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난과 조후.
한난조습론(寒暖燥濕論)
천간(天干)에는 한난(寒暖)이 있어 만물(萬物)이 發育하니 과(過)하면 불과하다.
지지(地支)에는 조습(燥濕)이 있어 품휘(品彙)가 生成하니 편(偏)하면 불과하다.
*註. 품휘(品彙) : 여러 가지 종류의 물건.
한난조습(寒暖燥濕) 처리법.
천간(天干)은 한난(寒暖)을 다루고, 지지(地支)는 조습(燥濕)을 다룬다.
한(寒)의 대표는 천간(天干)의 癸水이고 난(暖)의 대표는 천간(天干)의 丙火이다.
조(燥)는 지지(地支)의 寅,午,戌,巳,未이며, 습(濕)은 지지(地支)의 申,子,辰,亥,丑이다.
한난조습(寒暖燥濕)은 간지(干支)에 구애(拘碍)없이 조절(調節)이 可能하다.
천간(天干)
한(寒): 庚, 辛, 壬, 癸 中 대표적인 글자는 癸水.
난(暖): 甲, 乙, 丙, 丁 中 대표적인 글자는 丙火.
冬月의 癸水나 夏月의 丙火는 過하니 生意를 읽게 되어 좀처럼 良好한 命이 되기 어렵다.
지지(地支)
조(燥): 寅, 午, 戌, 未, 寅.
습(濕): 申, 子, 辰, 丑, 亥.
燥濕이 치우치지 않고 적당히 배합되면, 즉 生意를 잃어버리지 않으니 最小限의 調候는 喪失되지 않는 것이니 따라서 衣食은 잃지 않는다.
예를 들어 八字에 丙,丁이 많아 燥熱하면 天干의 癸水나 또는 地支의 濕氣로 調候를 조절하면 마땅하고 또는 壬,癸가 많아 寒濕하면 天干의 丙火나 또는 地支 乾燥로 調候를 조절하면 마땅하다. 이때 子水가 丙火에 작용한 게 아니라, 子中의 壬,癸 水가 丙火를 調律한다. 즉 透干과 藏干은 干支의 경계를 넘나들며 相互작용하는 것이다.
반면 五行 생극제화(生剋制化)는 干對 干, 支對 支의 작용을 넘지 않는다. 地支가 天干에 작용할 수 있는 경우는 會支의 상황이다. 즉 地支 會局은 天干에 透한 것처럼 본다. 그리고 透한 天干 또는 會局은 藏干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다만 支藏干의 글자도 刑沖으로 開庫되면 透한 天干과 작용한다.
이처럼 기(氣)와 세(勢)는 힘의 作用力이 미치는 領域이 있고 그렇지 않은 영역이 있다. 寒暖燥濕이 배합되면 생의(生意)가 나타나므로 衣食이 충족된다.
난강망 申月 壬水를 보면...
1. 여름과 겨울이 아니면 調候가 時急한 것은 아니다.
欄江網에 申月 壬水는 戊土와 丁火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어떤 이유일까?
그것은 일원(日元)과 월령(月令)의 쇠왕(衰旺) 때문이다.
申月 壬水는 2글자 모두 旺하다. 旺한 陽干 壬水는 剋하는 戊土가 필요하다.
또한 地支 申中의 庚金도 强하니 制가 必要하게 되므로 丁火가 적당하다.
그렇다면 왜 丙火는 아닌 정화인가? 十干에서도 丙,戊가 좋지 않은가?
庚金을 制하는데는 丁火가 적당하다. 그 이유는 申月에는 丙火보다 丁火가 더 旺하다. 季節的으로 그렇다. 그래서 申月 壬水는 戊,丁이 用神이 된다.
□壬戊□
□□申□
여기서 天干 戊土는 月支에 뿌리를 둔 壬水를 制한다.
그렇다면 申月 中에 즉 透干되지 않는 申中 庚金을 효과적으로 制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庚金이 藏干에 있으니 透干한 丁火보다는 支藏干의 丁火가 더 효과적인 처리법이며 즉 藏干에 丁火는 午 또는 戌에 있다.
