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의 생극화(1)
天干의 生剋化.
제1절. 천간의 생극합화.
第一節. 天干의 生剋合化.
日干의 旺衰强弱을 판단할 때에는 당연히 得時, 得地, 得勢의 상태를 고찰해야 하지만 그 외에도 天干의 生剋合化, 地支의 會合刑沖害 및 天干 地支의 相生과 相剋과 合의 상태를 고찰해야 하는 것이다. 이제 天干과 地支의 복잡하고 오묘한 관계를 분석한다.
四柱八字의 天干은 1개가 아니고 4개다. 따라서 그들끼리 생하고 剋하고 合하고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日干을 爲主로 할 때 年, 月, 時의 天干은 日干과 五行이 같지 않은 한, 日干과 生하거나 剋하는 관계가 必然的으로 발생하게 되며 때때로 合하고 變化하는 경우도 생긴다. 또한 年干과 月干과 時干끼리도 서로 生剋合化의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가령 天干끼리 剋하는 동시에 合하는 것이 있으니, 예컨대 甲과 己, 乙과 庚, 丙과 辛, 丁과 壬, 戊와 癸가 五行의 관계에서는 相剋이 되면서도 合하여 변질되는 것이다. 또 地支에 化神이 旺相하면 사주에 化神을 剋하는 五行이 없는 한 合으로 인해 변화하게 된다.
그런데 四柱의 天干과 地支는 위치와 형세가 여러 가지다.
위치를 볼 때 年과 月, 月과 時, 日과 時는 근접해 있다. 반면에 年과 日, 月과 時, 年과 時는 떨어져 있는 것이다.
또 天干은 바로 밑에 깔고 앉은 地支의 차이에 따라 旺衰가 달라진다.
예컨대 甲이 寅위에 있으면 通根했으니 역량이 强해지고 甲이 申위에 있으면 밑으로부터 剋을 받아 역량이 弱해지는 것이다.
또 天干이 地支에 通根하면 旺해진다. 예컨대 봄에는 甲이 强함을 얻고 地支에 臨官, 長生, 帝旺, 墓庫, 餘氣가 있으면 强해진다.
또 天干의 숫자에 의해서도 역량의 차이가 생기니, 예컨대 2~3개의 庚과 1개의 甲이 있다면 庚은 숫자가 많고 甲은 숫자가 적으니 甲은 더욱 맥을 못 춘다.
또 印星이나 比劫을 만나면 强해지고 자기를 剋하는 官殺이나 자기가 剋하는 財星이나 자기가 生해주는 食傷을 보면 弱化된다. 이상은 모두 天干의 生剋合化의 관계를 말할 것인데 이제 항목을 나누어 자세히 고찰하기로 한다.
1. 천간의 상생(天干의 相生)
甲,乙 木은 丙,丁 火를 生하고, 丙,丁 火는 戊,己 土를 生하며, 戊,己 土는 庚,辛 金을 生하고, 庚,辛 金은 壬,癸 水를 生하고, 壬,癸 水는 甲,乙 木을 生한다.
生해주는 五行과 生함을 받는 五行의 경우에 生해주는 五行은 힘이 빠지고 生함을 받는 五行은 힘이 强化된다.
그들이 가까이에 있으면 生해주는 힘이 크고 멀리 떨어져 있으면 生해주는 역량이 弱하다.
生해 주는 者가 通根하여 强하면 力量이 커지고 通根하지 못하고 다른 天干이나 地支로부터 剋을 받으면 있어도 없는 것과 같이 生해주는 힘이 미약하다.
生하는 者가 天干에서 比劫을 많이 만나면 生하는 힘이 크다.
이상은 天干이 生助하는 현상을 분석한 것이다. 有力한 生助者가 日干을 生해주면 日干 역시 力量이 强化되어 旺해질 수 있고 生助者가 뿌리가 없어 弱하다면 生함을 받는 五行 역시 큰 도움을 받지는 못한다.
日干이 衰弱하고 官殺이 旺하면 日干이 剋을 받음이 심한데 이때 有力한 印綬가 있다면 官殺의 기운을 흡수하여 日干을 돕는데 쓴다. 日干이 衰弱하고 食傷이 旺하면 洩氣가 太甚한 것이 禍根이 되는데, 이때 유력한 印綬가 있으면 日主를 生助하는 동시에 食傷을 剋해주는 좋은 역할을 한다. 이것은 나(日干)를 生해주는 印星의 효능이다.
그런데 印星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印星이 通根하지 못하거나 財星이 있어 印星을 剋하면 印星의 역량이 弱化되어 日干을 生助하는데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럴 경우의 印星은 用神이 될 역량을 잃고서 閑神의 위치로 물러서게 된다.
