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78

사주 숙어 모음.

사주 숙어 모음. 1. 三元之理(삼원지리) 萬法之元(만법지원)ː 天地人의 理致는 萬法의 근원이다. 2. 人道順應(인도순응) 無禍平安(무화평안)ː 사람이 道理에 순응하면 禍가 없이 평안하다. 3. 人是悖逆(인시패역) 百端禍反(백단화반)ː 사람이 道理에 어긋나면 禍를 당하며 온갖 일이 안 된다. 4. 先天何處(선천하처) 要知來處(요지래처)ː 전생(과거)을 알고자 한다면 현재 자신의 처지를 돌이켜 보라. 5. 後天何處(후천하처) 要知去處(요지거처)ː 후생(미래)을 알고자 한다면 현재의 행위를 살펴보아라. 6. 陰陽之法(음양지법) 洛書基源(락서기원)ː 만물이 陰陽五行의 理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원은 하도낙서(河圖洛書)이다. ​7. 天地順應(천지순응) 精和平溫(정화평온)ː 천지에 순응하면 정화하고 ..

명리학 연구 05:00:36

육친관계 통변법.

육친관계 통변법. ■육친(六親)관계와 사건사고에 관한 간단한 통변예문. 여기에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중요한 六親관계와 사건사고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는 吉함과 凶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 단지 육친관계(六親關係)와 발생하는 사건사고의 開運法에만 활용하기를 바란다. ​*장모님을 모셔야 하는 사주. ○ 丙 ○ ○○ 辰 酉 ○ "辰酉 六合"으로 장모님인 辰土 食神과 妻인 酉金 正財가 육합(六合)을 하니 장모님과 配偶者가 日干의 집으로 들어오는 形象이 된다.​通辯은 장모님에게 극진하게 잘 하는 命이거나 아니라면 장모님을 모시고 살아야 하는 命이라고 通辯해야 하는 것이다. ​ *부모님을 모시게 되면 분란이 생기는 사주. ○ 丙 ○ ○○ 子 卯 酉 月支의 卯木 正印이 母親이고 年支 酉金 正財가 妻가 ..

명리학 연구 2025.04.29

강약과 쇠왕의 구별.

강약(强弱)과 쇠왕(衰旺)의 구별. 사주의 원칙은 十星의 衰旺으로 추리한다.사주의 모든 글자는 월령(月令)에 귀속(歸屬)시켜 희기(喜忌)를 관찰한다.강약(强弱)과 휴왕(休旺)의 차이를 알아서 왕쇠(旺衰)를 판정한다.强弱을 구분하는 방법은 地支에 通根하여 透하면 强하다고 한다.(理法) 月令은 藏干 + 季節을 다룰 때 쓰는 말이고 月支는 季節을 말할 때 쓴다.月令 藏干이 透하면 强하다.月令 正氣가 透하면 旺하다. 旺하다는 말은 正氣. 즉, 季節을 얻을 때 사용한다. 甲□ □子​甲木이 月令에서 뿌리 즉 藏干을 못 얻었다. 그래서 强하지 않다.휴왕(休旺)에서 보면 子月의 甲木이니 旺相氣이다. 旺相하니 休旺에서 旺이라고 한다.休旺이란 旺相休囚死의 休旺구분이다. 旺相休囚死에서 旺,相은 旺이고 休,囚,死는 休이다..

명리학 연구 2025.04.26

격국과 억부법.

격국과 억부법. 격국용신과 억부용신의 통합적 운용의 핵심은 格局 상황에 따라서 格局과 日干을 抑扶하되 그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함에 있다. ​격국(月令)의 억부 = 월령(格局)이 透干된 경우일간(日干)의 억부 = 월령(格局)이 透干되지 못한 경우 .= 월령과 일간이 同一한 경우 ​★월령(月令) 격국법(格局法)이란?寅月生으로 月令의 本氣인 甲이나 乙이 天干에 透干된 경우.예를 들면... 己 庚 丙 甲丑 戌 寅 辰 寅月의 本氣인 甲木이 年上에 透出되어 偏財格이다. ★일간(日干)의 억부법(抑扶法)이란?寅月生이 天干에 甲이나 乙이 透干되지 않은 경우는 月令 格局論으로 간주하지 않고 月令의 正氣만으로 格局을 잡으며 이때는 月令 格局法으로 四柱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日主의 身强,弱을..

명리학 연구 2025.04.24

양간종기 부종세 음간종세 무정의

양간종기 부종세 음간종세 무정의陽干從氣 不從勢 陰干從勢 無情義 陽干은 氣에 從하지만 세력에 從하지 않으나陰干은 勢를 따라 從하므로 무정의(無情義)라 한다. 例... 양간(陽干)의 경우. 戊 甲 庚 乙 辰 午 辰 丑 87 77 67 57 47 37 27 17 07 辛 壬 癸 甲 乙 丙 丁 戊 己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財格에 身弱하지만 辰月의 季春生으로 節氣가木의 季節이므로 비록 身弱하나 旺盛한 財에 從하지 않고辰中의 比(乙)와 印(癸)을 用하여 財旺身弱格으로 간주한다. ​ 음간(陰干)의 경우. 丙 乙 戊 丙 戌 巳 戌 辰 86 76 66 56 46 36 26 16 06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子 亥 財格에 財旺身..