그렇다면 이제 庚金이 透干했다면 어찌되는가?
庚壬戊□
戌□申□
透干된 庚金은 透한 丁火가 필요하다. 戌中 丁火로는 制가 안 된다. 天干은 天干끼리 地支는 地支끼리인 것이다. 丁火가 透干하여 庚金을 制해야 인수용살(印綬用殺)의 극귀(極貴)가 된다. 丁火가 透干해 인봉관살(印逢官殺)에 財로 破格이 아닌가?
申月 丁火와 申月 庚金은 衰旺을 분별해야한다. 庚金이 旺하니 丁火는 戊土를 生하는 게 아니라 庚金을 剋하는데 써야 한다. 中和와 扶抑의 原理이다.
陽干은 氣에 從하므로 衰旺에 영향을 더 받고, 陰干은 勢에 從하므로 强弱이 關鍵이다. 强弱은 地支에 通根여부를 살피고, 氣의 旺衰는 月支의 季節을 보는 것이다.
□壬□□
□戌申□
欄江網은 壬水를 制한 것이 天干 戊土 대신 地支 陽土인 辰,戌도 可하다고 한다. 이것은 地支끼리 作用. 즉 戌中 戊土가 申中의 壬水에 작용하여 뿌리를 弱하게 만든 경우이다. 水의 季節로 들어가는 申中 壬水를 統制하는 것이다.
戊土는 合하려는 性向은 强하고 沖해도 본래의 性質을 잃지 않는 경향이 있다.
丁火는 庚金을 制하기 위해서였다. 申月에는 丙火보다 丁火가 더 强하다.
格局의 겉모습에 드러나지 않는 貴賤은 藏干이 遂行하는데 藏干의 글자의 旺衰와 中和를 본다. 申月은 調候보다 扶抑이 더 중요하다. 여름과 겨울에는 調候가 더 중요하다.
申月 壬水 입장에서는 丙火도 나쁠 리가 없다. 調候는 藏干에서도 얼마든지 調節이 可能하므로 丁火가 透한 것이 좋다. 水와 火의 調律은 藏干의 영향력이 透한 天干에 미친다. 寒暖燥濕이 배합되면 衣食이 충족하는 것으로 理解하면 무난하다.
□壬□□
□□申巳
欄江網에 申月 壬水가 丙,戊를 둘 다 藏干에 갖추면 富中取貴라고 했다.
地支에 寅 또는 巳만 있어도 支藏干의 丙,戊가 氣候를 조절하고 戊土로 强한 壬水를 덜어내는 것이다. 用神이 透干하지 않아도 支藏干에서도 效用이 있다는 것이다.
조후(調候) 처리법.
調候에 너무 깊이 빠져들면 사주를 看命하는데 있어서 혼란이 발생한다.
기본의 調候法만 바탕에 깔고 看命에 들어가야 실수가 적다.
甲木.
甲木은 四季節을 막론하고 丙火와 癸水를 필요로 한다.
春節에는 아직 寒氣가 남아 있기 때문이 丙火가 필요하고 夏節에는 南方의 季節이라 할지라도 强烈한 태양이 있어야 五穀百果가 무르익는다.
秋節에는 金의 亂動을 막아야하고 結實을 도와야 하니 丙火가 필요하다.
冬節에도 火가 필요한 것은 五行 中에 唯一하게 生命이 있는 五行이기 때문이다.
甲木이 局勢를 잘 갖추고 火가 있으면 木火通明을 이루어서 高名한 學者의 길을 걷는 者가 많다. 古書에 이르기를 "文人, 學士의 대개는 木火通明의 傷官格에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聰明達士라 하였다.
乙木.
乙木 역시 四季節을 막론하고 丙火와 癸水를 떠날 수 없다.
여기에 약간의 土가 補助를 하면 이름을 얻는 것은 문제가 될 것이 없다.
乙木의 특성은 살아 남으려는 根性이 强하고 환경적응이 빠르며 남을 타고 오르려는 心理가 强하다. 그러나 아니다 싶으면 곧바로 돌아서는 매정함도 있다. 또한 약점이 잡히면 뒤꿈치를 물고늘어지는 경향이 强하다.
