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정보 10

삼월 삼짇날.

삼월 삼짇날. 삼월 삼짇날 - 삼짇날은 봄을 알리는 명절이다. 이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고 하며, 뱀이 동면에서 깨어나 나오기 시작하는 날이라고도 한다. 삼월 삼짇날의 어원을 살펴보면 음력 3월 3일을 삼월 삼짇날이라고 한다. 옛말에 '삼질'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상사(上巳)· 원사(元巳)· 중삼(重三)· 상제(上除)· 답청절(踏靑節)이라고도 쓴다. 삼짇날은 삼(三)의 양(陽)이 겹친다는 의미이다. 최남선에 의하면 삼질은 삼일의 자음(字音)에서 변질되어 파생된 것이며, 상사는 삼월의 첫 뱀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삼짇날이 언제부터 유래하였는지 자세히 전하는 바는 없다. 최남선에 의하면 신라 이래로 이날 여러 가지 행사가 있었으며, 이 풍속은 조선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한다. 또 옛사..

유익한 정보 2025.03.29

성균관의 차례상 표준화 방안

차례상 표준화 방안.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인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이 같은 내용의 ‘차례상 표준화 방안’을 발표했다. 표준안에 따르면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하지만 가지 수가 적어도 상관없고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보도에 의하면,성균관 측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노력과 시간을 쏟으며 고생했던 전(煎) 부치기를 더는 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나온..

유익한 정보 2024.09.16

태극기를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태극기를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태극기의 탄생에 숨겨진 창시자.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의 역사는 188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독특한 상징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과 이야기가 있지만, 그 특정한 창시자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모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주요 이론이 태극기의 기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한 가지 가능성은 당시 외무부 대신이었던 박영효(朴泳孝, 1861~1939)가 태극기를 고안했다는 것입니다. 1882년에 박영효는 청나라에 외교 임무를 떠났는데, 그 당시 청나라의 침략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려 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태극의 태극과 양극의 개념을 표현한 태극기를 만들어 영국의 보호를 구하고 나라의 독립을 강조하고자 했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론..

유익한 정보 2024.08.15

알기 쉬운 조문 예절 방법

알기 쉬운 조문 예절 방법 나이가 들수록 장례식장에 가야 할 일이 많이 생긴다. 죽은 사람에 대해 애도를 표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인 만큼 올바른 조문 절차와 장례 예절이 필요하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교가 있는 경우 자신과 상갓집의 종교가 다르더라도 되도록 상가의 가풍에 따라주는 것이 보기에 좋다. 디지틀조선일보 인포그래픽스팀 입력 : 2015.07.13 18:26 -출처 / 웹사이트 -

유익한 정보 2024.04.16

여인에 대한 사자성어

여인(女人)에 대한 사자성어. 예로부터 여인의 용모를 경탄하는 많은 사자성어의 표현들이 전해져 왔는데, 이를 다음과 같이 한자리에 모아보았다. 여러분들은 몇 개나 알고 계시는지? 경국지색(傾國之色) 나라를 기우릴 만한 여자 (첫눈에 반할 만큼 매우 아름다운 여자) 경성지색(傾城之色) 나라가 뒤집혀도 모를 만한 미인. 녹의홍상(綠衣紅裳) 연두저고리에 다홍치마 (젊은 여인의 고운 옷차림) 단순호치(丹脣皓齒)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을 나타내는 말) 담장가인(澹粧佳人) 담박하고 수수하게 화장한 미인. 만고절색(萬古絶色)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명모호치(明眸皓齒) 밝은 눈동자와 하얀 이를 가진 미인. 반야가인(半夜佳人) 한밤중의 아름다운 여인. 부귀모란(富貴牡丹) 양귀비처럼 풍만한 ..

