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절집 38

전남 무안. 우명산 도덕사(牛鳴山 道德寺)

우명산 도덕사 대웅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해남 대흥사 말사.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암리 135-9.   도덕사 목우선원 불사 안내문.  무안읍 성암리 소재 도덕사는 오래된 사찰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들이 많다. 60년 전 성우 큰스님이 승달산에서 참선하고 돌아가던 중 풍광이 좋은 도덕사에 들러 정진하다 소가 우는 소리를 듣고 '확철대오'라는 깨달음을 받아 사찰 뒷산을 '우명산'으로 부르게 됐다는 것.이런 배경 때문인지 도덕사 칠성각에서 아이 낳기를 원하거나 정치의 큰 뜻을 품는 소원을 빌면 대개 이뤄진다는 영험 있는 절로 알려져 있고, 법조계와 장성 등 큰 인물이 많이 배출되고 있다고 한다.도덕사는 10여년 전 현재의 죽림 스님이 주지로 부임, 현재 대웅전과 약사전, ..

한국의 절집 2025.03.19

전남 강진. 옴천사(옴泉寺)

강진 옴천사.  *소재지: 전남 강진군 옴천면 장강로 1445-14.  전라남도 강진 옴천면 개산리 391에 위치한 옴천사(구: 만연사)는 대한 불교 선각종 총본산이다. 후삼국시대 송악(현재:개성)에 고려 태조 왕건 부친의 터전을 잡아주고 후삼국 통일의 성주가 태어날 것이라고 예언하신 신라 4대 고승 가운데 한 분이신 도선국사께서 영암 도갑사, 광양 백계산 옥룡사와 모친을 모시고 계셨던 광양 운암사와 비슷한 시기에 창건하였다던 설이 있는 옛 목암사터에 1960년도 안순희 스님께서 만연암을 창건하고 정진수도하던 도량이다.  스님의 입적 후 이곳 지명을 따라 옴천사로 개칭하여 불기2544년(2000) 3월 대한불교 선각종(大韓佛敎禪覺宗)이 석존(釋尊)의 자각각타(自覺覺他)와 각행원만(覺行圓滿) 근본 가르침을..

한국의 절집 2024.09.09

전남 강진. 정수사(淨水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101호.

정수사 표지판. 정수사 대웅전(淨水寺 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1985.02.25. 지정)   ▶소재지: 전남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산26 (대구면 정수사길 403)   정수사 안내판. 정수사는 천태산에 있는 절로 기록에 의하며 통일신라 말 애장왕 6년(805)에 도선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세울 당시에는 계곡을 중심으로 양쪽에 묘덕사와 쌍계사 두 절이 있었는데 후에 쌍계사는 수정사라 이름을 바꾸었다. 한동안 폐허가 되었던 것을 중종 19년(1524)다시 지으면서 정수사라 이름을 바꾸었고,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짓거나 수리를 하였다.정수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에 있는 법당으로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으며 4번에 걸쳐 수리한 기록이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겹처마로 가장 단순한 맞배집이다...

한국의 절집 2024.08.28

전남 강진. 고성사(高聲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316호.

고성사 대웅전.  *주소: 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353 (고성길 260)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보은산 기슭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1211년(고려 희종 7년) 원묘국사(圓妙國師) 요세(了世, 1163∼1245)가 강진 만덕산 백련사(白蓮寺)를 중창할 때 함께 지었으며 1805년(순조 5년) 강진군에 귀양 온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머물며 혜장(惠藏, 1772~1811) 스님과 교우한 곳으로 당시에는 고성암(高聲庵)으로 불리었으며, 정약용은 고성사에 보은산방(報恩山房)이라는 초막을 지어 머물렀다고 한다. 보은산(寶恩山, 해발 439m)은 산세가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인데, 꼭대기는 소의 머리에 해당하는 우두봉(牛頭峰)이라 하고 이 절이 있는 곳..

한국의 절집 2024.07.26

전남 강진. 사문안 석조상(寺門안 石彫像)

사문안 석조상은 퇴동마을회관 옆으로 난 오르막 길을 따라 가게 되어있다.회관 앞에는 주차장이 설치되어있다.  퇴동회관 담장에 사문안 석조상 30m라는 이정표를 따라 오르막 길을 오른다.  오르막 길에 커다란 고목이 탐방객을 맞는다.  고목을 지나자 또 하나의 커다란 노거수인 보호수가 정자와 함께 자리하고 있다.  보호수 안내문.  보호수의 밑둥부분.  석조상 비각 앞에 정자와 보호수가 자리하고 있다.  석조상 비각 앞의 정자.  사문안 석조상(寺門안 石彫像)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87호.(1992.03.09. 지정)  ▶소재지: 전남 강진군 작천면 갈동리 1171.  강진 사문안 석조상 안내문. 면동(퇴동)마을 길가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122㎝의 석상으로 전체적인 형태는 큼지막한 둥근받침 위로 4각..

