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1

전남 나주. 풍산홍씨 집성촌. 도래마을

도래마을.(풍산홍씨 집성촌 마을)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199 (동력길 16) 도래마을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茶道面) 풍산리(楓山里)에 위치한 한옥마을로써 풍산홍씨의 씨족마을이다.마을 뒷산인 감태봉의 계곡에서 내려온 물이 세 갈래로 나뉘어 흘러 마을을 통과하는데, 세 물줄기를 따라 마을이 세 갈래로 갈라져 '내 천(川)'자 형국을 이루고 있다 하여 도천(道川)마을로 불리게 되었다.도천의 '천(川)'의 우리말이 '내'이므로 이후 '도내'가 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음하기 쉽도록 '도래'로 변하게 된 것이라 전해진다.마을은 1480년경부터 형성되어 본래 문씨, 김씨, 최씨 등이 살고 있었으나, 조선 중종 때 풍산홍씨 홍한의가 기묘사화를 피해서 이곳에 정착하면서 집성촌을 이뤘다고 합니다..

발길을 따라 2025.07.02

육친관계 통변법.

육친관계 통변법. ■육친(六親)관계와 사건사고에 관한 간단한 통변예문. 여기에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중요한 六親관계와 사건사고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는 吉함과 凶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 단지 육친관계(六親關係)와 발생하는 사건사고의 開運法에만 활용하기를 바란다. ​*장모님을 모셔야 하는 사주. ○ 丙 ○ ○○ 辰 酉 ○ "辰酉 六合"으로 장모님인 辰土 食神과 妻인 酉金 正財가 육합(六合)을 하니 장모님과 配偶者가 日干의 집으로 들어오는 形象이 된다.​通辯은 장모님에게 극진하게 잘 하는 命이거나 아니라면 장모님을 모시고 살아야 하는 命이라고 通辯해야 하는 것이다. ​ *부모님을 모시게 되면 분란이 생기는 사주. ○ 丙 ○ ○○ 子 卯 酉 月支의 卯木 正印이 母親이고 年支 酉金 正財가 妻가 ..

명리학 연구 2025.07.01

전남 보성. 이용우 가옥(李容禹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보성 이용우 가옥(李容禹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소재지: 전남 보성군 보성읍 예동길 46-5(옥암리 580) 옥암리 마을에 들어서면 맨 먼저 이용우 가옥을 만나게 되는데, 안타깝게도 대문이 잠겨져 있어 내부를 자세히 살펴볼 수가 없다. 하는 수없이 가옥 주위를 두루 살펴보니 가옥을 대대적으로 보수공사 중이었다. 보성 이용우 가옥은 중요민속자료 제163호로 1984년 1월 14일 지정되었으며 1900년대 초에 지은 마을지주의 집으로 안채는 1908년에 지었고 사랑채도 당시에 지었다고 생각되며, 곳간채는 이보다 늦게 지어졌으며. 대문채와 헛간채는 지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 한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보성 이용우 가옥 안내문.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이용우 가옥 비석. ..

문화재 탐방 2025.06.30

양인용살격 (남명)

양인용살격 (남명) 丙 庚 癸 甲 戌 辰 酉 午 (空亡: 申酉) 癸 壬 辛 庚 己 戊 丁 丙 乙 甲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子 亥 戌 이 사주는 庚金 日主가 酉月 양인월(羊刃月)에 生하고 地支에辰,戌土가 生하니 身旺한 命主가 된다. 陽日干의 록겁격(祿劫格)에는 剋하는 者가 우선이니 時干에 透出한 丙火를 爲用하게 되는데 月干에 癸水가 透干하여丙火의 빛을 가리게 되니 불길하다. 日柱가 庚辰은 괴강(魁罡)으로 성품이 과강하며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성격 소유자이다. 그런데 魁罡이 刑沖되면 不意의 事故나 災難을 당하는 수가있게 된다. 더욱이 秋節에 寅,戌은 급각살(急脚殺)인데 生時가 戌時로 急脚殺에 해당하는데 日支 辰土와 刑沖을 이루니 急脚殺이 發動하게되어 10세 미만에 事故로 한쪽 다리가 장..

명리학 실전 2025.06.28

전남 보성. 이범재 가옥(李範載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58호.

보성 이범재 가옥(李範載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58호. *소재지: 전남 보성군 보성읍 예동길 40-8 (옥암리 560-1) 보성 이범재 가옥은 1984년 1월 14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58호로 지정된 1800년대 말에 지어진 집으로 안채, 곳간채, 사당채로 구성된 'ㄱ'자형의 평면을 갖춘 보기 드문 유형이다.안채는 'ㄱ'자형으로 사랑채를 따로 두지 않고 안채에 곁들이는 특이한 구성을 하고 있다. 서쪽부터 좌우 반칸을 부엌으로 하고 앞쪽 한칸은 부엌방이며, 그 옆으로 안방과 윗방과 골방이 있다. 안방과 윗방 앞쪽에는 툇마루가 있으며, 그 옆에 마루방을 중심으로 좌우 2칸은 바깥마루이고, 마루방 앞에는 안마루가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보성 이범재 가옥 안내문. 중요민속자료 제158..

문화재 탐방 2025.06.27

재다신약격 (남명)

재다신약격 (남명) 乙 甲 丙 戊 亥 戌 辰 申 (空亡: 申酉)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丁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未 午 巳 갑목 일주가 진월 토월령에 생하여 재성이 강하다.년간 무토와 일지 술토가 있어 토가 강왕하다.일주는 시간의 을목을 취용하여 재다신약에 용겁한다. 명조 주인공의 실상을 알아본다.평소 매사에 세심하며 자신도 모르게 갑의 기질이 있다.경제적으로는 부족함은 없으나 새어 나가는 곳이 많아자시 것으로 정착되는 되는 금전이 실상이 적다.결혼 남매를 두었으나 이혼하고 현재는 싱글이다.지난 2014년 전라도에서 시의원에 당선된 바도 있다. 현재 교육사업을 하고 있는데 미래에는 보다 전문적인 교육적 사업을 예정하고 있으며 재혼은 생각지 않고 있다.

명리학 실전 2025.06.26

전남 보성. 이종선 가옥(李鍾善 家屋) 전남 민속자료 제15호.

보성 이종선 가옥(李鍾善 家屋)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15호. *소재지: 전남 보성군 보성읍 예동길 52 (옥암리 582-1) 보성 이종선 가옥은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15호로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대나무 숲을 뒤로하고 자리잡은 옛 집이다. 안채는 1908년에 지은 것이고 기타 건물은 이보다 약간 후대에 지은 것이다. 안채는 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一자형으로 되어 있고, 안채 앞쪽으로 좌우에 아래채와 헛간채가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입구의 오른쪽에 북향하여 배치되었고 그 앞에 사랑마당이 있다. 보성 이종선 가옥 안내문. 민속자료 제15호. 보성 이종선 가옥 비석. 이종선 가옥 안채. 안채. 안채는 겹집 형태의 7칸 집으로 앞뒤에 퇴..

문화재 탐방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