생상. 독립문(獨立門) 개화문(開化門) 선양관(宣揚館) 선각재(先覺齋) 자강문(自疆門) 송재사(松齋祠)..

발길을 따라 2025.06.11

양팔통에 조열한 사주 (남명)

陽八通에 燥熱한 사주 (男命) 庚 丙 戊 戊 寅 寅 午 戌 (空亡: 戌亥) 96 86 76 66 56 46 36 26 16 06戊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辰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未 위 命造는 陽八通의 四柱로서 丙火가 午月에 出生하여 地支에 寅午戌 眞三合 火局을 이루어 매우 燥熱하다. 사주 구성상 양일간(陽日干)의 록겁격(祿劫格)에는 剋하는 六神으로 日干을 剋制해야 하는 게 常理인데 剋하는 官星이 없어 旺盛한 日干의 氣運을 다소라도 洩氣시키기 위해 메마른 戊土를 이용하여 旺盛한 火氣를 洩하며 時上에 있는 庚金을 生하고자 하는데 猛烈한 火氣에 메마른 戊土가 庚金을 제대로 保生시킬 수가 없으니 매우 애석하다. 위 주인공의 인생사를 살펴보면 父親이 初婚에 실패하고 ..

명리학 실전 2025.06.10

전남 보성. 벌교 홍교(虹橋) 보물 제304호.

보성 벌교 홍교(寶城 筏橋 虹橋) 보물 제304호. *주소: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번지. 홍교(虹橋)란? 다리 밑이 무지개같이 반원형이 되도록 쌓은 다리를 말하며, 아치교· 홍예교· 무지개다리라고도 한다. 이 다리는 현재 남아 있는 홍교(虹橋)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현재도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다. 예전에는 이 자리에 뗏목을 이은 다리가 있어 벌교(筏橋)라는 지명이 생겨났으며, 조선 영조 5년(1729)에 선암사의 한 스님이 돌다리로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 그 후 영조 13년(1737) 다리를 고치면서, 3칸의 무지개다리로 만들어졌고, 1981∼1984년까지의 4년에 걸친 보수공사를 통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무지개 모양을 한 다리 밑의 천장 한 가운데 마다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문화재 탐방 2025.06.09

인수용상격(印綬用傷格) 여명

인수용상격(印綬用傷格) 여명 丙 丁 乙 戊午 亥 卯 午 戊 己 庚 辛 壬 癸 甲申 酉 戌 亥 子 丑 寅 이 四柱는 丁火 日干이 卯月에 生하여 時干에 丙火를 보고 年支와 時支에 午火를 보게 되니 日干이 太强한 사주가 되었다. 女命은 관성(官星)을 爲主로 추명(推命)해야 하지만 日支에 있는 亥水 官星은 卯月과 合을 이루며 乙木이 天干에 투출하여 천간유인력(天干誘引力)으로 亥水는 無力하게 되어 官星으로 역할을 할 수가 없게 되었다. 다만 旺者는 의극설(宜剋洩)이라 剋者인 亥水는 無力하여 쓸 수가 없으니 洩者인 午火에 生을 받아 강력한 戊土 食傷으로 용신한다. 설령 亥水 官星으로 用神을 한다 치더라도 木火 氣運이 强한 가운데 水氣를 도와주는 金氣도 없으니 차라리 有力한 食傷 戊土로 用神하는 것이 사주 구조상 바..

명리학 실전 2025.06.07

전남 보성. 해평리 석장승. 전남 문화재자료 제55호.

해평리 석장승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55호.(1984.02.29) *주소: 전남 보성군 득량면 해평리 564-1.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남도바닷길'에 선정된 안내문. 해평리 석장생 안내판. 장승은 마을입구나 길가에 자리하여 그 마을의 수문신· 수호신 등의 구실을 하는 민간신앙의 한 형태이다. 이 석장승은 남·여 한 쌍의 모습으로, 마을 입구 길 양쪽에 1구씩 놓여 있다. 오른쪽 높은 곳의 돌담사이로 서 있는 것이 '상원주장군'이고, 길 건너 낮게 서 있는 것이 '하원당장군'이다. 상원주장군은 여자의 형상으로, 민머리에 얼굴은 거의 평면이다. 생김새는 주름진 이마에 갈매기 모양의 눈썹을 가지고 있으며 동그란 눈, 방망이 모양 코, 뚜렷한 콧구멍 등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약간 벌린..

문화재 탐방 2025.06.06

인수용상격(印綬用傷格) 남명

인수용상격(印綬用傷格) 남명 丙 丁 辛 丙午 卯 卯 辰 66 56 46 36 26 16 06戊 丁 丙 乙 甲 癸 壬戌 酉 申 未 午 巳 辰 이 사주는 丁火 日干이 卯月(印綬)에 생하여 卯日을 만나니 印綬가 왕하다.또한 年干 丙火 時干 丙火 時支에 午火를 만나니 日干은 極旺할 정도로 강왕하다. 인수격에 인수가 왕하면 재성으로 왕한 인수를 조절해야 길하여 월간 辛金으로 용신하려는데 년간 丙火가 丙辛으로 合하여 용신으로 쓸 수 없게 되어 매우 아쉽다. 그런고로 하는 수없이 년지의 濕한 辰土로 용신을 삼아 왕한 木기운과 火기운을 洩氣하려는데 月에 있는 卯木이 류취방합(類聚方合)하려고 유혹하니 이 또한 用神이 專一하기 어려우니 기쁜 일은 아니다. 또한 대운마저 일간과 용신에게 불리하게 진행되고 있어 매우 아쉬운 ..

명리학 실전 202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