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3

전남 나주. 풍산홍씨, 계은정(溪隱亭)

계은정(溪隱亭)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18-26 (풍산리 188) 도래마을의 주산인 식산이 남으로 흘러내린 해발 140m의 감태봉, 그 중턱에서 도래마을을 내려다보고 있는 정자이다. 고종 때 인물 풍산홍씨 계은(溪隱) 홍대식(洪大植)이 은거하며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 1826~1885) 문하에서 수학했던 자리로서 사후 1927년 봄에 아들 홍병희(洪丙憙), 홍태희(洪泰憙)가 선친의 학문을 기념하고자 여기에 정자를 짓고 계은정(溪隱亭)이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팔작지붕에 함석을 덧대어 비바람이 마루에 들치지 않게 되었고 정면 3칸, 측면 2칸. 중앙 뒤칸은 온돌을 설치한 것까지 누정의 전범을 충실히 따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이 계은정이 있는 도래마을은 풍산홍씨들이 대를 이어가며 살..

발길을 따라 2025.07.14

일범세군이란?

일범세군이란? 일범세군(日犯歲君)이란? 일간(日干)이 태세(=歲君)를 剋하는 것을 말합니다.즉, 日干의 偏財가 되는 年干을 가리켜 일범세군이라 한다. ​일범세군(日犯歲君)의 例. 甲日=戊年. 乙日=己年. 丙日=庚年. 丁日=辛年.戊日=壬年. 己日=癸年. 庚日=甲年. 辛日=乙年. 壬日=丙年. 癸日=丁年. ​아래는 연해자평 '論太歲 吉凶'중에 몇 구절입니다. 太歲乃年中天子, 故不可犯犯之則凶. 經云日犯歲君災殃必重, 五行有求其年反必招財. ​태세(太歲)는 한 해(年)의 왕(王)이므로 가히 범(犯)할 수 없는바 범한 즉 凶하다.그러므로 經에 이르기를 "日主가 歲君을 犯하면 재앙이 반드시 重하고 五行이 救해 줌이 있으면 그 해에 도리어 財物을 얻는다"고 하였다. 예컨대 甲日干이 流年에 戊年을 만나는 것이 그것이니 剋함..

명리학 연구 2025.07.12

전남 나주. 우남고택(愚南古宅) 중요민속문화재 제165호.

우남고택(愚南古宅) 구, 홍기헌 가옥(舊, 洪起憲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5호.지정(등록)일: 1984.01.14.최초건립: 조선 영조 8년(1732)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풍산내촌길 3-8 (풍산리 198) 나주 다도면 풍산리 도래마을은 풍산홍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다.종전에는 홍기헌 가옥이라 불리었으나 최근부터 우남고택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안채와 대문채는 1900년대 초에 지은 것이라 하며, 사랑채는 1700년대 중엽의 건물로 추정된다. 대문채의 남단에 있는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의 한쪽을 통과해서 사랑채의 남쪽 측면을 지나 안채로 들어가게 된다. 안채부터 대문채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안채는 왼쪽에 부엌 2칸·전면에 부엌방·큰방 2칸·대청이 있고 끝에 1칸의 건넌방..

문화재 탐방 2025.07.11

격각살(隔角殺)의 흉의

격각살(隔角殺) 生日支: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隔角殺: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생일지(生日支)에서 시지(時支)로 대조하여 한 글자(一字)가 간격(間隔)된것을 이름하니 즉 子日에 寅時, 丑日에 卯時 등을 말함이다. 이 殺이 命中 日,時에 있으면 부부나 자녀에게 害로우며 고독하고팔이나 다리를 傷하며 血光을 볼 수 있다. 태월(胎月)에 있으면 부모를 害롭게 한다.一名, 혈광살(血光殺)이라 한다. 명후이진(命後二辰) 다음은 격각살의 例를 들어본다. 乙 丁 @ 庚 巳 卯 @ @ 男命. 이 명조 주인공은 슬하에 딸 하나를 낳은 후 부부 이별하여자녀는 부모가 양육하여 출가를 시켰으며 중년에 당뇨병으로한쪽 발목을 절단한 사주이다. 己 己 @ 癸 巳 卯 @ @ 女命. ..

명리학 실전 2025.07.10

전남 나주. 홍기창 가옥. 전남 민속문화재 제9호.

나주 홍기창 가옥(羅州 洪起昌 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9호.(1986.02.07. 지정)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0 (풍산리 177) 풍산홍씨 집성촌인 도래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살림집이다.원래 안채, 사랑채, 행랑채를 갖춘 집이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안채만 남아 있다.건물에서 발견된 기록(상량문)으로 미루어 1918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채는 6칸 크기의 一자형 집으로 부엌 방과 부엌·안방·대청마루방으로 구성되어 있다.대청마루에는 앞쪽으로 1칸 반 크기의 작은방을 두었고, 뒤쪽에 함실아궁이를 만들어 놓았다. 비교적 건물의 규모가 크고 구성과 구조가 건실하여 당시 주택을 살피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 홍기창 가옥 - *현재는 민박을 취급하고 있다. ..

문화재 탐방 2025.07.09

미혼모의 명조.

미혼모의 명조. *형합살의 흉의 甲 己 戊 丙戌 丑 戌 子 (空亡: 午未) 辛 壬 癸 甲 乙 丙 丁 (대운 3)卯 辰 巳 午 未 申 酉 이 사주는 기토 일간이 술월에 생하여 時干 甲木과 干合을 이루며 月令 戌土인지라 甲己化土格이 성립되었다. 化土格에 日支 丑土와 時支 戌土가 합세하며 年干에 병화가 생하니 化神이 裕餘하다. 化神이 裕餘한 者는 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洩하는 金神이 없어서 아쉽다. 대운 역시 초년에 잠시 지나고 중년이후부터는 목화대운이다. 갑기화토격(甲己化土格)에 年支에 子水를 보니 쟁탈의 바람이 불 것 같아 불안하다.또한 日柱와 時柱가 형합살을 이루니 이 또한 이성문제에 불길하다 하겠다. 그런고로 지난 병신년에 남성을 알아 임신하여 정유년에 아들을 출산하였고 아들 출산 이후에 남성과 헤어..

명리학 실전 2025.07.08

전남 나주. 양벽정(湸碧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5호.

양벽정(漾碧亭)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5호.(2013.11.11. 지정) 양벽정은 풍산홍씨 홍징(洪澄)이 건립한 정자로1949년부터 도래마을 사람들의 합동세배장소로1974년부터 "도래의 날" 행사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7-4 (풍산리 142) 양벽정은 나주 도래 한옥마을 내에 있는 정자로서 풍산홍씨의 홍징(洪澄;1515~1593)이 창건하였으며 벼슬은 선공감역(善工監役)과 성균사업(成均司業)을 지냈으며 이곳 양벽정에서 소쇄원의 양산보. 송강 정철, 최시망 등 당대 명현들과 교류했다고 합니다. 양벽정은 1587년 창건해서 퇴락한 후 후손 홍찬희 등에 의해 현 위치에 1946년 중건공사를 시작하여 1948년에 완공하였다. 이때 문 앞에 연지를 만들고 이층 누..

문화재 탐방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