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과 무정의 차이.
*아래의 두 명조는 웹사이트에서 빌려온 명조 해석입니다.
공대교수 한문교사
庚 丙 戊 丙 戊 丙 庚 丁
寅 子 戌 戌 子 辰 戌 卯
유정(有情)과 무정(無情)을 살펴보는 법.
질의.
비슷한 格局 구조인데 왜 等級 차이가 납니까?
설명.
이 두 분 命造는 모두 식신생재하고 재생관하는 구조입니다.
그 결과 사업을 선택하지 않고 최종 목표인 정관을 목적으로 공부합니다.
즉 장사보다는 명예를 선택하는 이유가 재생관(財生官)의 구조에서 발견이 되는 겁니다.
그런데 한 분은 공대 교수이고 한 분은 한문 교사이죠.
왜 이러한 등급 차이가 발생할까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有情과 無情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곧 공대 교수는 偏印의 보호가 좋아서 有情하고
한문 교사는 卯木이 正官과 멀어서 無情한 차이가 있습니다.
정관(正官)은 食神의 공격으로부터 正官이 보호받으려면 印綬가 반드시 필요한 겁니다.
공대교수는 인목(寅木) 偏印이 정관(正官)과 첩신(貼身)하죠.
그 결과 子水 正官의 보호가 유정(有情)하게 돌아선 것이고 한문 교사는 년지(年支)에
묘목(卯木)이 있고 시지(時支)의 자수(子水) 正官이 놓이므로 위치상으로 거리가 멉니다.
그 결과 식신(食神)의 공격에 쉽게 노출이 되고
묘목(卯木)은 방어해주기에는 어려운 위치에 놓인 겁니다.
즉 正官 보호를 충실히 진행하기 어렵죠.
이러한 것을 무정(無情)하다고 말하는 겁니다.
공대교수는 편재(偏財)와 편인(偏印)으로 편(偏)에 치우치죠.
식신생재가 편(偏)에 치우치면 理科. 기술계통이 많다고 봅니다.
반면에 한문교사는 묘목(卯木)이 음수(陰水)이고 정인(正印)을 사용하므로
인문학 전공을 하신 것 같네요.
참고자료 자평진전 - 용신 격국의 고저(高低)를 논함.
<八字에 用神이 있으면 당연히 格局이 있고 格局이 있으면 필연적으로 고저(高低: 높낮이)가 있다. 財格, 정관격, 인수격, 식신격, 상관격, 양인격, 월겁격(月劫格) 등의 어느 格局이든지 귀격(貴格)이 있을 수 있으며 어느 格局을 막론하고 천격(賤格)이 있을 수 있다. 極度로 貴한 사주에서부터 極度로 賤한 사주까지 천태만상이니 어떻게 일일이 설명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그 이치의 대략은 밝힐 수 있으니, 그 기준은 바로 유정(有情)과 무정(無情), 그리고 유력(有力)과 무력(無力)의 차이에 달려 있는 것이다.> - 끝 -
-------------------------------------------------------
*참고사항.
*위 두 분이 명조 해석에 대하여 필자의 의견을 한 마디 추가해 봅니다.
그렇다고 위 사주 해설이 잘못되었다거나 흠을 잡기 위함이 아니라
필자의 의견을 제시한 것이니 오해 없으시기 바라며 진도 편달을 바랍니다.
공대교수 한문교사
庚 丙 戊 丙 戊 丙 庚 丁
寅 子 戌 戌 (土月令) 子 辰 戌 卯 (土月令)
위 두 분의 命造는 戌月 土月令에 生하여 戊土가 透干되어 있으니
食傷이 强하고 日干이 弱하다.
고로 印星으로 日干을 도와야 균형이 이루어 질 것이니 印星을 用神으로 삼는다.
丙戌生은 用神으로 사용할 印星이 時支에 자리하고 있으며 다소 有情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더욱 日支에서 官星 子水가 寅木 印星을 生하고 있으니 반갑다.
한 가지 아쉬움은 用神 寅木의 天干에서 財星 庚金이 寅木을 누르고 있으니
吉함이 半減되어 아쉽다.
丁卯生은 역시 土月令에 戊土가 强하니 食傷用印格으로 年支의 卯木을 用神하게 된다.
그런데 用神이 年支에 있어 無情한 편이라서 아쉽다. 卯戌로 合하여 日干과 가까이
해보려고 하지만 辰戌 沖으로 六合도 이루지 못 한다.
地支 구성을 보면 卯戌이 合하려 하고 辰戌 沖이 있어 六合이 성립되지 않으며
辰戌 沖은 子辰이 合을 이루려고 하니 沖도 이루어지지 않고 子辰 半合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卯戌 合도 辰戌 沖 또는 子辰 半合도 성립이 되지 않으니 있는 대로
보면 된다.
두 명조 모두 食傷用印格인데 어찌 한 분은 공대교수직이며 한 분은 한문교사일까?
두 분의 명조는 食傷用印格이 분명하지만 공대교수는 偏印이 用神이며 한문교사는
正印이 用神이라는 점이다.
같은 印星이라도 偏印은 전문직 이과형이며 正印은 순수한 문과형이라 교육계 계통은
같으나 전공과목은 다르게 볼 수 있다.
또한 偏印 寅木을 용신한 주인공은 대학 교수직인데 印綬 卯木을 용신한 주인공은
한문 교사직에 종사한 것은 인목을 용신한 사주는 時干의 천간 경금이 剋하고 있지만
時支에 있는 寅木은 일간과 거리가 그리 멀지 않으며 日支에서 子水가 인목을
생조해주고 있는 반면 묘목을 용신한 주인공은 술월의 묘목은 본시 약한데
生助해주는 六神이 없어 氣勢가 약하고 일간과 거리가 멀어 무정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 웹사이트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의 생극화(1) (1) | 2023.01.11 |
---|---|
천복지재와 개두절각. (0) | 2023.01.09 |
유정무정과 유력무력. (0) | 2023.01.06 |
왕자편화(旺者偏化)에 대하여 (0) | 2023.01.05 |
통변성의 칠살관계. (0)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