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왕자편화(旺者偏化)에 대하여

백산. 2023. 1. 5. 14:00

왕자편화(旺者偏化)에 대하여

 

 

사주 命造 中에 어느 六神이 너무 하면 하는 것에 전념하지 않고 하는 것에 전념하게 되므로 4길신(四吉神) 4흉신(四凶神)을 막론하고 의 작용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시 정관(正官) 4길신(四吉神)이라 하지만 正官도 너무 太旺하면 偏官(七殺)의 성질로 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령, 甲木日干 辛金 正官일지라도 왕자편화(旺者偏化) 現象이 되면 偏官(七殺) 庚金과 같은 역할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 본시 正官 陰干일지라도 陽干의 성질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乙木日干 庚金 正官이지만 왕자편화(旺者偏化) 現象이 되면 辛金 편관(偏官:七殺) 이상으로 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天干誘引力에 의하여 透干 天干은 비록 陰干일지라도 陽干으로 한다는 것이다.

, 甲日干 正官 辛金 透干되어 있는데 地支에서 巳酉, 또는 酉丑, 巳丑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는 천간유인력에 의하여 天干 陰干 辛金 陽干 庚金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甲木 辛金 正官이 되지만 결국에는 庚金의 작용을 하게 되므로 七殺 偏官의 작용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壬 癸 辛 丙

子 巳 丑 午 (소한 후 12일 이후 출생 토월령)

 

위 명조 에 원래는 年干 丙火 月干 辛金 天干 合을 이루게 되는 것인데

月干 辛金 地支에서 巳丑 을 이루므로 天干 誘引力에 의하여 陰干 辛金

陽干 庚金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丙辛 干合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勢力

더욱 하게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정과 무정의 차이.  (0) 2023.01.07
유정무정과 유력무력.  (0) 2023.01.06
통변성의 칠살관계.  (0) 2023.01.04
명리학 용어 해설.  (0) 2023.01.03
10천간의 간합 작용.  (1)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