四柱를 보고 用神이 天干에 있을 때는 日干의 가까이 있는지(月干이나 時干), 멀리 떨어져 있는지(年干), 用神이 通根하고 있는지, 用神이 깔고 앉은 地支가 用神을 돕는지 해치는지 등을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그리하여 上下左右의 위치가 合當한지, 力量이 있는지를 살펴서 用神의 위치와 力量이 합당하면 富貴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用神이 있어도 힘이 부족하거나 위치가 日主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면 그만큼 부귀할 기회가 감소된다고 판단한다. 用神이 死絶되거나 用神이 없거나 微弱하다면 貧賤하고 夭折한다고 판단한다.
2. 천간의 상극(天干의 相剋)
甲,乙 木은 戊,己 土를 剋하고, 戊,己 土는 壬,癸 水를 剋하고, 壬,癸 水는 丙,丁 火를 剋하고, 丙,丁 火는 庚,辛 金을 剋하고, 庚,辛 金은 甲,乙 木을 剋한다.
일반적으로 剋하는 것은 우세를 점하고 剋을 받는 것은 열세에 처해 있다. 그러나 剋하는 것이 힘이 弱하거나 무리를 이루지 못하고 剋을 받는 것이 역량이 强하거나 무리를 지으면 剋을 할 수 없고 오히려 剋하는 者만 손해를 본다.
그러므로 天干의 相剋을 볼 때는 반드시 剋하는 者가 處한 位置와 力量을 살피고 나서 剋할 수 있는지 없는지, 얼마나 剋하는 힘이 强한지, 剋을 받는 쪽이 얼마나 당하는지, 조금 弱化될 뿐인지 전멸할 정도인지를 자세히 살펴야지 무턱대고 剋하는 者가 승리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이것은 먼저 전쟁을 도발한 國家가 敗亡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年에 庚이 있고 月에 甲이 있다면 위치가 근접해 있으므로 剋하는 힘이 强하다. 또 庚이 申을 깔고 앉았고, 甲이 寅을 깔고 앉았다면 天剋地沖이니 剋하는 힘이 크다.
2개의 庚과 1개의 甲이 있다면 甲은 감당하지 못하고, 2개의 甲과 1개의 庚이 있다면 庚이 승리한다고 보기는 힘들다.
1개의 庚과 1개의 甲이 있는데 庚은 失時, 失勢하고 甲은 得時, 得勢, 得地했다면 庚은 승리할 수 없고 오히려 당할 수도 있다.
年干에 庚이 있고 時干에 甲이 있다면 月과 日을 隔하고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剋하는 힘이 더욱 減少한다. 年干이 庚이고 月干이 壬이고 日干이 甲이라면 壬水가 중간에 끼어 있으면서 庚의 기운을 뽑아내어 庚을 弱化시키는 동시에 日干을 水生木으로 生助해주니 通關하여 조절하는 효능을 발휘하는 것이므로 剋하는 것 같지만 剋이 아니다.
또 庚年 丙月 甲日이라면 庚은 丙의 剋을 引接해서 받으므로 자기 자신을 지키기에 바빠서 멀리 있는 甲을 剋할 餘力이 없다.
庚年 甲月 壬時라면 비록 壬水가 庚金을 洩하여 甲木을 生하고 싶어도 庚과 甲은 가깝고 壬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庚이 甲을 剋하는 것을 막아내기 힘든 것이다.
庚年 甲月 丙時라면 비록 丙火가 庚金을 剋하여 制御하고 싶어도 庚과 甲이 가까이에 붙어 있고 丙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庚은 甲을 剋할 수 있는 것이니, 멀리 있는 救援兵이 도착하기 전에 공격함과 같다.
庚年 甲月 戊日이면 庚은 甲을 剋하고 甲은 戊를 剋할 수 있다.
이때 庚은 戊의 生助를 받아 强하므로 甲은 여지없이 당하므로 戊를 剋하기 어렵다. 이때 庚이 得時, 得地하고 甲이 失時, 失地했다면 甲은 완전히 전멸하다시피 되어서 戊를 剋할 餘力이 없어진다.
그러나 반대로 甲이 得時, 得地했다면 庚이 비록 甲을 剋하지만 승리하지 못하고 甲은 庚을 감당하고도 힘이 남아서 戊를 여지없이 剋한다. 이 경우에 戊가 得時, 得地했다면 甲은 戊를 剋하기도 힘겨우므로 庚에 의해 여지없이 전멸되고 많다.
四柱의 天干에 剋이 되어도 剋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이는 甲과 己, 乙과 庚, 丙과 辛, 丁과 壬, 戊와 癸가 만났을 경우이다. 이때는 陰과 陽이 和合하여 天干끼리 合하느라고 剋을 하지 않는 것이니 剋이 아니다.
