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천간의 생극화(2)

백산. 2023. 1. 12. 14:00

천간의 생극화(2)
天干의 生剋化.

 

제2절. 천간 생극합화의 실예.
第二節. 天干 生剋合化의 實例.
 
天干의 생극합화는 地支와의 관계를 반드시 고찰해야 한다.
天干과 地支는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例를 들어 설명한다.

 

 

丙丁甲癸
午卯子酉

 

丁日이 子月에 生하니 失時했다. 그러나 卯의 生助를 받고 時支에 祿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天干에 甲,丙이 生扶하니 日干이 弱한 것이 변해서 强해졌다.

 

癸의 七殺이 透出하고 得時했으니 가히 日干을 剋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癸는 甲을 生하고

甲은 丁을 生하며, 地支는 酉가 子를 生하고 子가 卯를 生하고 卯가 午를 生하니 生化流通이 되었다.

財生殺, 殺生印, 印生身하고 있으니 金水運에 大吉하다.
 


 
壬甲庚丁
申辰戌亥

 

甲日이 戌月에 生하여 失時했다. 그러나 辰,亥에 通根하고 時干 壬이 도우니 아주 衰弱하지는 않다.

그러나 七殺 庚이 戌中 辛에 通根하고 時支에 祿을 얻으니 그 힘이 매우 强하다. 그러므로 殺重身輕이다.

年干 丁이 時의 壬과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서로 合하지도 剋하지도 않는다. 丁이 戌의 庫에 通根하고

있으므로 庚을 剋하는 用神을 삼는다. 年干 丁이 七殺 庚을 剋하니 用神이 되는바 火運에 부귀했다.
 


 
己乙甲己
卯亥戌卯

 

乙日이 戌月에 출생했으니 失時했다.

그러나, 地支에 2卯 1亥가 있고 天干에 甲이 있어 도우니 그 기세가 비교적 强하다.


年干 己가 月干 甲과 合했으나 木이 旺하여 化氣인 土를 剋함이 심하므로 化土가 되지는 못하였다.
이리하여 甲과 己는 合할 뿐 化는 되지 못해 쓸모 없는 閑神이 되었다.
時上偏財格으로 定해지니 오히려 순수한 財格이 되었다.
 
*백산의 견해는 이 사주의 해설은 좀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年干 己土와 月干 甲木이 合하고 月令이 土이기에 甲木은 土로 變한다고 봐야한다.

고로 財多身弱格으로 볼 수 있다.


*아래 丁卯生 사주와 비교 분석해 보시라.

 

戊己丁甲
辰亥卯子

 

日干이 失時하고 失地했다. 年干 甲이 得時, 得地했으니 官强身弱이다.
日干 己와 年干 甲은 거리가 멀어서 合도 되지 않고 化도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丁이 甲의 氣運을 洩氣시켜 日干을 도우니 用神이 된다.
殺印相生格이다.
 
 


戊癸辛丙
午酉卯寅

 

日干이 失時했다. 年干 丙이 寅,午에 通根하고 卯,寅이 生助하니 旺盛하다.
日干이 酉의 生助를 받고 있으나 旺한 月支 卯와 沖이 되니 無力하다.

 
月干 辛이 年干 丙과 合이 되지만 地支에 火가 많아 水로 化하지 못한다.
辛金이 無力해져서 辛의 작용은 없어지고 丙의 작용은 여력이 남았다.
日干이 時干과 合했으나 化하지 않은 것은 化氣格이 안 되었기 때문이다.
 
 


乙壬庚丙
巳午寅寅

 

日干이 失時했다. 地支가 온통 火 一色이고 年干 丙의 正財가 通根하고 時支에 祿이 되고

日支에 帝旺이 되고 時干 乙의 生助를 받으니 火焰이 충천하고 있는 형상이다.

月干 庚의 偏印이 時支 巳에 長生이 되어 通根했으나 중과부적이고 丙의 剋을 받으니 無力해져서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되었다. 그러므로 從財格이 되었다.
 
 

 

丙庚壬丁
戌午寅卯

 

日干이 失時했다. 地支가 火局을 이루고 時干에 丙이 透出되니 七殺의 기세가 旺盛하다.

月干 壬과 年干 丁이 合하여 木으로 化하여 七殺을 生助하니 日干이 七殺에게 저항할 능력을

喪失하고 七殺에 항복하여 從殺格이 되었다.
 
 

 

戊己甲丁
辰酉辰未

日干 己가 月干 甲과 合이 되고 辰月에 生하고 天干에 木이 없어서 火하는 기운을 방해하지 않았다.

게다가 地支에 辰이 2개나 있고 戊가 天干에 透出하니 土가 왕성하고 得時했다.

年支 未에 乙木이 있으나 年干에 丁이 있고 土가 사주에 旺하니 乙木은 불타 버리고 힘을 쓰지 못한다.

年柱의 火가 土를 능히 生助하므로 甲己 合하여 土로 변해서 化土格이 되었다.

 

- 웹사이트 -​

 

*천간의 생극화(3)으로 계속됩니다.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가 정신질환을 일으키는 명조.  (0) 2023.01.17
천간의 생극화(3)  (0) 2023.01.13
천간의 생극화(1)  (1) 2023.01.11
천복지재와 개두절각.  (0) 2023.01.09
유정과 무정의 차이.  (0) 202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