명리학 연구 2025.04.22

한난(寒暖)과 조후(調候)

한난과 조후. 한난조습론(寒暖燥濕論)천간(天干)에는 한난(寒暖)이 있어 만물(萬物)이 發育하니 과(過)하면 불과하다.지지(地支)에는 조습(燥濕)이 있어 품휘(品彙)가 生成하니 편(偏)하면 불과하다.*註. 품휘(品彙) : 여러 가지 종류의 물건. 한난조습(寒暖燥濕) 처리법.천간(天干)은 한난(寒暖)을 다루고, 지지(地支)는 조습(燥濕)을 다룬다.한(寒)의 대표는 천간(天干)의 癸水이고 난(暖)의 대표는 천간(天干)의 丙火이다. 조(燥)는 지지(地支)의 寅,午,戌,巳,未이며, 습(濕)은 지지(地支)의 申,子,辰,亥,丑이다.한난조습(寒暖燥濕)은 간지(干支)에 구애(拘碍)없이 조절(調節)이 可能하다.  천간(天干) 한(寒): 庚, 辛, 壬, 癸 中 대표적인 글자는 癸水.난(暖): 甲, 乙, 丙, 丁 中 대표적인..

명리학 연구 2025.03.13

간명(看命)의 기본원리(基本原理)

간명(看命)의 기본원리(基本原理) 1. 일주(日主)의 强弱.日主를 기준하여... ①月支. ②日支가 旺(比劫) 相(印綬)이면 身强이고, 休(食傷) 囚(財) 死(官殺)면 身弱이다. 그런데 月支가 休囚 되고 身弱者는 생조신(生助神)인 比劫. 印綬가 用神이 된다. 그러므로 用神은 형평점(衡平點)이고 조화신(調和神)이 된다. 日主. 즉, 君主인 나를 대신하므로 用神은 强해야 자기 맡은 바 역할을 다할 수 가 있으며 用神이 弱하면 無力하여 大業을 成就하기가 더디고 어렵다. ③六親의 强弱.해당 六親者가 强하면 實하고 弱하면 虛하여 각각 吉凶이 다르게 나타난다.吉神은 强하면 有利하고 弱하면 不利하며, 凶神은 그와 반대다.  2. 조후론(調候論)추우면 따뜻한 것을 원하고 뜨거우면 서늘한 것을 찾는 것이 인지상정(人之常情..

명리학 연구 2025.01.23

명리문답(命理問答)

명리문답(命理問答) 원신투출(元神透出)문> 원신투출이란?답> 원신투출이란 月支 본신(月令 神)이 天干에 透干되어 있다는 것이다.​註: 元神이란 반드시 根이 있는 神이 天干에 透出되어 있는 것을 말함인데 根이 있는 神이란가령 寅月生은 五行상 木인데 天干으로 甲,乙 木이 透干되어 있는 경우를 元神透出이라 한다.​元神이 透出되어 있을 경우에 元神의 힘이 强하게 작용하는데 元神이 되는 六神이 透出되었을 경우즉 財 元神이니, 官 元神이니 하며 大格者들이 많으며 大成功하는 者가 많다.    진가상관(眞假傷官)​문> 眞假傷官이란 무엇인가? 답> 眞傷官. 假傷官을 말함이다. 註: 眞傷官이란 月令에 傷官을 놓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니 가령 巳午未月에甲,乙木日主에 해당하는 것이며 辰,戌,丑,未月令에 丙,丁火日主를 이르는 말..

명리학 연구 2025.01.16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지지(地支)에서는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는데, 그로 인한 세력의 구성이 달라진다.지지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구성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방합 - 삼합 - 천간유인력 - 육충(육합) - 반합.​ 방합(方合)은인묘진 동방 합.사오미 남방 합.신유술 서방 합.해자축 북방 합.  삼합(三合)은해묘미 목국 합인오술 화국 합사유축 금국 합.신자진 수국 합.  천간유인력(天干誘引力)은方合이나 三合 중에 2글자만 지지(地支)에 있으며 方合이나 三合의 原神인 五行이天干에 透出되어 있을 때 천간유인력이 성립되며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 예를 들면 寅卯辰 동방 木의 寅卯辰 중 2글자만 地支에 있고 天干에 甲이나 乙이透干되었을 경우는 천간유인력이 성립되는데 이때 甲이나 乙 中에 1개만 透干되어야 한다...

명리학 연구 2024.12.28

육합의 통변 (2)

육합의 통변 (2) 六合을 이루는 2개의 氣運이 모두 상실된다는 개념을 도입한 추론입니다.  1. 남성 (‘55년생) 癸 戊 己 乙亥 寅 卯 未 1) 從殺格. 丙子大運에는 시행 착오를 많이 겪었다고 함. 2) 대기업 CEO로 근무 중임. 3) 세계 곳곳에 세컨드를 두고 있을 정도로 여성 편력은 심함. 4) 寅亥 合.*말년의 合.*재성(여자)을 얻기 위해서 관성(자기 절제력. 체모)을 돌보지 않는다.->관성의 상실. *사회적 권위 때문에 그 여성들을 노출시킬 수 없을 것이고 재물도 나간다.->재성의 상실.   2. 남성(‘1980생) 己 乙 辛 庚卯 巳 巳 申 42 32 22 12 2丙 乙 甲 癸 壬戌 酉 申 未 午 1) 외국어 고등학교 졸업. 고려대 법대 졸업. 2) 고교 때 학생회장. 3) 외무고시 준..

명리학 연구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