그러나 甲과 戊, 乙과 己, 丙과 庚, 丁과 辛, 戊와 壬, 己와 癸, 庚과 甲, 辛과 乙, 壬과 丙, 丁과 癸는 陰陽의 和合함이 없으므로 剋이 된다.
日干 甲이 衰弱할 때 七殺 庚은 病이 되니 유력한 食神 丙으로 庚을 剋해야 하고, 日干 甲이 旺하면 壬의 偏印이 病이 되니 偏財 戊를 써서 壬을 剋하면 좋다.
이것은 剋하는 방법을 써서 효과를 보는 경우다. 그러나 剋하는 방법을 쓸 때 用神이 되는 剋神이 거리가 멀거나 通根하지 못해 미약하거나 用神을 剋하는 것이 있거나 하면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四柱에서 어떤 剋神을 用神으로 삼을 때는 반드시 剋할 力量이 있는지 살펴야지 무턱대고 剋하는 것이 剋을 받는 것보다 우세하므로 病神을 剋하여 除去할 수 있다고 속단하면 안 된다.
用神이 되는 剋神이 역량이 있어서 病이 되는 것을 제거하면 부귀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福을 減하고, 用神이 無力하다면 있어도 없는 것과 같으니 貧賤하게 된다. 모름지기 格局과 用神을 잘 살펴야할 것이다.
3. 천간의 상합(天干의 相合)
天干끼리 剋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고 剋을 하되 剋이 되지 않고 合하는 것이 있는 것도 설명하였다.
甲己 合하여 土로 變하고, 乙庚 合하여 金으로 변하고, 丙辛 合하여 水로 변하고, 丁壬 合하여 木으로 변하고 戊癸 合하여 火로 변한다고 이미 설명했지만 무조건 合했다고 變하는 것은 아니며 조건이 갖추어져야 비로소 變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조건 甲과 己가 있으면 合하여 土로 變한다고 하는 것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들이 함부로 주장하는 위험한 學說일 뿐이다.
사주의 天干이 定해졌으면 그 배합 관계와 向背를 살펴야 한다.
예컨대 甲日이 辛의 正官을 用神으로 삼고 싶어도 사주에 丙이 있으면 丙과 辛이 合하므로 辛은 正官의 임무를 망각하고 日干을 돌보지 않는다.
이렇게 吉한 六神이 合하여 쓸모를 잃었을 때 貪合忘貴라고 하고 특히 正官이 合하여 기능을 상실한 경우를 가리켜 貪合忘官이라고 한다.
甲日이 癸의 正印을 用하고 싶은데 戊가 있어서 合하면 癸는 기능이 정지되어 甲을 生助하지 못하게 되니 이미 印綬의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이미 印綬가 아니다.
甲이 己의 正財가 있어서 쓰려고 하는데 다른 天干에 또 하나의 甲이 있으면 己가 日干 이외의 甲과 合하므로 온전한 財가 아니다.
예컨대 年干에 己가 있고 月干과 日干이 甲이면 己는 가까이 있는 月干의 甲과 合하고 멀리 있는 日干 甲을 돌아보지 않는다.
日干이 乙이고 月干이 甲이고 年干이 己라고 해도 마찬가지이니 己는 가까이에 있는 甲과 合하기에 바빠서 乙의 偏財의 역할을 망각하게 되는 것이다.
甲日이 丙의 食神이 있어서 用하려고 하는데 辛의 正官이 있으면 丙과 辛이 合하여 食神은 기능을 정지하고 日干을 위해 작용하지 못한다.
이때 辛 역시 合하느라고 정신이 팔려서 日干의 正官이 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좋은 역할을 하는 天干이 合이 되면 쓸모가 없는 존재로 전 락하고 만다.
반면에 甲日이 庚의 七殺을 만나 무서워 떨고 있을 때 天干에 劫財 乙이 있어서 庚과 合하면 七殺과 劫財는 合하느라고 정신이 팔려서 고유의 흉포한 성질과 日干을 해치는 작용을 망각한다.
甲日이 丁의 傷官을 만나 기분이 나쁜데 偏印 壬이 있어서 丁과 合하면 丁과 壬은 合하느라고 바빠서 고유의 나쁜 성깔을 부려 日干을 괴롭히는 짓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4凶神(상관, 겁재, 편인, 칠살은 4凶神이고, 정관, 정인, 식신, 정편재를 4吉神)이 합하여 나쁜 짓을 멈추는 것은 탐합망천(貪合忘賤)이라고 한다.
반면에 4吉神이 合하느라고 좋은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을 貪合忘貴라고 한다.