乙木의 특성은...
土가 많으면 木折되고
水가 많으면 浮木이 되고
金이 많으면 기어오르고
火가 많으면 스스로 焚木한다.
丙火.
丙火는 五行 中에서 가장 强하며 보스(우두머리) 氣質을 가지고 있으므로 極한 상황이 아니면 從하는 법이 없으며 대체로 매사에 直線的이거나 直說的이다.
丙火가 壬水를 만나서 原局을 잘 갖추면 英雄豪傑의 기질을 갖고 있다.
豪放, 호탕, 男子 中에 男子(豪傑之風)
丙火는 天下를 비추려는 氣質이 있다. 壬水는 丙火의 빛을 받아서 빛이 反射되는 역할을 해주니 反生의 功이 있으며 이것을 水輔陽光(江輝相影)이라 한다.
예1) 예2) 예3)
壬 丙 壬 壬 丙 癸 癸 丙 癸
○ 日 ○ ○ 日 ○ ○ 日 ○
사주가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신경이 예민하여, 심한 즉 神經過敏 증상으로 고생하거나, 더욱 심하면 精神異狀이 올 수도 있다. 그 이유는 丙火를 精神으로 보기 때문이다.
丙火日干이 旺하면 머리가 좋아서 異狀이 오고 日干이 弱하면 머리가 나빠서 異狀이 온다. 대체로 性質이 까칠하고 사납다.
丙火가 癸水를 보면 날씨가 흐린 상태와 같이 精神이 맑지 못함.(不晴不雨)
막노동이나 장사를 해서 먹고사는 것에 不過한 賤한 인생이다.
아무튼 丙火가 癸水를 取用하는 경우에는 調候는 성립되지만 下格에 불과하다.
丙火가 제일 싫어하는 것은 戊土가 빛을 晦光하는 것으로 광체(光輝)를 어둡게 하므로 丙火日干에 土가 旺하면 눈이 감긴다. 土를 눈꺼풀로 보기 때문이며 고로 잠이 많다.(눈두덩이 두툼하다.)
丙火가 食神인 土가 旺하면 食性이 좋으니 당연히 肥滿이 된다.
丙火는 土가 旺해서 晦光되면 固執不通이 되기 쉽고 丙火는 壬水를 얻어야 慷慨心이 있고 節度가 있으며 女子는 節槪가 있다.
丙火의 性質은 꺾이지 않으며 會社로 말하면 총수(會長)格으로 굴복함이 없다. 그러나 그렇게 强한 氣質의 丙火도 辛金을 만나면 最高로 두려워하는데 이는 丙火 가 時干이나 月干에서 辛金을 보면 合이 되어 壬水를 돌보지 않는다.
丙火를 總論하건데 丙火의 强熱한 氣勢를 洩氣하자면 濕土인 己土를 써야하며 타오르는 불꽃을 막고자 한다면 壬水를 써야 하고 그 性情이 柔順해지려면 辛金을 써야한다.
己土는 濕土이므로 능히 丙火의 强한 氣運을 收斂하고 戊土는 燥土라서 丙火를 만나면 빛을 가리기는 하지만 결국 말라서 갈라터진다.
壬水는 强中의 德을 갖추어서 능히 强烈한 火炎을 制化하고 癸水는 柔弱하여 丙火를 만나면 獨水熬乾으로 즉 蒸發해버린다.
辛金은 유연한 金이나 丙火와 合하여 强勢를 水로 化하고 庚金은 强健하므로 强者가 强者를 만나면 剋制되어 버린다.
地支에 寅午戌 火局을 이루었는데 다시 木을 만나서 火炎을 도우면 도리어 焚滅해 버린다.
丁火.
丁火는 甲木, 庚金을 떠날 수 없다. 丁火는 外的으로는 부드럽고 柔弱해 보이나 內的으로는 뜨겁다.
예1) 예2)
丙 ○ ○ 丁 ○ ○
午 巳 未 巳 午 未
그래서 丙火日主가 火局이 形成된 것보다 丁火日主가 火局이 形成되면 性質이 더 거칠고 사납다.
