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103

유정과 무정의 차이.

유정과 무정의 차이. *아래의 두 명조는 웹사이트에서 빌려온 명조 해석입니다. 공대교수 한문교사 庚 丙 戊 丙 戊 丙 庚 丁 寅 子 戌 戌 子 辰 戌 卯 유정(有情)과 무정(無情)을 살펴보는 법. 질의. 비슷한 格局 구조인데 왜 等級 차이가 납니까? 설명. 이 두 분 命造는 모두 식신생재하고 재생관하는 구조입니다. 그 결과 사업을 선택하지 않고 최종 목표인 정관을 목적으로 공부합니다. 즉 장사보다는 명예를 선택하는 이유가 재생관(財生官)의 구조에서 발견이 되는 겁니다. 그런데 한 분은 공대 교수이고 한 분은 한문 교사이죠. 왜 이러한 등급 차이가 발생할까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有情과 無情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곧 공대 교수는 偏印의 보호가 좋아서 有情하고 한문 교사는 卯木이 正官과 멀어서 無情한 차이가..

명리학 연구 2023.01.07

유정무정과 유력무력.

유정무정과 유력무력. 유정무정(有情無情)이란. 사주에 用神이 정해지면 用神의 六神이 日干과 가까운 곳에 있어야 有情하다고 할 수 있다. ​즉, 日干의 바로 옆의 月干이나 또는 時干에 있어야 하며 地支에서는 日支에 자리하고 있으면 ​有情이라 하는 것이다. 年干이나 年支에 있을 때는 無情이라 하게 된다. 日干과 用神은 有情해야 주인공의 인생살이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도형으로 그린다면 日干을 중심으로 하여 역삼각형 도형이라 할 수 있다. 예시. 시 일 월 년 ◉ 甲 ◉ @ @ ◉ @ @ 위 그림과 같이 ◉표의 喜,用神이 月干, 時干, 또는 日支에 있을 때 有情이라 한다. 그리고, 月支와 時支에 있을 때도 有情이라 하지만 月干, 時干, 日支의 다음 順으로 취용하게 된다. 또한 日干과 用神이 멀리 떨어져 ..

명리학 연구 2023.01.06

왕자편화(旺者偏化)에 대하여

왕자편화(旺者偏化)에 대하여 사주 命造 中에 어느 六神이 너무 旺하면 生하는 것에 전념하지 않고 剋하는 것에 전념하게 되므로 4길신(四吉神)과 4흉신(四凶神)을 막론하고 凶의 작용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시 정관(正官)은 4길신(四吉神)이라 하지만 正官도 너무 太旺하면 偏官(七殺)의 성질로 變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령, 甲木日干에 辛金이 正官일지라도 왕자편화(旺者偏化)의 現象이 되면 偏官(七殺) 庚金과 같은 역할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즉, 본시 正官이 陰干일지라도 陽干의 성질로 變한다는 것이다. 또한 乙木日干에 庚金이 正官이지만 왕자편화(旺者偏化)의 現象이 되면 辛金 편관(偏官:七殺) 이상으로 凶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天干誘引力에 의하여 透干된 天干은 비록 陰干일지라도 陽干으로 變한..

명리학 연구 2023.01.05

통변성의 칠살관계.

통변성의 칠살관계. 1. 식신과 편인, 食神은 순수한 자연식품과 같아 유유히 살아가는 品格을 지니고 財物과 壽命에도 은혜를 입는다. 그런데 食神의 七殺인 偏印을 만나면 食神을 넘어뜨리는 倒食이 되어 食神의 좋은 점은 전혀 발휘되지 못하여 財物的으로도 빈곤하고 건강과 壽命에도 지장을 받는다. 食神과 偏印이 同柱하거나 地支에서 食神이 偏印의 沖剋을 만나면 불길하다. ​ ​ 2. 편재와 비견. 편재는 유통재물로서 타인의 재물을 운용하는 재주가 있으며, 육친상으로는 부친에 해당한다. 의협심이 강하고 재물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비성이 강하다. 强한 偏財를 가진 者는 天性이 商人이지만 이에 反하여 偏財가 弱하거나 편재의 七殺인 比肩과 同柱한 者는 사업에 적합지 못하며 또한 부친과 인연이 薄하거나 부친의 신상에..

명리학 연구 2023.01.04

명리학 용어 해설.

명리학 용어 해설. 사주 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생소한 용어들을 많이 접하게 될 것이다. 어렵다고 그냥 넘겨 버리기 보다는 일단 알아 두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서 명리학에 쓰는 용어 중 몇 가지를 나열해봅니다. 1) 단식판단(單式判斷) : 종합적으로 생극제화(生剋制化)를 살펴서 판단하지 않고, 단순히 육친해석이나 자리 해석이나 오행의 성질을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순히 그 육친의 이름만 가지고 사주 형 충만 가지고 해석을 하게 되면 큰 오류를 범하게 된다. 예) 편인은 흉신으로 판단 하지만 신약 사주에선 길신으로 변한다. 전체적인 사주팔자의 구조를 파악하고 필요하면 길신이고 그렇지 못한 경우 그 고유의 육친에 뜻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2) 관살용관살격(官殺用..