그러므로 4凶神이 用神이 될 수도 있고 4吉神이 忌神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凶神, 吉神에 얽매이지 말고 用神을 중심으로 하여 用神이 合하면 不吉하고 忌神이 合하면 吉하다고 판단해야 한다.
예컨대 日干이 旺하면 七殺이 用神이 될 수도 있는데, 이때 七殺을 合한다면 不吉하게 되니 貪合忘賤이 아니고 탐합망귀(貪合忘貴)의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吉神이건 凶神이건 또 用神이건 忌神이건간에 合하면 고유의 작용을 망각한다.
사주를 볼 때 天干만을 보아서는 부족하고 반드시 地支와 天干의 배합관계를 고찰해야 한다.
地支에 通根하고 有氣하다면 合이 되어도 固有의 기능과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만 약간 力量이 부족할 뿐이다. 대체로 合하게 되면 그 작용이 정지되는데 用神이 合하면 用神이 못되고 忌神이 合하면 忌神이 아니다.
그러므로 日干이 꺼리는 것이 合하면 나쁜 작용을 못하니 오히려 좋은 결과가 되고, 日干이 좋아하는 것이 合하면 좋은 작용을 하지 않으므로 나쁜 결과가 된다. 六親의 문제를 가지고 이야기해 보 자.
예컨대 남자는 財星으로 妻를 대표한다. 財星이 필요한 男子 사주에서 財星이 日干 以外의 다른 天干과 合하여 日干을 돌보지 않는다면 그 사람의 婦人은 남편보다는 다른 데에 관심이 있게 되고 財産도 모으기 힘든 것이다.
사주에서 財星이 필요한 경우에 그 財星이 劫財나 比肩과 合한다면, 劫財, 比肩은 친구, 형제를 뜻하므로 그 부인이 다른 남자와 情을 通하고 財産 역시 사기 당하거나 뜯기게 되는 것이 다.
또, 女子의 사주에서 正官은 남편을 대표한다. 여자 사주에서 正官이 필요한데 正官이 合하여 日干을 돌아보지 않는다면 그 여자는 남편 덕이 없는 것이다.
남편의 관심 밖에 있어서 사랑을 받지 못하는데 어떻게 남편 복이 있을 수 있겠는가? 여자 사주에 乙日이 庚으로서 남편을 삼는데 庚이 年干에 있고 乙이 月干에 있으면 멀리 떨어진 日干에게 庚은 관심이 없고 月干의 乙이 年干 庚과 合하니 다른 여자에게 남편을 뺏기거나 본인이 小室살이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天干의 向背를 살피는 것은 일상생활과 직결되어 있는 것이다.
合이 된 것 같아도 合의 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어떤 경우인가? 둘이 떨어져 있고 둘 사이에 방해자가 있으면 合을 이루지 못한다.
비유해서 말하면 두 사람이 서로 좋아하는데 또 다른 제삼자가 있어서 둘 사이에 끼어 들어 방해를 놓는다면 교제가 원만히 이루어질 수 없는 것과 같다.
예컨대 甲과 己가 合하고 싶어도 그 사이에 庚이 끼어 들면(甲日 庚月 己年처럼), 甲은 剋을 받느라고 정신을 차릴 여가가 없어서 己와 사랑할 겨를이 없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合하고 싶어도 剋하는 者를 지나서 合해야 하므로 불가능한 것이다.
방해자가 칼을 들고 길목을 지키고 있는데 어떻게 애인을 만나러 갈 수 있겠는가? 너무 멀리 격하여 떨어져 있으면, 예컨대 甲이 年干에 있고 己가 時干에 있다면 마음은 비록 合하고 싶어도 거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合하기 힘들다.
예컨대 사람이 남과 북으로 수천 리나 떨어져 있으면 만나서 포옹하기 힘든 것과 같다. 그러나 방해자가 있어서 合하지 못하는 것과 는 차이가 있다.
즉, 방해자가 끼어 있으면 合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반해서 멀리 떨어진 경우는 절반의 위력으로 合한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완전한 合은 못되어도 半合은 된다.
만나지는 못해도 편지는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다.
合을 이루면서도 合에서 벗어난 것이 있다.
예컨대 甲日이 寅卯月에 生하고 月干과 時干에 2개의 辛 正官이 있다고 할 때 年干에 丙이 있으면 年干의 丙은 가까이 있는 月干의 辛과 合한다. 이렇게 되면 時干의 辛은 合이 되지 않고 그냥 남아서 자기 본연의 기능을 발휘한다.
하나는 合이 되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남았으니 이와 같은 상태를 가리켜 一合一留 또는 一去一留라고 한다. 正官이 2개가 天干에 있으면 좋은 징조가 못된다.
