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간종기 부종세 음간종세 무정의
陽干從氣 不從勢 陰干從勢 無情義
陽干은 氣에 從하지만 세력에 從하지 않으나
陰干은 勢를 따라 從하므로 무정의(無情義)라 한다.
例...
양간(陽干)의 경우.
戊 甲 庚 乙
辰 午 辰 丑
87 77 67 57 47 37 27 17 07
辛 壬 癸 甲 乙 丙 丁 戊 己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財格에 身弱하지만 辰月의 季春生으로 節氣가
木의 季節이므로 비록 身弱하나 旺盛한 財에 從하지 않고
辰中의 比(乙)와 印(癸)을 用하여 財旺身弱格으로 간주한다.
음간(陰干)의 경우.
丙 乙 戊 丙
戌 巳 戌 辰
86 76 66 56 46 36 26 16 06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子 亥
財格에 財旺身弱으로 陰干 乙木日主가 依支處가 없으니
부득이 旺한 財의 勢力을 쫓아 從하는 경우이다.
- 웹사이트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약과 쇠왕의 구별. (0) | 2025.04.26 |
---|---|
격국과 억부법. (0) | 2025.04.24 |
한난(寒暖)과 조후(調候) (0) | 2025.03.13 |
간명(看命)의 기본원리(基本原理) (0) | 2025.01.23 |
명리문답(命理問答)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