丁火가 丙火를 꺼리는 것은 奪光(존재의 가치를 잃는 것.) 단, 亥子丑月인 冬節에 丁火가 太弱했을 때는 例外이다.
丁火가 冬節에 生했을 때 乙木이 生하려면 丙火가 乙木 옆에서 마르게 한 後에 丁火를 生할 수 있다. 만약 丙火가 없으면 戌,未 土가 있어야 生化의 능력이 있다.
戌土와 未土는 燥土이기 때문에 濕氣를 除去하여 좋으나 그래도 甲木으로 生하는 것이 最吉하다.
丁火가 甲木과 庚金을 얻으면 이것을 劈甲引丁이라 한다. 丁火는 甲木과 庚金을 떠날 수 없지만 巳午未月 夏節에 丙火가 透干하면 丙火와 같이 壬水를 쓴다.
丁火日干이 弱하면 세상을 보는 視野가 좁다. 用神이 丁火인데 大運에서 丙火가 와서 用神 丁火를 奪光하면 丁火日干이 弱하게 되어 세상을 보는 視野가 좁아지는 이치와 같다.
丙火보다 丁火가 더 잔인하나 뒤끝은 없다. 丁火는 柔順함으로 그 中庸을 지키니 旺하거나 弱해도 두렵지 않고 때를 만나면 旺勢를 타고 때를 잃어도 滅息하지 않는다.
丁火가 가을에 生해도 天干에 甲,乙 木이 있으면 金이 두렵지 않고 겨울에 生해도 地支에 寅,卯 木이 藏되어 있다면 두려워하지 않는다.
戊土.
戊土는 陽의 土이므로 氣가 높고 무거우며 中央을 管掌하고 치우침이 없다.
春,夏의 戊土는 氣를 열어 萬物을 發生시키고 秋,冬에는 氣를 안으로 닫아 收藏하므로 萬物의 司令者라 한다.
戊土가 春,夏에 生하고 火가 旺하면 水로써 潤澤하게 해주어야 萬物이 자라지만 만약 水가 없어 乾燥하면 메말라서 土의 厚重함을 잃게 된다.
戊土가 秋,冬에 生하면 金,水가 많은 季節이니 당연히 火를 얻어 따뜻하게 해주어야 萬物이 化成하는데 만약 火가 없으면 陰濕하여 萬物을 病들게 하여 외롭다.
봄의 戊土는 木의 氣運에 受剋이 되므로 마땅히 火가 있어서 靜하여야 하고 金旺節의 戊土는 過洩이 많아 體가 薄弱하므로 衝動을 꺼린다. 秋土에 金이 많으면 土가 金으로 變한다.
흙보다 바위가 많은 山에 甲木이 弱하게 있으면 보기는 좋다. 이런 사람은 高尙하며 이름은 있어도 외롭고 쓸쓸하다. 보기는 좋아도 가진 것이 없으니 쓸모가 없다.
戊土에는 綠陰이 우거져야 名山이 되며 이름이 나는데 이에 더불어 물(水)이 있다면 錦上添花이다. 혹 日支에 寅申 沖이 있으면 이것을 喜靜忌沖이라 해서 大忌한다. 地支는 靜을 喜하고 動을 忌한다.
예1) 예2)
○ 戊 ○ ○ ○ 戊 ○ ○
申 寅 ○ ○ ○ 寅 申 ○
日 日
예3) 예4)
○ 己 ○ ○ ○ 己 ○ ○
酉 卯 ○ ○ ○ 卯 酉 ○
日 日
地支에서 沖이 일어나면 지진(地震)이 일어난 것으로 본다. 이런 四柱는 男女불문하고 中年에 반드시 파탄이 난다.(金의 長生處와 火,土의 長生處 沖때문에 그렇다.)
戊土日干에 甲木, 癸水, 丙火가 갖추어지면 最吉하다. 火는 본시 土를 生하나 夏節에는 오히려 剋이 된다. 金,水가 본시 土를 洩하나 夏節에는 오히려 生이 된다. 이것을 反生이라 한다.
夏節의 戊土가 金水의 勢力을 갖추면 '7년 大旱에 甘雨와 같다'. 라 하였다.