왜냐하면 正官이란 國家의 王과 같아서 1개만 있고 王하면 그만이다.
正官이 2개 이상 天干에 있으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 임금의 명령을 받은 신하처럼 이래야 할지 저래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우유부단하여 단 한가지 일도 제대로 성취하지 못하게 된다.
이럴 경우에 1개가 合이 되어 正官의 작용을 喪失하면 다른 1개의 正官이 固有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正官이 하나밖에 없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므로 좋은 사주가 되는 것이다.
두 명의 王이 정권을 잡으려고 싸우느라고 천하가 혼란스러운 때에 그 중 1명의 王이 좋아하는 여자에게 빠져서 대권 쟁탈전에서 물러서면 천하가 평안을 되찾게 되는 것과 같다.
또 甲日이 卯月에 生하고 七殺 庚과 正官 辛이 天干에 모두 있는데 丙이 天干에 있어서 辛을 合하면 正官은 合이 되어 기능을 喪失하고 七殺 하나만 남아서 七殺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正官을 合하고 七殺을 그냥 남겨두는 상태를 가리켜 거관유살(去官留殺) 또는 합관유살(合官留殺)이라고 한다. 양인격(陽刃格)(甲日 卯月, 丙日 午月, 戊日 午月, 庚日 酉月, 壬日 子月)은 正官보다 七殺이 있어야 대권을 장악한다.
다시 말해서 陽刃格은 七殺이 用神인 경우가 많다. 正官을 合하고 七殺을 남기면, 合이 되어 좋은 결과가 된다. 七殺과 正官이 모두 있는 사주는 관살혼잡(官殺混雜)이라고하여 賤하다고 판단한다.
官殺混雜이 되었을 때 하나가 合하여 기능을 喪失해야 비로소 사주가 맑아진다. 陽刃格의 경우에는 合殺留官보다 合官留殺이 더 좋다.
이처럼 2개의 官殺이 天干에 있을 때 1개를 合하여 1개를 남겨두는 것을 合을 이루면서도 合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合이 분명한데 合이라고 보지 않는 것이 있다.
日干이 合하는 것은 合이라고 보지 않는다.
무릇 5陽干은 正財와 合이 된다. 甲日은 己의 正財와 合하고, 丙日은 辛의 正財와 合하고, 戊日은 癸의 正財와 合하고, 庚日은 乙의 正財와 合하고, 壬日는 丁의 正財와 合한다.
5陰干은 正官과 合이 된다. 乙日은 庚의 正官과 合하고, 丁日은 正官 壬과 合하고, 己日은 正官 甲과 合하고, 辛日은 正官 丙과 合하고, 癸日은 正官 戊와 合한다.
이같이 日干이 合을 이루지만 다른 경우의 合처럼 合하여 去했다고 보지 않는다. 日干과 合은 有情하다고 보아야지 變質했다고 보지 않는다.
왜냐하면 陰陽의 配合을 이루어 日干의 正官과 正財가 有情한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乙日이 庚의 正官과 合했다면 正官과 내가 친절하게 되었음을 뜻할 뿐이지 日干이 變質했다고 볼 수는 없다.
四柱學에서 변화, 변질은 곧 기능의 喪失이고 죽음이다. 日干이 죽으면 그 四柱는 끝난 것이고 아무 희망도 없고 그런 경우에 그 사주의 주인공은 살아 있을 수가 없다. 그러므로 日干의 合은, 合이 분명할지라도 合으로 보지 않고 變質하여 去했다고 보지도 않는다.
만약 庚이 年干에 있고 乙이 月干에 있고 日干이 乙이라면 그 경우 庚은 가까운 곳에 있는 月干 乙과 合하므로 庚과 月干 乙은 合하여 변질하고 去한다.
일단 合去가 되면 官은 官이 아니고 閑神으로 전락한다.
여자의 경우 正官은 남편을 뜻하는데 만약 日干이 丁인데 月干에 丁이 있고 年干에 壬이 있다면 正官 壬은 月干 丁과 合하여 변질하므로 이미 正官의 기능을 喪失하고 만다.
이렇게 되면 그 사주의 주인공은 남편이 없거나 한 남자를 두고 다른 여인과 삼각관계가 형성된다.
쟁합(爭合)과 투합(妬合)이란 것이 있다.
예컨대 2개의 丁이 하나의 壬과 合하려 하고, 2개의 辛이 1개의 丙과 合하려 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한 남편이 2명의 아내를 거느리고 한 아내가 2명의 남편을 거느리는 것처럼 서로 合하려고 싸운다고 해서 爭合, 배우자와 合하려고 다른 同性을 시기 질투한다고 해서 妬合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다면 爭合·妬合이 될 수 없다.
