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사랑방 24

정월 설날과 차례상 표준화 방안.

정월 설날.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쳐댄다.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고전 사랑방 2025.01.27

24절기 알아보기

24절기 알아보기       계  절              절          후      봄 (춘)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하)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상강. 한로.    겨울(동)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입춘(立春)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로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입춘 전날은 절분(節分)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면서  이날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 특히, 입춘날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등의 입춘방(立春榜)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

고전 사랑방 2025.01.25

추석(秋夕) 한가위

추석(秋夕) 한가위.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大·正)'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배(嘉俳)'를 의미한다. 이때 가배란 '가부·가뷔'의 음역(音譯)으로서 '가운데'란 뜻인데, 지금도 신라의 고토(故土)인 영남 지방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 하며, '가위'를 '가부',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한다. 또 8월 초하루에서 보름께까지 부는 바람을 "8월 가부새 바람 분다"라고 한다. 이로써 미루어 볼 때 가뷔·가부는 뒷날 가위로 속전(俗轉)된 것으로 알 수 있으니, '추워서'를 현재에도 '추버서'로 ..

고전 사랑방 2024.09.17

칠월 칠석(七月 七夕)

칠월 칠석(七月 七夕) 칠석 - 음력 7월 7일을 칠석(七夕)이라 한다. 이 날은 1년 동안 서로 떨어져 있던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이라고 하는데, 그들의 애틋한 사랑에 대한 전설이 전하여 내려온다.  하늘나라 목동인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가 결혼하였다. 그들은 결혼하고도 놀고먹으며 게으름을 피우자 옥황상제는 크게 노하여 견우는 은하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 서쪽에 떨어져 살게 하였다. 그래서 이 두 부부는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건널 수 없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태우면서 지내야 했다. 이러한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전해들은 까마귀와 까치들은 해마다 칠석날에 이들을 만나게 해 주기 위하여 하늘로 올라가 다리를 놓아주었으니 그것이 곧 오작교(烏鵲橋)이다. 그래서 견우와 직녀는 칠석날이 되면..

고전 사랑방 2024.08.10

백주지조(柏舟之操)

백주지조(柏舟之操) 공강(共姜)은 주(周)나라 여왕(厲王)때 사람으로, 위(衛)나라 희후(僖侯)의 세자 공백(共伯)과 결혼하였는데 남편이 갑작스레 요절하고 말았다. 공강의 친정어머니는 여러 번 재가를 종용하였다. 그러나 공강은 친정어머니의 요청을 거절하였다.  마침내 공강은 다음과 같은 시(詩)를 지었다. 두둥실 잣나무 배가 황하강 가운데 떠 있네[汎彼栢舟 在彼中河]  이 시(詩)에서 백주는 잣나무로 만든 배로, 따라서 백주지조(柏舟之操)는 남편을 일찍 여읜 아내의 잣나무처럼 굳건한 절개를 간접적으로 의미하는 말이다.   - 출처: 詩經 -

고전 사랑방 2024.08.01

위도일손(衛道日損) - 도덕 -

위도일손(衛道日損) 날마다 비우는 것이 도를 닦는 방법이다.                                                          - 도덕 -  노자는 도덕경 48장에서 배움과 도(道)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배움(學)은 날마다 새로운 것을 채우는 것이다. 도(道)의 목표는 날마다 이미 가지고 있던 것을 버리는 것이다.’  날마다 버리는 것(日損), 이것이 진정 도를 행하는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노자의 ‘버림의 미학’은 기존의 채움의 사회질서에 대한 새로운 가치의 혁신이었습니다.  노자가 살던 시대의 사람들이 추구했던 것은 창고를 채우고, 땅을 넓히고, 지위를 높이고, 권력을 높이기 위한 ‘채움’의 무한 경쟁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

고전 사랑방 2024.04.27

김삿갓 욕설 詩

辱說某書堂/ 서당 욕설 시. - 김삿갓 (김병연 1807~1863) - 어느 추운 겨울날 김삿갓이 시골 서당에 찾아가 재워주기를 청하나 훈장은 미친 개 취급을 하며 내쫓는다. 화가 치민 김삿갓이 더러운 욕설 詩를 한 수 써 붙이고 나온다. (소리나는 대로 읽어야 제 맛이 납니다.) 書堂來早知(서당내조지) (서당은 내좆이요) 서당을 일찍부터 알고 찾아 왔는데 房中皆尊物(방중개존물) (방중은 개 좆물뿐이고) 방안엔 모두 높은 분 자녀들뿐이고 生徒諸未十(생도제미십) (생도는 제미 십이며) 학생은 모두 열 명도 안 되는데 先生來不謁(선생내불알) (선생은 내 불알이다) 선생은 찾아와도 보지도 않네. -------------------------------------------- 김삿갓과 아낙네. 김삿갓이 어느 집..

고전 사랑방 2024.04.18

동지(冬至)

동지(冬至) 동지 - 동지는 24절기의 하나로서 일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24절기는 태양력에 의해 자연의 변화를 24등분하여 표현한 것이며,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달하는 때를 '동지'라고 한다. 동지는 24절기의 하나로서 일 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24절기는 태양력에 의해 자연의 변화를 24등분하여 표현한 것이며,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달하는 때를 '동지'라고 한다. 동지는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들면 '노동지'라고 하는데, 이는 동지가 드는 시기에 따라 달리 부르는 말이다. 동지는 일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어 음(陰)이 극에 이르지만, 이 날을 계기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여 양(..

고전 사랑방 2023.12.21

10월 상달고사

10월 상달고사. 상달고사 - 상달고사란 음력 10월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가신(家神)들에게 올리는 의례를 말한다. 고사라는 말은 세시 풍속 상에서 안택(安宅)이라는 말과 혼동되어서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상달고사란 음력 10월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가신(家神)들에게 올리는 의례를 말한다. 고사라는 말은 세시 풍속 상에서 안택(安宅)이라는 말과 혼동되어서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양자가 가정단위의 제사이며, 아울러 성주· 조상· 터주· 조왕· 삼신 등 모시는 대상 신들도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사는 주로 상달고사를 말하며 추수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강하고, 안택은 주로 정월에 행해지며 연초의 액막이 및 행운 기원의 의미가 강하다는 점에서 양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사 혹은 ..

고전 사랑방 2023.11.16

백일 떡에 담긴 의미들.

백일 떡에 담긴 의미들. 우리 겨레는 아기가 태어난 지 백일 째 되는 날 아침. 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아기를 돌본다는 세 신령 곧 삼신할머니에게 그동안 무탈하게 돌봐줘서 고맙고 앞으로도 잘 부탁한다는 뜻으로 삼신상을 차려드립니다. 또 아기에게도 무병장수하라고 목에 명주실 타래를 걸어주기도 하지요. 또 이날은 백일 떡을 친척과 이웃에 돌렸는데 100명과 나눠 먹어야 아기가 명(命) 곧 목숨을 사서 백수(百壽) 곧 오래 산다고 믿었습니다. 백일 떡은 백설기, 수수팥떡, 인절미, 송편 등 다양합니다. 이때 백설기는 장수를 뜻하고 정결· 신선함을 나타낸 것이며, 수수팥떡은 부정을 막는 뜻이 있었지요. 또 인절미는 찹쌀로 만들어 차지고 단단하기에 끈덕지고 여물기를 비손하고, 송편은 속이 꼭 차라는 뜻을 담아 속..

고전 사랑방 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