草木群生 物而皆而爲自樂(초목군생물이개이위자락)
모든 草木들이 스스로 잘 자란다는 뜻이다.
己土.
己土는 濕土라서 潤澤, 潤濕하다. 己土는 甲木, 癸水, 丙火를 떠날 수 없다.
巳午未月의 炎上節에도 丙火는 필요하다. 癸水도 함께 필요하다. 土 역시 살아가려면 水,木이 필요하며 이것을 旺衰라 한다. 巳午未月에는 土가 스스로 旺하다. 天干의 丙,丁도 內的으로는 스스로 土를 감추고 있다. 戊土는 燥土이기 때문에 生氣가 없는 것으로 論한다. 단, 冬節에는 生意가 있다. 除濕하는 功이 있다.
己土는 木이 旺해도 그 性情이 柔順하여 받아들이는 性情이므로 木을 도와 培養해서 木으로부터 剋을 당하지 않는다. 己土는 陰濕한 土이므로 능히 火의 氣運을 어둡게 하고 潤澤한 氣運으로 金을 生한다.
사주에 土가 많아 뿌리가 堅固할 때 丙火를 만나면 그 陰濕한 氣運을 除去해주니 萬物을 자생(滋生)할 수 있는 能力이 있으므로 부조인수(扶助印綬), 방조비겁(幇助比劫)이 모두 加하다.
例 ○ 己 戊 ○
○ 未 午 丑
己土가 旺한 중에 戊土까지 透干하면 己土로 論하지 말고 戊土로 論해야 한다.
庚金.
庚金은 가을의 숙살지기(肅殺之氣)이므로 强함이 五行 中에 가장 强하다.
庚金이 水를 얻으면 그 强한 氣運을 引通시켜서 吉하고 火를 得하면 예리하게 되는데 이것은 丁火를 말한다. 丁火는 陰火이므로 庚金을 敵으로 對하지 않고 적당히 단련(鍛鍊)하여 관리하는 것에 무게를 둔다.
庚金이 春,夏節에 生하면 氣運이 연약(軟弱)하니 丑,辰 土로 生하면 아름다우나 未,戌 土를 만나면 太弱해지므로 不吉하다.
庚金이 甲木을 만나면 능히 작벌(斫伐)하나 乙木은 서로 合하여 도리어 情이 있겠으나 만약 진종(眞從)하지 못하면 난폭(亂暴)함을 돕게 된다.
甲,丙,戊,壬은 陽干으로 制해 주어야 功이 있다. 그러나 庚金은 陰火로 다스려야 功力이 있다. 이것은 다른 五行과는 성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庚金日干을 丁火로 用神을 삼으면 文官이 되고, 丙火를 쓰면 武官이 된다.
甲木은 庚金으로 잘라서 다듬어야 쓸모가 있다.
丙火는 壬水가 補强해주어야 한다.
戊土는 甲木으로 疎土해주어야 한다.
壬水는 戊土로 가두어야 한다.
단, 庚金은 丙火가 따뜻하게 해주는 功밖에 없으므로 丁火를 써서 器物을 작성해야 쓸모가 있으므로 性質이 다르다고 하는 것이다.
庚金은 사납고 强하므로 丁火로 부드럽게 해야 자연스럽게 用度가 생기는데 그 이유는 庚金은 섬뜩하고 오싹한 氣運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春節의 庚金은 絶地이기 때문에 弱한데 이때 己土는 좋아하지만 戊土는 싫어한다.
이를 古書에서는 '정수리에다 진흙더미를 뒤집어씌우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만약 이렇게 되어있으면 못생겼고 답답하며 머리도 나쁘고 고집이 세다. 이런 경우에는 己土나 比劫의 生扶가 마땅하며 또한 比劫이 많을 경우에 戊土로는 안 된다.
庚,辛 金은 土가 埋金하는 것을 最忌한다.
水가 본시 金을 洩하나 夏節에는 生이 된다.(反生)
炎上節에 火가 旺한데 濕氣가 없으면 土는 生金이 不能하다.
