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07

전남 보성. 중도방죽. 문학기행 일번지.

천상의 갯벌이 숨 쉬는 중도방죽. 표시판. *주소: 전남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 719-6. 아래는 중도방죽 안내문의 설명 글이다. 중도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실존 인물 일본인 중도(中島, 나카시마)가 바닷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해 쌓은 둑으로 그의 이름을 따 붙여진 간척지 방죽의 이름이다. 중도(中島)는 방죽 옆 철다리 옆에 있는 마을에 살았었다. 한다. 태백산맥 작가는 소설에서 간척지의 방죽을 쌓던 때, 그 어렵고 뼈 빠지게 힘들었던 일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워따 말도 마씨오. 고것이 워디 사람 헐 일이었간디라, 죽지 못혀 사는 가난헌 개 돼지 겉은 목심덜이 목구녕에 풀칠허자고 뫼들어 개 돼지맹키로 천대받아 감서 헌 일이제라. 옛적부텀 산몬뎅이에 성 쌓는 것을 질로 심든 부역으로 쳤는디..

발길을 따라 2025.06.02

형합살(刑合殺)을 지닌 남명(男命)

형합살(刑合殺)을 지닌 남명(男命) *형합살(刑合殺)이란? 명주(命主)의 일간(日干)이 월간(月干)이나시간(時干)과 간합(干合)을 이루며일지(日支)가 형충(刑沖)이 되는 경우가 성립되면일명 형합살(刑合殺) 또는 곤랑살(滾狼殺)이라 한다. 이 殺이 있는 명조 주인공은 남녀를 막론하고부부해로가 어려워 이혼(離婚)을 하거나또는 외도(外道)를 하여 외방(재혼)에 자녀를 두기 쉽다. 丙 辛 @ 庚申 巳 午 @ (男命) 위 명조 주인공은 辛日干이 時干 丙火와 干合을 이루고日支 巳火는 時支의 申金과 刑과 合을 이루고 있으니이를 형합살(刑合殺), 또는 곤랑살(滾狼殺)이라 한다. 고로 결혼 초부터 부부가 뜻이 맞지 않고 아내가시댁식구들과 불화를 일으키며 독선적으로 행동하여결국에는 이혼을 하게 된 명조이다. ​ (註..

명리학 실전 2025.05.31

전남 보성. 충선공 문익점 부조묘. 전남 유형문화재 제165호.

충선공 문익점 부조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소재지: 전남 보성군 미력면 도개2길 21. 문익점 부조묘에 소장된 문서로서 국가에 공이 있는 인물의 후손들이 자신들의 처우를 확보하기 위해 만든 문서와 국가로부터 받은 문서들이다.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사당에 영구히 제사 지내게 하는 특전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와 같이 그 후손에 대해 여러 가지 특전과 혜택이 주어졌다. 여기 문익점 부조묘와 관련된 문서들은 조선 후기(18세기 말∼19세기 말)에 한정된 각종 증명서들이다. 현존하는 문서는 다음과 같다. ①견관도제문(1787년)②수교(1811년)-8면③절목1(1833년)④절목2(1833년)-4면⑤절목3(1835년)⑥절목4(1845년)-7면⑦계하사목(1836년)⑧종중완문(..

문화재 탐방 2025.05.28

격국이야기

격국이야기 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사주에 정.편관이 같이 있는 것을 관살혼잡(官殺混雜)이라 하는데 日主가 弱하면 관살혼잡된 사주가 흉격(凶格)이지만 일주가 왕하면 관살혼잡이어도 무방하다. 사실상 관살혼잡이란 정관이나 편관이 대등하게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관살혼잡이라 한다. 정관이 왕하고 편관이 약하면 편관은 정관의 세력에 휩쓸리고 정관이 약하고 편관이 왕하면 정관은 편관에 휩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처럼 정관이 旺하여 편관을 흡수하면 이때 正官의 氣運은 太旺해지므로 偏官化 된다고 판단하므로 역시 吉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관살혼잡이지만 비겁 또는 인성이 弱하면 일주가 쇠약해지는데 이럴 경우에는 他 五行과 合이나 沖이 되어 정.편관 중 하나만 남기는 경우 사주가 吉해지는 것이다. 편인 ..

격국 이야기 2025.05.27

전남 보성. 죽산안씨. 대계서원(大溪書院)

대계서원 표지석. *소재지: 전남 보성군 보성읍 동암2길 100. 대계서원은 죽산 은봉 안방준 의병장을 모시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다. 초명은 삼문(三文),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사언(士彦), 호는 은봉(隱峯)·우산(牛山)·빙호자(氷壺子)·우산병복(牛山病覆)·은봉암(隱峰菴)·매환옹(買還翁)·대우암(大愚庵)·왈천거사(曰川居士)이며,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전라남도 보성군 출신.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대계서원 홍살문. 1657년(효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 서원은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

발길을 따라 2025.05.26

탕화살의 실전.

탕화살의 실전. 탕화살(湯火煞)이란,끓는 물이나 타오르는 불길, 또는 열병, 음독 등으로일신상에 불의의 화상이나 흉터를 남긴다는 흉살을 말함이다. 탕화살(湯火煞) 구성. 인,오,축(寅,午,丑)日이 탕화살의 기본 지지(地支)이며,인일(寅日)에 난 사람이 사(巳)나 신(申),오일(午日)에 난 사람이 오,진,축(午,辰,丑),축일(丑日)에 난 사람이 오,술,미(午,戌,未)를 만나刑沖이 되면 더욱 더 강하게 작용하기도 한다. 이 殺은 火災, 火傷, 비관자살, 음독, 총상, 熱病 등의 위험이 따른다. 특히 축,오(丑,午)日은 육해살(六害煞)과 원진살(怨嗔煞)그리고 귀문관살이 중복되면 禍를 당할 염려가 많다고 하겠다. 癸 丙 甲 辛 (남명)巳 寅 午 @ 위 명조는 日支가 寅日인데 時支 巳火와 刑이 되어탕화살이..

명리학 실전 2025.05.24

전남 보성. 여산송씨. 영보재(永報齋) 문화재 자료 제280호

보성. 영보재(永報齋) 문화재 자료 제280호.(2016.3.24) 영보재 역시 출입문이 굳게 잠겨 있어 아쉽지만 할 수 없이 영보재 뒷편 높은 곳으로 올라가 내부쪽을 향해 몇 장 촬영하고 말았다. *소재지: 전남 보성군 벌교읍 원동안길 34-8. 보성 송간 신도비와 영보재 안내문. 송간(宋侃: 1417~1492) 선생의 호는 서재(西齋), 시호는 충강(忠剛),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조선 초기 세종(世宗), 문종(文宗), 단종(端宗)을 섬겨 관직이 형조참판(刑曹參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및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다. 영보재(永報齋)는 선생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1800년(정조 24년)에 후손들이 건립하였으며, 1920년과 1979년에 중수하였다. 전체적인 좌향(坐向)은..

문화재 탐방 202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