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7

전남 곡성. 전남 문화재자료 제167호. 영류재(永類齋)

영류재(永類齋) 전남 문화재자료 제167호. (1988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남 곡성군 죽곡면 봉정리 522 (봉정길 74-4) 영류재(永類齋)은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봉정리에 있는 건축물로 1988년 12월 21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67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함안조씨 문중에서 1917년 세운 재각으로 집안의 대소사를 의논하거나 제사를 지낼 때뿐만 아니라 마을의 노인들이 모이는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2층 기단 위에 세워 마당보다 높다. 건물 중앙에 있는 대청마루는 사람이 모일 때 문을 위로 들어 올려 넓은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꾸몄다. 지붕은 옆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며, 건물 주위에는 각종 나무와 정원석, 연못이 있다..

문화재 탐방 2022.09.30

9월 중구(重九)

9월 중구(重九) 중구 - 음력 9월 9일의 중구는 9월 중의 유일한 속절(俗節)이며 각 가정에서 국화전을 해 먹거나 국화주를 빚고, 술과 음식을 장만해 가지고 산이나 계곡에 가서 단풍놀이를 하기도 한다. 음력 9월 9일의 중구는 9월 중의 유일한 속절(俗節)이며, 중양(重陽) 또는 중광(重光)이라고도 한다. 중양· 중광은 양(陽)이 겹친다는 뜻이며, 중구는 '9[九]' 수가 겹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홀수[奇數]를 '양(陽)의 수' 라하고, 짝수[隅數]를 '음(陰)의 수'라 하여 '양의 수'를 길수(吉數)로 여겼다. 예컨대 전통사회의 절일(節日)로서 설(1월 1일)· 삼짇날(3월 3일)· 단오(5월 5일)· 칠석(7월 7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속절은 '양수(陽數)'를 길..

고전 사랑방 2022.09.29

전남 곡성. 행주기씨. 기성전(箕聖殿)

기성전 입구. 토란의 마을, 반송마을 표지석. 행주기씨 기성전(箕聖殿) *소재지: 전남 곡성군 죽곡면 반송길1-1 (신풍리 344-1) 반송마을 안내판과 범죄없는 마을 표지판. 기성전 안내문. 기성전은 행주기씨, 청주한씨, 태원선우씨 등이 원조로 하고 있는 기자조선개국조(箕子朝鮮開國祖)인 태조 문성대왕(文聖大王: 箕子)의 영정을 봉안하고 대왕제(大王祭)를 봉행하는 사당이다. 고종황제 광무3년(1899년)에 행주기씨 지평공파 곡성문중이 창건하였으나 화재로 소실(1930년대로 추정)된 후 1959년에 다시 신축하여 1960년부터 매년 음력 3월 2일에 대왕제(大王祭)를 봉행하고 있다. 문성대왕의 47세손인 마한왕 기훈이 아들 우성, 우평, 우량에게 기(奇), 한(韓), 선우(鮮于)의 姓을 하사하셨다. 건물은..

발길을 따라 2022.09.28

삼재와 윤달

삼재(三災)란? '삼재'라는 말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말이다. 매년 정초가 되면 삼재라는 말이 가장 흔히 통용이 되며, 각종 무속인의 집 앞에는 문전성시를 이룬다. 대부분 무슨 일이 잘 되지 않으면 삼재탓으로 하고 "삼재살이 끼어서~~"하는 식이다. 절집에서는 동지날에 이 삼재풀이를 하고 있다. 요즘은 거의 다 이 삼재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이 삼재를 크게 나누어보면 물과 불과 바람(水.火.風)의 세 가지로 일어나는 재난이라 할 수 있다. 옛날에는 이 세가지가 인간이 극복하기 어려웠던 재난이다. 고도의 과학문명이 지배하는 오늘날에는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지만, 이 세가지는 어쩔 수없이 재난을 당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또 이밖에 인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재난에는 전쟁..

고전 사랑방 2022.09.27

전남 곡성. 전남 문화재자료 제120호. 덕산사(德山祠)

덕산사(德山祠) 전남 문화재자료 제120호. (1984년 2월 29일 지정) *소재지: 전남 곡성군 오곡면 덕산음지길 8-3. (지번) 오곡면 덕산리 175-1. 덕산사(德山祠)는 고려 예종 때 원수 윤관(尹瓘: ?∼1111) 장군과 부원수 오연총(吳延寵: 1055∼1166) 장군을 모시는 사당이다. 윤관은 고려 문신으로 고려와 여진족이 자주 충돌하자 특수부대인 별무반을 만들어 여진족을 격파하고 9성을 쌓았다. 오연총은 고려의 문신으로 과거에 합격한 후 병부낭중 등 여러 벼슬을 지냈다. 고려 예종 2년(1107) 원수 윤관과 함께 여진정벌을 나섰고 9城을 쌓았다. 원래 조선 선조 16년(1583)에 함경도 경성(京城)에 지은 이 사당(祠堂)은 1935년경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문화재 탐방 2022.09.26

원앙살(鴛鴦殺). 一名: 쌍원합(雙怨合). 회기살(晦氣殺)

원앙살(鴛鴦殺). 一名: 쌍원합(雙怨合). 회기살(晦氣殺) 원앙살 구성. 이 殺의 구성은 日干과 日支가 干合과 支合을 이루게 되면 원앙살(鴛鴦殺)이라 한다. 예를 들면...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己 甲 @ @ @ 辛 丙 @ 壬 丁 @ @ 巳 申 @ @ @ 卯 戌 @ @ 亥 寅 @ 위와 같이 원앙살이 성립된 명주는 남자는 외도하거나 여자는 부부불화로 별거 또는 공방을 하게 된다.

신살론 잡학 2022.09.24

곤랑살(滾浪殺) 一名: 형합살(刑合殺)

곤랑살(滾浪殺) 일명: 형합살(刑合殺) 곤랑살은 색정(色情)으로 인한 문제를 일으키는 살(殺)로서 남녀간에 不吉하다. 곤랑살 구성. 이 殺의 구성은 日干은 干合을 이루며 日支는 刑,沖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時 日 月 년 時 日 月 年 己 甲 @ @ @ 辛 丙 @ 壬 丁 @ @ @ 辛 丙 @ 巳 申 @ @ @ 卯 子 @ @ 未 丑 @ 丑 未 @ @ 위와 같이 간합지형(干合支刑)이 되면 대체적으로 부부운 및 이성운이 불길하여 결혼실패 및 이성교제 실패가 따른다.

신살론 잡학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