庚金이 夏節에 生하고 火局이 形成되면 弱한데 본시 己土의 生助가 不能하지만 午中에 丁火, 己土가 들어 있으므로 己土는 丁火로부터 계속 生을 받아 生助가 된다.
地支에서 子,未가 바로 옆에 붙어있으면 濕한 丑土로 볼 수 있고 子,戌이 붙어있어도 濕한 辰土로 論한다. 절대적인 濕土도 아니고 또 剋하는 사이지만 反生의 功도 있다.
가을 申,酉,戌月의 庚金은 스스로 自旺하므로 丁火로 다스려야 하는데 이때는 丁火가 旺할수록 좋다. 사나운 것을 다스리려면 다스리는 것도 사나워야 한다.
庚金이 申,酉,戌月에 태어나면 旺해지므로 木,火. 즉 財星과 官星이 勢力을 갖춰야 한다. 申,酉,戌月에는 木,火가 弱하므로 勢力을 갖추어야 하는데 木이 旺해서 官星을 生하면 이것을 財滋弱殺이라 한다. 冬節의 金은 火가 본시 剋하나 이때는 生이 된다.(反生)
冬節의 庚金은 天干에서 丙,丁 火를 얻어도 官殺混雜으로 論하지 않는다.(官殺混雜不論) 庚金이 秋節에 生해도 일반이다. 丙火는 庚金을 따뜻하게 해주고 丁火는 鍛鍊을 하므로 官殺混雜으로 論하지 않는다.
庚金이 濕土로 이루어지고 火가 全無하면 녹이 슨다. 이렇게 되면 못생기고 懶怠, 安逸, 決斷力이 없다.
辛金.
辛金은 五金(金, 銀, 銅, 鐵, 鉛)으로 淸潤한 金이다. 辛金은 土가 重疊되는 것을 大忌한다. 土가 重疊되면 金을 埋金하고 水를 마르게 하기 때문이다.
辛金은 壬水의 洩氣(陶洗珠玉)를 좋아하고 壬水가 多情하면 土를 潤澤하게 하여 金을 生하므로 吉하다.
丙火가 甲木을 불사르면 不吉한데 이때 辛金이 있어서 丙火와 合하여 水를 生하면 吉하다.
辛金이 夏節에 生하여 火旺일때 己土가 있으면 火氣를 흡수하여 金을 生하므로 吉하다. 辛金은 庚金과 性質이 전혀 다르며 부드럽고 溫柔하며 예쁜 것으로 論한다.
辛金은 丙火와 壬水를 떠날 수 없다. 절대 불가하다. 壬水만 있으면 能力은 있다고 본다. 辛金은 丁火의 불로 다스리는 것을 싫어한다.
그러나 辛金이 申,酉月에 태어나고 다시 天干에 比劫이 透出하면 이때는 丁火로 다스려야 하는데 이것을 一將當關이라 한다. 이때는 따뜻하고 溫柔한 性質이 庚金의 性質로 바뀐다.
丁火가 透出하면 比劫으로 다스린다. 金이 旺하면 이유를 막론하고 丁火로 다스린다. 丙火는 調候에 불과하므로 富만 있고 貴는 없다.
辛金은 태양의 빛을 받아 反射시켜야 하는데 이것을 가리는 土를 가장 싫어한다.
이렇게 되면 대체적으로 人物이 못생겼고 自身은 감추고 他人의 허물을 자꾸 파내려는 習性이 있으며 또한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증이 있다.
辛金日主가 土가 旺하면 甲木으로 疎土한 後 壬水로 다스린다.
再次 강조하지만 辛金은 四季節을 막론하고 壬水와 丙火가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丙火는 辛金을 빛나게 하며 壬水는 辛金을 깨끗하게 씻어주기 때문이다.
예1) 예2) 예3)
丁 辛 丁 ○ 丙 辛 丁 ○ 丁 辛 丙 ○
○ 日 ○ ○ ○ 日 ○ ○ ○ 日 ○ ○
위와 같이 구성된 명조 주인공은 대체로 신경이 예민하여 신경과민 증상으로 고생하거나 심한 즉 精神異狀이 올 수 있다.
壬水.