한국의 절집 2024.07.24

전남 강진. 옥련사(玉蓮寺) 전남 지방유형문화재 제188호.

옥련사 대웅전과 오층석탑.  ▶주소: 전남 강진군 강진읍 옥련사길 86 (덕남리 484-24)  옥련사(玉蓮寺)는 전남 강진군 강진읍 덕남리 기룡 마을 뒤 만덕산의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절로서 1951년 11월 능화(能華)스님과 인근 신도들의 노력으로 백련사(白蓮寺)의 소속이던 송광암(松廣庵) 터에 초가집 두 칸을 지어 강진 대구면 용운리에 있는 정수사(淨水寺)에서 목조여래좌상 1구를 옮겨와 봉안하면서부터 법등을 밝혀오고 있다. 옥련사는 근래에 조성된 사찰이어서 많은 유물은 없는 사찰이지만 그러나 옥련사를 처음 개창하면서 정수사에서 옮겨온 목조불상에서 1991년 5월 복장이 확인되었다. 복장을 확인한 결과 1684년 명의 불상조상기문(佛像造像記文)과 여러 권의 경전류 등을 비롯하여 복장물이 나왔다.  ..

한국의 절집 2024.07.22

전남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月南寺址 眞覺國師碑) 보물 제313호.

월남사지 진각국사비(月南寺址 眞覺國師碑)  보물 제313호.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854(월남1길 100)  월남사(月南寺)는 고려 중기에 진각국사(眞覺國師)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창건 이후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진각국사의 성은 최씨(崔氏)이고 이름은 혜심(慧諶)으로 24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어머니의 죽음으로 출가를 하게 되었다. ​출가 후 보조선사 밑에서 수도를 하였고 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자 대선사(大禪師)가 되었으며, 고종 21년(1234)에 57세로 입적하였다. 월남사 터에 서있는 이 비(碑)는 절을 창건한 진각국사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비(碑)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린 형태이다. 받침돌인 거북은 입에 구슬을 문 상태로 긴 목을 빼어들고 네 발..

한국의 절집 2024.07.10

전남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298호.

월남사지 삼층석탑(月南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298호.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854(월남1길 100)  월남사터에 남아있는 삼층석탑으로, 단층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바닥돌 위에 기둥 모양의 돌을 세우고 그 사이를 판돌로 채운 뒤 넓적한 맨 윗돌을 얹어 조성하였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매우 높으며, 2층 몸돌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붕돌은 기단보다 넓게 시작하였으며, 밑의 받침은 3단을 두었다. 지붕돌의 윗면은 전탑에서와 같이 계단식 층단을 이루었고, 추녀는 넓게 수평의 직선을 그리다가 끝에서 가볍게 들려있다. 탑신의 모든 층을 같은 수법으로 조성하였고 위로 오를수록 낮은 체감률을 보인다. 탑의 머리부분에는 받침 위에 꾸밈을..

한국의 절집 2024.07.08

전남 영암. 축성암(祝聖庵)

축성암 극락보전.  주소: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1841-1번지. 축성암은 1920년대 일제초기에 창건된 전통사찰로서 목포시에 인접한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일대가 1990년대초 한라조선소 조성단지로 편입되면서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1.5㎞ 떨어진 현 장소로 1994년 이전하였다.  한지에 묵서한 조성발원문(가로 118㎝×세로 26㎝)에 따르면 1700년(숙종 26) 해남 성도암에서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 웹사이트 -  아미타삼존불.  관세음보살.  나반존자.  칠성단.  신중단.  대웅보전.  영암 축성암 목조 나반존자상 안내문.靈巖 祝聖庵 木造 那畔尊者像 안내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0호. 나반존자상은 소발의 머리에 상호는 원만하며, 눈과 코 입 등이 사실..

한국의 절집 2024.06.12

전남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 (전남 유형문화재 제259호)

영암. 망월사 석불좌상(靈巖. 望月寺 石佛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2002.11.27. 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호산로 611-35 (이천리 산 159-7)  당우는 극락전과 약사전으로 규모는 조그만 절집이지만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로 지정되어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라 할 수 있다.  망월사 극락전.  극락전 현판.  극락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삼보불전.  지장탱화.  삼성탱화.  신중탱화.  범종각을 대신한 극락전에 안치한 호산 망월사라고 새겨진 종.  석불좌상을 모신 약사전.  약사전 현판.  망월사 석불좌상 안내문.  망월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상은 두께가 32㎝나 되는 두꺼운 돌에 양각을 한 여래좌상이다. 불신 뒤에..

한국의 절집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