예컨대 庚午, 乙酉, 甲子, 乙亥의
乙 甲 乙 庚
亥 子 酉 午
사주에서 年干 庚은 月干 乙과 合한다.
時干 乙은 너무 거리가 멀기 때문에 月干의 乙과 싸울 수가 없다.
아예 포기하는 것이다.
爭合은 2陽干이 1陰干과 合하려고 다투는 것이고 妬合은 2陰干이 1陽干과 合하려고 질투하는 것인데, 爭合과 妬合은 온전한 合이 되기 힘들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庚이 月干 乙과 능히 合하게 된다. 이 사주는 高太尉의 命造이다.
合殺留官이 되었으므로 合이 되어 有利하게 變한 것이다. 甲日이 酉月에 生했으니 正官이 섞여서 官殺混雜이 되었고 그래서 사주가 賤하고 濁할 위험에 처했다.
그런데, 다행히 月干 乙이 年干 庚과 合하여 合殺이 되어 七殺은 작용하지 못한다. 合殺留官이 되자 사주가 맑아졌다.
옛말에 正官은 合하면 貴를 잊어버리고 七殺은 合하면 賤함을 잃어버린다고 했는데 이것은 官殺이 日干 以外의 閑神과 合할 때의 이야기다.
十天干의 合은 陰陽이 配合된 것인데 五陽干은 正財와 合하고 五陰干은 正官과 合한다. 正官과 正財는 모두 吉神이므로 日干의 比肩이 있어서 吉神의 福을 분할하는 것은 나쁘다.
예컨대 甲日干이 己와 合하는데 다시 또 다른 甲이 있거나, 己日干이 甲과 合하는데 또 다른 己가 있으면 分合이 된다. 또 甲日干이 己와 合하는데 또 다른 己가 있거나 己日干이 甲과 合하는데 또 다른 甲이 있으면 이것은 爭合이다.
만약 甲과 己가 合하는데 庚 또는 乙이 있으면 庚은 甲의 七殺이고 乙은 甲의 劫財다.
庚은 日干 甲을 剋하고 乙은 日干의 正財를 파괴한다. 또 己日干이 甲과 合하는데 庚,乙이 있으면 庚은 日干의 正官 甲을 剋하는 傷官이고 乙은 日干을 剋하는 七殺이 된다.
陽日干이 七殺이나 劫財를 만나면 正財와 合하지 못하고 陰日干이 傷官이나 七殺이 있으면 正官과 合하지 못한다.
癸日干이 己의 七殺을 두려워하는데 甲이 있으면 甲이 七殺 己와 合하여 七殺을 無力化시킨다. 즉 七殺이 合하여 日柱에게 해악을 끼치지 못한다.
壬日干이 己의 正官을 좋아하는데 甲이 있으면 己는 甲과 合하여 正官의 임무를 망각하니 복이 되지 않는다. 喜忌를 밝히는 것은 모두 이처럼 추리하기 바란다.
天干의 合은 日主의 合을 제외하면 固有의 작용력을 喪失하고 閑神으로 전락한다.
특히 陰干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 甲日이 月干에 辛의 正官이 있는데 年干에 丙이 있으면, 食神 丙과 正官 辛이 合하여 변질하니 辛은 正官의 기능을 喪失하는 것이다.
그리고 丙 역시 食神의 기능을 喪失한다. 사주의 喜忌를 밝히고 나서 合을 해서 吉한지 凶한지를 판단해야 한다.
예컨대 甲日干이 丙과 辛을 꺼릴 때는 食神이고 正官일지라도 丙辛 合하여 그 작용을 무력화시켜야 吉하게 된다.
甲日干이고 식신 丙 또는 정관 辛이 좋은 역할을 하고 있다면 丙辛 合하면 좋은 역할을 하지 못하니 凶하게 된다.
合이 되면 각각이 원래 지니고 있던 기능을 喪失하고 고유의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合이 되어도 기능이 喪失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合이긴 해도 合이 아닌 경우도 있고, 合이 있어도 合에서 벗어난 것이 있고, 合인데 合이 아닌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爭合, 妬合, 分合이 되면 合하는 역량이 半으로 줄어든다. 이제 天干의 合을 항목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자.
① 年干과 月干의 合은 거리가 가까우므로 合하는 힘이 비교적 强하다.
두 天干 가운데 어느 쪽이 지나치게 王하거나 지나치게 衰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合去하며 合하여 변질하여 고유의 작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合去란 合하여 작용력을 잃는 것을 일컫는다. 年,月의 合은 대체로 合去하여 두 天干이 閑神이 된다.