유익한 정보 2024.02.29

무속(巫俗)과 속신(俗信)

무속(巫俗)과 속신(俗信) 1) 무속(巫俗) 무속은, 종교적 지도자인 무당들이 주축이 되어, 점복·예언·치병·제의·천도 등을 행하는 원시 신앙이다. 무당은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주관하는 사람으로서 무녀(巫女) 혹은 무자(巫子)라고도 한다. 그는 선령(善靈) 및 악령(惡靈)과 직접 통하여 그것을 다룰 수 있는 신비한 능력을 가졌다고 하는 원시적 샤머니즘의 한 형태로서 인간과 신과의 사이를 연결해 주는 소임을 직업적으로 맡고 있는 사람이기도 하다. 무당은 신병(神病)이라는 종교적 체험을 통해서 신의 영력(靈力)을 획득하여, 신과 서로 통하는 신권자(神權者)이며, 신의 영력에 의해 길흉 화복의 인간사를 굿으로 조절하는 능력을 가진 민간층의 종교적 지도자인 것이다. 화양에서도 무당에 대한 일반적인 호..

유익한 정보 2023.08.30

결혼기념일 별칭

결혼기념일 별칭(結婚紀念日 別稱) *지혼식 紙婚式 : 결혼 1주년 기념일. *고혼식 藁婚式 : 결혼 2주년 기념일. *당과혼식 糖菓婚式 : 결혼 3주년 기념일. *혁혼식 革婚式 : 결혼 4주년 기념일. *목혼식 木婚式 : 결혼 5주년 기념일. *화혼식 花婚式 : 결혼 7주년 기념일. *전기기구혼식 電氣器具婚式 : 결혼 8주년 기념일. *도기혼식 陶器婚式 : 결혼 9주년 기념일. *석혼식 錫婚式 : 결혼 10주년 기념일. *강철혼식 鋼鐵婚式 : 결혼 11주년 기념일. *마(견)혼식 麻(絹)婚式 : 결혼 12주년 기념일. *상아혼식 象牙婚式 : 결혼 14주년 기념일. *동혼식 銅婚式 : 결혼 15주년 기념일. *자기혼식 磁器婚式 : 결혼 20주년 기념일. *은혼식 銀婚式 : 결혼 25주년 기념일. *진주혼식..

유익한 정보 2023.05.11

나이를 뜻하는 용어.

나이를 뜻하는 용어. 1세(生) 농장(弄璋) : 득남(得男), 아들을 낳으면 구슬[璋] 장난감을 주는데서 유래. 아들을 낳은 경사. - 농장지경(弄璋之慶) 농와(弄瓦) : 득녀(得女), 딸을 낳으면 실패[瓦] 장난감을 주는데서 유래. 딸을 낳은 경사. - 농와지경(弄瓦之慶) 2세-3세 제해(提孩) : 제(提)는 손으로 안음, 孩(해)는 어린아이, 유아가 처음 웃을 무렵(2-3세). *해아(孩兒)도 같은 의미로 사용. 15세 지학(志學) : 공자(孔子)가 15세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육척(六尺) : 주(周)나라의 척도에 1척(尺)은 두 살 반[二歲半] 나이의 아이 키를 의미. - 6척은 15세. *삼척동자(三尺童子) 16세 과년(瓜年) :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므로..

유익한 정보 2023.04.21

겨울에 난방비 줄이는 생활습관.

난방비 줄이는 생활습관. 한겨울은 도시가스 요금 폭탄을 피할 수 없는 계절이다. 이럴 때일수록 깐깐하고 꼼꼼한 주부 모드로 변신하자. 난방비 절약의 핵심은 간단하고 사소한 습관에 있다. 금년들어 버스비, 택시비, 전기요금, 도시가스 같은 공공요금까지 대폭인상되면서 서민들의 삶은 더욱 팍팍해진 상황에 특히 동절기 도시가스 요금은 부담스러운 관리비의 주범이다. 단 몇 천원이라도 아끼려면 다음의 생활습관을 기억해두자. 보일러와 가습기를 동시에 틀자. 실내온도를 올리기 위해 보일러와 가습기를 동시에 틀면, 보일러만 가동했을 때보다 보일러 가동시간이 단축된다는 실험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가습기가 공기 중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주면, 습도로 인해 공기순환 속도가 빨라져 온도가 빨리 상승하기 때문이라고. 또 물의 ..

유익한 정보 2023.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