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유적 39

경남 남해. 관음포(이락사, 대성운해, 첨망대)

관음포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 관음포 이충무공 점몰유허 안내판. 사적 제232호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비. 이충무공 전적비. 이충무공 전적비 옆면. 전방급 신물언아사(戰方急 愼勿言我死) "지금 전쟁이 급하니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지 말라" 1998년 12월 16일 이충무공 순국 400주년을 기념하여 당시 유삼남 해군 참모총장이 쓴 유언비. 이락사로 들어서는 길목. 이락사(李落祠)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이락사'라는 액자를 내렸다. 대성운해(大星隕海)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대성운해'라는 액자를 내렸다. 대성운해(大星隕海)란 큰 별이 바다에 잠기다는 뜻이다.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유허비(사적 232호) 비각 안에 세워진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유허비(사적 232호) 이 유허비는 홍문관 대제학 홍..

이순신 유적 2022.11.12

경남 남해. 충렬사(忠烈祠)

남해 충렬사(南海 忠烈祠) 사적: 제233호. 지정일: 1973.06.11. *주소: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350. 남해 충렬사(南海 忠烈祠)는 조선시대의 사당으로서 충무공 이순신이 1598년 11월 관음포(觀音浦)에서 전사(戰死)한 뒤 1599년 2월 전남 완도 고금도를 거쳐 충남 아산 현충사 자리에 운구(運柩)되어 안장(安葬)되기 전까지 3개월 동안 시신(屍身)을 안치(安置)했던 곳이다. 인조 10년(1632)부터 유림(儒林)들이 작은 집을 짓고 제사를 지내기 시작하였고 효종 9년(1658)에 사당(祠堂)을 건립하고 비(碑)도 다시 세웠다. 현종 3년(1662)에 '충렬사(忠烈祠)'라는 사액(賜額)을 받았다. 사당, 재실, 비각,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으며 충무공의 시신(屍身)을 묻었던 자리에..

이순신 유적 2022.11.11

전남 여수. 충민사(忠愍祠)

충민사(忠愍祠) 입구. *주소: 전남 여수시 덕충동 1808 외. 충민사 종합안내도. 충민사는 충무공 이순신, 의민공 이억기, 충현공 안홍국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충민사 종합안내도. 벅수(돌장승) (충민사 입구에 세워져 있으며 건너편으로 유물 전시관이 보인다) 숭모문(충민사 외삼문) 충의문(충민사 내삼문) 여수 충민사 정화 사적비. 여수 충민사(麗水 忠愍祠) 선조 34년(1601)에 건립된 사액사당이다. 여수 충민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추모하여 제사를 지내는 사당으로 왕명으로 건립되어 선조(宣祖)로부터 '충민사(忠愍祠)'라는 현판을 받았다. 충무공 이순신을 주향으로 의민공 이억기, 충현공 안홍국을 배향하고 있다. 매년 음력 3월과 9월 제사와 충무공 탄신일에 탄신제를 거행하고 있다. 충무공(忠武公..

이순신 유적 2022.11.10

전남 여수. 고소대(대첩비, 타루비, 동령소갈비)

좌수영다리. (진남관 쪽에서 본 좌수영 다리) *주소: 전남 여수시 고소3길 13. 진남관을 거쳐 고소대로 향하는 길목에 좌수영다리가 있다. 이 다리를 건너면 매영정과 벽화거리, 그리고 고소대에 이른다. 거리로는 약 300여미터정도라 할까. 좌수영다리 (진남관에서 좌우영다리를 지나 고소동 방면에서 바라본 좌수영다리와 진남관) 매영정(梅營亭) 좌수영 다리를 지나면 만나는 정자. 조선왕조시절 여수를 전라좌도수군영, 전라좌수영, 매영이라 불렸다. 그동안 진남관에서 고소대로 가는 길목에 끊어졌던 다리(좌수영다리)를 다시 복원하며 오고가는 길손들이 옛 일을 되새겨보며 쉬어가도록 만들어진 쉼터의 정자이다. 고소 천사 벽화골목 안내도. 若無湖南 是無國家(약무호남 시무국가) 호남이 없었으면 나라를 보전했을까? 고소대 ..

이순신 유적 2022.11.09

전남 여수. 선소유적(船所遺蹟)

여수선소유적지(麗水船所遺蹟地) 사적 392호. *주소: 전남 여수시 시전동 708 외. 조선시대의 조선소(造船所) 유적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나대용과 함께 거북선을 만들었던 조선소(造船所) 유적이다. 에 의하면 선소유적이 속해 있었던 순천부 선소는 임진왜란 이전부터 있었으며, 임진왜란 중에 전라좌수영의 순천부 수군기지(水軍基地)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지리적으로, 선소(船所) 입구에 가덕도와 장도가 있어 선소를 보호해주고 있는 천혜의 요새였다. 에는 이곳이 선소(船所)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포구이름은 '장생포'라고 적고 있다. 그리고 에도 역시 선소(船所)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선소창, 수군기가 함께 표기되어 있다. 현재 배를 정박하던 굴강, 수군 지휘소 선소창, 무기를 수리하고 보관하던..