② 年干과 時干, 月干과 時干, 年干과 日干은 거리가 1개 또는 2개의 天干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合하는 힘이 비교적 弱하다. 그렇기 때문에 合이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고 合이 성립된다고 해도 절반의 힘밖에 없으므로 그 각각이 지닌 화복길흉의 작용이 반으로 줄어든다.
간격이 있으면 剋을 받건 生助를 받든 간에 合하는 힘이 弱化된다. 특히 年干과 時干의 合은 合하는 힘이 매우 미약하다.
③ 2개의 天干이 合할 경우에 1개는 得時, 得地하고 다른 1개의 天干은 失時, 失地하면, 2天干의 역량은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旺한 天干은 合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력이 남아서 고유의 작용을 절반 정도 하게 된다.
④ 2개의 같은 天干이 妬合, 分合, 爭合하여 1개의 天干과 合하려고 다툴 경우에는 싸움과 질투의 영향으로 合하려는 기세에 지장을 초래한다. 완전한 合去가 되지 못하고 절반 정도의 고유한 작용력이 잔존하게 된다.
⑤ 사주 庚年, 乙月, 甲日, 乙時의 경우는 2개의 乙이 1개의 庚과 合하려고 다투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時干의 乙은 年干의 庚과 간격이 멀기 때문에 月干의 乙과 다툴 의사가 전혀 없는 것이다.
年,月의 乙,庚은 合去가 되지만 時干의 乙은 고유의 작용을 완전히 발휘한다. 또 乙年, 庚月, 乙日의 경우는 妬合이라고 하는데 合한 힘은 절반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각 天干은 50%의 고유한 작용을 할 수 있다.
또, 乙年 乙月 庚日은 月干과 日干이 合할 뿐이고 年干 乙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合하지 못한다.
庚年 乙月 乙日의 경우 月干과 年干이 合하므로 日干은 年干과 合하지 못한다.
己年 庚月 甲日은 日과 年이 떨어져 있는데다가 그 사이에 庚이라는 방해자가 있어서 日干과 年干이 合하지 못한다.
⑥ 무릇 天干이 合去가 되면 2개의 合한 天干은 閑神이 되고 각자의 고유한 작용을 전혀 할 수 없다. 그러나 半合이 되면 각 天干이 지닌 고유한 기능을 절반 정도는 수행한다. 爭合이나 妬合이 되면 각각의 天干은 절반 정도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論命을 할 때 用神, 喜神, 忌神이 天干에 있으면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경우의 合을 적용하여 각 天干이 지닌 좋거나 나쁜 영향과 역량을 측정하면 된다.
4. 天干에 剋과 合이 섞일 때.
사주팔자의 구성은 복잡다단하다. 天干만 보더라도 剋과 合이 섞여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럴 경우에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이제 항목별로 분석한다.
① 庚年, 乙月, 甲日 ― 庚과 乙이 붙어 있고 庚과 甲은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乙庚 合은 되지만 甲庚 剋은 되지 않는다.
② 庚年, 辛月, 乙日 ― 乙이 辛에 붙어 있고 庚과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乙辛 剋은 되지만 乙庚 合은 안 된다.
③ 甲年, 庚月, 乙日 ― 庚이 甲보다 우세하여 甲을 剋해야겠지만 乙과 合하느라고 剋하는 것을 망각하였다. 强한 庚은 미운 여자(甲)를 때려줄까 아니면 예쁜 여자(乙)를 껴안을까 망설이다가 결국 예쁜 여자를 껴안는다.
④ 丙年, 庚月, 乙日 ― 가운데의 庚은 왼쪽에는 깡패가 나타나고 오른 쪽에는 미녀가 나타나 유혹하는 중간에 끼었다. ③번과는 반대로 중간의 庚은 자기의 뜻대로 선택할 만큼 힘이 강하지 못하다. 깡패(丙)는 庚을 두드려 패서 庚이 연애하지 못하게 만든다. 丙庚 剋은 되지만 乙庚 合은 되지 않는다.
⑤ 丙年, 庚月, 乙日 ― ④의 경우와 같이 天干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세력에 있어서 丙이 得時, 得地했다면 ④의 경우처럼 丙이 庚을 剋할 뿐 경은 乙과 合하지 못한다. 그러나 庚이 得時, 得地했다면 丙은 强한 庚을 剋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剋은 안되고 乙庚 合만 된다. 丙,庚,乙의 역량과 세력이 균등하면 剋도 안되고 合도 안 된다.
5. 天干의 合과 化.
合하게 되면 化하는 것이 있고 化하지 않는 것이 있다.
合하여 變한다고 해도 眞化와 假化가 있다. 통상적으로 日干의 合이건 年干과 月干의 合이건 간에 化神이 地支에 通根하고 旺盛하면 化하는 위력이 크다.