명리학 연구 2023.01.03

10천간의 간합 작용.

10천간의 간합 작용. 1. 甲己 干合: 信義가 두텁다. 2. 乙庚 干合: 義理가 있다. 3. 丙辛 干合: 智力이 뛰어나고 4. 丁壬 干合: 仁慈하다. 5. 戊癸 干合: 禮義가 바르다. *日干을 중심으로 月干이나 時干과 合이 되는 경우에는 작용력이 강하다. ​ 가. 生日 天干이 甲인 사람은 두통이나 머리가 무거운 증세 등의 지병으로 항상 두통약을 복용하거나 또는 뇌종양 등을 앓을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 그러나, 甲日干이 天干 己土와 干合을 이룬 경우에는 머리에 대한 문제가 전혀 없다. 아울러 甲己 干合이 있는 사람은 코를 성형하는 경우가 많다. 나. 生日 天干이 庚이며 生月이나 生時의 天干에 乙이 있어서 乙庚의 合이 되는 사람은 치아가 매우 튼튼하다. 乙庚은 干合하여 金이 되므로 치아가 튼튼..

명리학 연구 2023.01.02

용신의 길흉관계.

용신의 길흉관계. 사주에 用神이 定해지면 용신은 일단 건왕(建旺)해야 한다. 첫째 용신은 뿌리가 튼튼해야 하며 他 五行에 의하여 파극(破剋), 충극(沖剋) 또는 합거(合去)되지 말아야 한다. ​ 또한 용신은 大運에서도 生地나 旺支를 만나면 대길하지만 庫地나 墓地를 만나면 사망하거나 크게 禍를 당하게 된다. 예를 들면 용신이 丙火인데 寅대운이나 午대운에는 大吉하지만 戌대운에는 극히 凶하다. ​ 그 이유는 용신이 墓地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즉 死亡하여 무덤으로 들어가는 格이기 때문이다. ​ 그러나, 地支의 午火가 용신일 경우에는 오히려 용신이 强旺하여지므로 다행이다. ​ 그것은 午火가 戌土를 만나면 午戌 火局을 성립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巳火가 용신일 경우에는 入墓가 성립되니 불길하다. ​ 또한 天干 용신이..

명리학 연구 2022.12.31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 지지(地支)에서는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는데, 그로 인한 세력의 구성이 달라진다. 지지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구성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 방합 - 삼합 - 천간유인력 - 육충(육합) - 반합. ​ 방합(方合)은 인묘진 동방 합. 사오미 남방 합. 신유술 서방 합. 해자축 북방 합. 삼합(三合)은 해묘미 목국 합 인오술 화국 합 사유축 금국 합. 신자진 수국 합. 천간유인력(天干誘引力)은 方合이나 三合 중에 2글자만 지지(地支)에 있으며 方合이나 三合의 原神인 五行이 天干에 透出되어 있을 때 천간유인력이 성립되며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 예를 들면 寅卯辰 동방 木의 寅卯辰 중 2글자만 地支에 있고 天干에 甲이나 乙이 透干되었을 경우는 천간유인력이 성립되는데 이때 甲이나 乙 中에 ..

명리학 연구 2022.12.30

천간 합충극(天干 合沖剋)

천간 합충극(天干 合沖剋) 천간 합(天干 合) 天干 合은 남녀 陰陽의 合으로 5가지가 있다. 天干 10개가 陰陽으로 하나씩 合이 되는 것이다. 甲己 合土 乙庚 合金 丙辛 合水 丁壬 合木 戊癸 合火 天干 合은 陽干과 陰干의 配合으로 그 작용력은 合되는 두 天干의 氣運은 喪失로 연결된다. 그러나, 月令과 附合되면 化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月令을 得하지 못하면 두 五行의 氣運은 각자의 성분을 喪失하게 되므로 格局 및 用神의 판단과 五行의 强弱 판정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 天干 合은 그 성립에 있어서 몇 가지 전제 조건이 있다. 1) 合하는 두 氣運이 인접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時干과 月干 및 年干은 離隔이 되어 合할 수 없다. ​ 2) 사주 原局에서 이루어진 干合은 일생 풀리지 않으나 大運에서 沖..

명리학 연구 2022.12.29

천간 합에 대하여

천간 합에 대하여 ​ 合에 대한 정의는 合化 여부를 넘어서 眞化와 假化, 理法적인 측면을 다루는 滴天髓와 氣論적인 측면을 주로 하는 난강망을 같이 이해를 해야 合化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되리라 보여지며, 더 나아가 刑沖會合 실기까지 확장을 해야 진정한 合과 化를 알 수가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많은 공부를 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기초적인 분야를 올립니다.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지적을 바랍니다. ​ 가) 천간 합에 대한 정리. 1. 우선 天干 合은 단순히 合을 하느냐, 못 하느냐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2. 合이 되어도 合化가 되느냐 안 되느냐의 뒤의 사항까지 가야합니다. 또한, 合化에 대한 문제는 적천수(滴天髓)가 다루는 부분과, 난강망이 다루는 부분이 틀리므로 이 合化의 문제도 이법적인 ..

명리학 연구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