이순신 유적 2022.11.08

전남 여수. 이순신 광장

여수 이순신 광장(李舜臣 廣場) *주소: 전남 여수시 중앙동 383.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동 진남관 앞에 위치한 시민광장으로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와 전라좌수사를 겸직하고 있으면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구국의 성지인 여수시는 2010년 4월에 국보 304호 진남관 앞쪽에 '이순신광장'을 개장하였다. 광장에서 바다를 바라보면 장군도와 돌산대교가 보인다. 시설은 전망대, 무대공연장, 분수, 광장, 기념의 벽, 지하주차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주 토요일에 토요상설공연으로 수군출전식, 강강술래, 시립합창단 공연 등 다양한 공연이 열리고 있다. 인근에는 여수시 특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수산물시장, 건어물시장 등이 있고, 여수의 먹을거리를 대표하는 다양한 식당들이 밀집되어 있다. 여수시 중앙동..

이순신 유적 2022.11.07

전남 여수. 진남관 임란유물 전시관.

진남관 임란유물 전시관 입구. 진남관을 둘러보고 내려와 계단길 우측으로 진남관 임란 유물전시관이 눈이 띤다. 일단 입구에서 수고하시는 분들에게 실내촬영이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입장을 하였다. 진남관 임란유물 전시관 입구 주변. 유물전시관에 들어서자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게 바로 진남관의 건축적 특징이었으며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진남관의 단면을 꾸며두었다. 참도(斬刀) 참도에 대한 설명문이다. 두정갑(豆丁甲) 두정갑에 대한 설명문. 전라좌수영성 재현모양. 전라좌수영 본영 여수에 대한 기록. 철쇄방비시설. 이것은 명량해전에서 사용했던 병법 중에 하나인 듯하다. 해전도(海戰圖) 천자포, 황자포, 지자총통. 조총과 마름쇠. 전통과 화살. 사조구(四爪鉤) 포환류 및 비격진천뢰. 각종 신호를 알리는 신호기. 난중..

이순신 유적 2022.11.05

전남 여수. 진남관(鎭南館)

여수 진남관 입구 망해루(望海樓) *주소: 전남 여수시 군자동 472. *진남관(鎭南館) *국보 304호.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 (군자동) 여수 진남관은 1598년(선조 31) 전라좌수영 객사로 건립한 건물로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끈 수군 중심기지로서의 역사성과 1718년(숙종 44) 전라좌수사 이제면(李濟冕)이 중창한 당시의 면모를 간직하고 있으며, 건물규모가 정면 15칸, 측면 5칸, 건물면적 240평으로 현존하는 지방관아 건물로서는 최대 규모이다. 진남관의 평면은 68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었는데 동·서측 각각 2번째 협칸의 전면 내진주를 이주(移柱)하여 내진주 앞쪽에 고주(高柱)로 처리하였다. 이 고주는 곧바로 종보를 받치고 있고 대량은 맞보로 고주에 결구하여 그 위에 퇴보를 걸었다...

이순신 유적 2022.11.04

전남 순천. 순천왜성(順天倭城)

순천왜성(順天倭城) 전라남도 기념물 제171호. *주소: 전남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산1 외.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 있는 낮은 구릉지대에 내.외성 2중으로 돌로 쌓아 만든 성이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왜군이 쌓은 성이다. 왜군이 호남 지역을 공격하기 위한 전초기지로 삼기 위해 해안가의 낮은 산봉우리를 성벽으로 둘러싸고 있다. 왜군 장수 소서행장이 이끄는 군대가 1년 이상 주둔하면서 조선과 명나라의 조명연합군과 격전을 벌인 곳이다. 주성과 3겹의 외곽성으로 되어있다. 석축은 비교적 큰돌을 사용하였고 외성의 둘레는 2,502m, 내성의 둘레는 1,342m이다. 외곽성 3개 본성 3개, 내성 3개, 성문 12개로 축조되었다. 축조 당시 왜군들이 조명연합군이 쌓은 순천의 검단산성 쪽 육지의 흙을 ..

이순신 유적 2022.11.03

전남 순천. 충무사(忠武祠)

순천, 충무사(忠武祠) *주소: 전남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산28-1. 임진왜란 때 공이 컸던 충무공 이순신과 정운, 송희립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은 조선 선조 12년(1579)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강포·한산도 등지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정유재란 때 명량에서 대승을 거두었으며 노량진에서 순절하였다. 충장 정운(1543∼1592)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선조 3년(1570)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옥포·당포·한산도 등 여러 해전에서 큰공을 세웠다. 9월 부산포 해전에서 우부장으로 선봉에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송희립 장군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운 장군의 군관으로서 영남지역에 원..

이순신 유적 202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