물론 化神을 剋하고 방해하면 그 정도의 차이에 따라 化가 성립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야 한다.
化神이 通根하고 旺盛해도 化神을 剋함이 있으면 化하는 정도가 微弱하고, 化神이 通根하고 旺盛해도 剋을 받으면 어떤 때는 化가 되지 않는다. 억지로 化가 된다고 할 수 있을지라도 가짜로 化한 것, 즉 假化에 불과하다.
天干의 合化는 日干이 月, 時의 天干과 合하는 경우와 年干이 月干과 合하는 2가지 종류로 크게 나뉜다. 日干의 合化는 化氣格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건이다.
年,月 天干의 合化는 五行이 衰해지고 旺해지는 조건 가운데 하나다.
甲申, 癸酉, 乙丑, 庚辰의
庚 乙 癸 甲
辰 丑 酉 申
四柱는 日干이 時干과 合하고 地支에 金이 많고 火가 없으므로 化金格이다.
庚戌, 乙酉, 丙申, 己丑은
己 丙 乙 庚
丑 申 酉 戌
財星이 合하니 從財格이라고 볼 수 있다.
化氣格을 구성할 때는 日干이 合하여 變한다고 본다.
化格은 日干을 爲主로 하는 것이니 日干이 月干이나 時干과 合해야 化格이 된다. 年干과 日干이 合해서는 化氣格을 이루지 못한다.
日干이 合하지 않으면 化氣格을 이루지 못하며, 비록 合하는 天干이 通根하고 왕성했다고 해도 그러하다. 日干의 合이 되어야 化氣格이 된다.
合하는 天干이 地支에 通根하여 왕성하거나 化神이 미약하면 合이 돼도 고유의 五行이 역량이 남아있게 되므로 合하는 역량은 강화될지언정 化하는 역량은 弱化된다.
庚辰年 乙酉月 丁丑日 乙巳時의
乙 丁 乙 庚
巳 丑 酉 辰
사주에서 日干 丁은 時支에 帝旺을 만나고 時干과 月干에 乙이 있으니 生助를 받고 있다. 중복된 金을 제련하니 富貴한다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月干 乙은 庚과 合하여 金으로 化했으나 地支에 金局을 이루고 四柱가 모두 財이니 財多身弱이지 從財格이나 化格이 아니다. 丙戌, 丁亥運에 比劫이 幇助하여 돈을 벌었으나 戊子, 己丑運에 土가 金을 生助하고 불을 끄니 재산과 가족을 잃고 本人도 얼어죽었다.
辛丑, 丙申, 癸巳, 庚申의
庚 癸 丙 辛
申 巳 申 丑
사주는 財星이 있으니 아름답다. 그러나, 印星이 너무 많고 丑土가 金을 生하고 火를 끄며 丙辛이 合하여 水로 化하니 丙의 財가 劫財로 變했다. 申이 巳와 合하니 더욱 불행하다.
초년운 乙未, 甲午의 木火運에 遺産이 풍부했으나 癸巳運에 巳申이 合하니 一敗塗地하여 거지가 되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年,月 天干끼리의 合은 地支에 通根하고 왕성하면 化한다고 볼뿐이지 化氣格을 이루지는 못한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한다.
① 天干의 合化는 日干의 合化와 年,月의 合化로 나눈다. 日干의 合化는 化氣格을 이룰 때만 化했다고 본다. 그렇지 않으면 有情할 뿐이지 化하지 못한다.
② 日干의 合化는 甲己 合하여 化土格이 되려면 필히 辰, 戌, 丑, 未月에 出生해야 한다. 乙庚 合하여 金으로 化하려면 반드시 巳酉丑申月이어야 한다.
丙辛 合하여 水로 變하려면 반드시 申子辰亥月이어야 한다.
丁壬 合하여 木으로 化하려면 반드시 亥卯未寅月이어야 한다.
무계 合하여 火로 化하려면 반드시 寅午戌巳月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化格이 안 되므로 化로 論하지 않는다.
③ 年,月의 合化는 年,月의 天干이 사주의 기세와 月支가 化하는 五行이 왕성하면 대체로 化한다.
④ 甲日 己年 또는 甲年 己時 등은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완전한 化가 되지는 못한다.
⑤ 天干 자체가 合이 되지 않으면 어떤 月에 生했는가, 通根했는가, 旺盛한가에 관계없이 化가 되지 않는다.
*천간의 생극화(2)로 계속.
- 웹사이트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의 생극화(3) (0) | 2023.01.13 |
---|---|
천간의 생극화(2) (0) | 2023.01.12 |
천복지재와 개두절각. (0) | 2023.01.09 |
유정과 무정의 차이. (0) | 2023.01.07 |
유정무정과 유력무력.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