壬水는 戊土를 만나지 못하면 쓸모가 없다. 壬水가 太旺했을 때 戊土가 없고 己,丑,未가 있으면 堤防의 능력을 발휘 못하고 오히려 水를 흥분하게 만들고 흐려놓아 不吉하다. 그러나 戌土 中에는 戊土가 暗藏되어 있어 감당할 수 있다.
戊土가 戌月에 태어났는데 天地가 水局을 이루어도 감당을 한다. 子月도 일반이다.
壬水日主가 旺하면 자기 性質을 스스로 自制하지 못하고 뒤집어지니 속을 알 수 없다.
壬水가 巳午未月에도 戊土가 필요하지만 이때는 金,水가 勢力을 갖추어야 한다.
巳午未月에는 火,土가 旺하니 庚,申,辛,酉 金으로 水의 根源地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壬水가 巳午未月에 生하고 天地가 火,土로 이루어졌으면 從火하는 것으로 論한다.
金이 年,月에 있어서 日干을 生해주면 祖上의 蔭德이 있다.
秋冬節에는 天干에 戊土가 透出되어 있어야 한다. 壬水가 亥,子月에 生하면 반드시 戊土가 필요하고 만약 甲木이 透干되어 있으면 庚金이 있어야 한다.
庚 壬 甲 戊
子 子 申 ○ *이 命造는 임의로 구성한 것임.
地支에 申子로 半水局이 形成되어있는데 甲木이 透干하여 戊土를 制하고 있으므로 庚金이 甲木을 制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를 除外하고는 庚金은 절대 필요치 않고 오히려 암적(癌的)인 존재이다.
만약 庚金으로 用神을 쓸 경우 妻子息이 不美하여 惡妻에 悖倫兒를 낳게 된다.
하지만 무더운 여름 夏節에는 生命같은 존재이다.
겨울의 庚金은 계속 물을 生하므로 물이 어름(氷)으로 變한다. 그런데 만약 庚金을 用神으로 쓰게 되면 自身의 삶은 무난할지라도 妻子息은 不美하다.
戊土를 用神으로 쓸 경우 同時에 丙火도 같이 써야 한다. 그 이유는 戊土가 물을 막더라도 물이 얼어있기 때문에 丙火로 녹여주어야 한다.
壬水가 己土를 쓰는 경우가 가장 위험하며 불리한데 그 이유는 己土濁壬의 역할로 己土가 壬水의 正官이지만 堤防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여 官不足으로 학벌도 떳떳치 못해 4년제 대학보다 전문대학 學歷정도이며 여자는 남편이 만족치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男女間에 生殖器계통에 障碍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癸水.
癸水는 己土와 甲木을 떠날 수 없다. 癸水는 비록 旺하더라도 戊土로 用神을 쓰지 않는다.
註: 癸水와 戊土 관계는 이렇게만 단정할 수 없으니 재삼 고려할 문제로 본다.
癸水는 壬水가 透出하고 地支에 水局이 形成되지 않은 경우를 除外하고 절대로 戊土를 用神으로 쓰지 않는다.(강조) 그 이유는 癸水는 陰干이기 때문에 强하지 못하므로 부드럽게 對하는 것이 좋다. 造化를 이루는 것으로 用한다.
癸水는 성질이 柔弱하고 그 氣勢 또한 靜的이다. 그러나 能히 土를 濕하게 하여 潤土해서 木을 培養하여 萬物을 발생시킨다.
癸水는 火,土를 만나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至極히 弱한 水이므로 火,土의 旺한 勢力을 만났을 때는 從火해버리기 때문이다.
癸水가 秋,冬의 金,水가 旺한 季節에 태어나 地支에 辰(龍)을 만나고 天干에 丙,丁 火가 透出했으면 從하지 않는다.
癸水는 너무 旺한 庚,辛 金을 만나면 오히려 洩하지 못하고 반대로 濁水가 된다.
- 웹사이트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국과 억부법. (0) | 2025.04.24 |
---|---|
양간종기 부종세 음간종세 무정의 (0) | 2025.04.22 |
간명(看命)의 기본원리(基本原理) (0) | 2025.01.23 |
명리문답(命理問答) (0) | 2025.01.16 |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