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격에 대하여.
화(化)란 合하여 변화한다는 뜻으로 日干이 天干의 他 五行과 合하여 변하는 五行을 四柱體가 수용하게 되는 것을 格으로 사는 것으로서 木,火,土,金,水 5가지 五行에 따라 天干의 오합(五合)으로 이루어지는 格이다.
화격(化氣格)이 성립되면 역시 화(化)한 五行을 기준으로 吉神과 凶神을 定하게 되며 化하는 五行의 방해가 있으면 가화격(假化格)이 되거나 격(格) 자체(自體)가 성립되지 않게 되므로 잘 살펴서 定해야 할 것이다.
干合(간합)
10개 天干은 陰干과 陽干이 合이 되는 5가지가 있다. 그 干合은 다음과 같다.
甲己 合, 乙庚 合, 丙辛 合, 丁壬 合, 戊癸 合.
사주 看法 中에 化格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化格은 生日 天干인 日干이 月干이나 時干과 合하여 合이 되는 五行의 月令을 얻게 되면 合化格이 성립되는데 기왕 化格을 성립하려면 合化하려는 五行을 剋하는 五行을 보지 않는 게 좋다.
剋하는 五行을 보게 되는 경우에 化格이 성립되지 않거나 成立되더라도 假化格이라 하여 格의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럼 여기서 合이 되는 경우와 不合이 되는 경우와 그리고 合化格, 不化格, 假化格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화격(化格)의 성립요건.
1) 合되는 氣運이 단순한 通根이 아닌 반드시 月令을 얻어야한다.
乙庚 合이라면 申,酉月과 戌月의 節入 后 12日 以內에 出生해야 成立한다.
2) 항간에 合되는 五行과 相剋관계의 天干이 있으면, 不化한다는 說은 채택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는 假化格이며, 喜,忌神의 取用은 일반 內格과 同一하게 取하게 됩니다.
3) 日干과 인접해 있어야 성립합니다.(日干과 年干은 떨어져있어 성립하지 못함)
4) 辰,戌,丑,未月은 반드시 節入 後 12日 經過 여부를 파악해야 합니다.
5) 化格이 성립되면 合하는 글자는 각각 化한 五行의 陽,陰干으로 변환됩니다.
6) 月支가 沖이나 合이 되어도 成立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 합(合), 불합(不合), 화(化), 불화(不化)
* 합(合)
□ □ 甲 己
□ □ □ □
글자의 위치가 이격(離隔)되지 않고 병립(竝立)된 天干은 合이 이루어진다.
□ 甲 己 甲
□ □ □ □
일간(日干)의 합(合)은 좀체 이루어지지 않고, 또 가장 後次的으로 성립되므로 이러한 경우 병립(竝立)된 타간(他干: 年干과 月干)의 합(合)이 성립된다.
□ 甲 己 □
□ □ 巳 □
일간(日干) 甲이 月干 己土와 合이 성립되지만 그러나 月令이 土가 아니라서 合化格 성립은 안 되고 다만 甲己 合은 성립된다.
* 불합(不合)
□ 甲 □ 己
□ □ □ □
日干 甲과 己土가 離隔되어 合이 성립되지 않는다.
甲 □ 己 □
□ □ □ □
時干 甲木과 月干 己土가 離隔되어 合이 되지 않는다.
離隔된 타간(他干)의 합(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己 甲 己 □
□ □ □ □
일간(日干)을 가운데 두고 투합(妬合)이나 쟁합(爭合)의 상황이 연출되면 합(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 합화(合化)
□ 甲 己 □
土 土 土 土
일간(日干)의 합화(合化)는 사계(四季) 土의 季節을 得해야 성립된다.
□ □ 己 甲
□ □ □ 辰
타간(他干)의 합화(合化)는 사계(四季) 土의 季節을 得하거나, 八字에 辰土를 보아야 성립된다.
* 가화(假化)
丙 壬 丁 甲
午 申 卯 午
日干 壬水와 月干 丁火가 合을 이루고 月令이 木이라서 합화격(合化格)이 성립된다. 그런데 日支에 申金이 合化 五行 木을 剋하고 있어 가화격(假化格)이라 한다.
가화격(假化格)은 行運에서 假化格으로 만든 원신(怨神)을 제거하면 진화격(眞化格)으로 변하지만 그 運을 지나면 再次 가화격(假化格)으로 되돌아온다.
* 불화(不化)
□ □ 己 甲
子 子 巳 寅
四季 土의 계절을 得하거나, 八字에 辰土를 보지 않은 경우 他干의 合化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 合은 성립되므로 합이불화(合而不化)가 되는 것이다.
古書에 天干 合의 原理는 2가지 說로 정착되어있다. 任鐵樵는 [滴天髓闡微]에서 十干이 合하면 變化되고, 변화되면 반드시 五土를 얻은 後에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五土란 辰을 말함인데, 辰은 春節에 봄은 三陽에 있으며 生物의 體를 이루고 氣가 열리어 움직이게 되니 움직이면 變하고, 변화하면 化하는 理致라 한다.
또, 十干의 合이 辰의 위치에 이르면 化氣의 원신(元神)이 發露된다하여 甲己年의 경우 甲子月로 시작되고, 다섯째의 위치에 戊辰月에 이르러 土로 化하고, 乙庚年의 경우 丙子月로 시작되어 다섯째의 위치에 庚辰月을 만나 金으로 化한다는 式의 論理를 註釋으로 달았다.
다음으로 봉룡즉화(逢龍則化)의 假說이 있는데 辰, 즉, 龍을 만나면 變化한다는 論理다. 이는 초목의 새싹이 3월(辰月)에 나타나므로 3월을 새로운 變化가 시작되는 달(月)로 보는 觀點이다. 이를테면 甲年과 己年에는 3월에 戊辰月이 되며 甲己 合土가 成立되는 式이다.
즉, 干合하여 合化된 五行의 氣運은 龍을 만나야만 한다는 조건을 달고 있다.
이것은 매우 重要한 要素로 合化 五行의 氣運을 그대로 實戰 推命에서 활용하는 觀法이 위태로움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天干은 地支와 달리 純一한 虛空의 氣運으로 신속히 合하여, 일단 合하게 되면 자신의 五行 屬性은 망각하게 된다.
그리고, 天干의 化는 일단의 構成 요건을 갖추어야 可能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몇몇 학습 교재에서 설명하는 羈絆說에 化한 五行의 氣運을 採用하여 그것이 吉神인가, 凶神인가로 추론하는 觀法을 採用하면 안 된다.
일단 干合한 글자의 五行은 그 性分을 잃어 身强, 身弱의 판별 및 격용(格用) 取用 時 판단 요소에서 除外시켜야 하며, 日干의 干合은 좀체 이루어지지 않고, 化格 成立 與否에 대한 설명은 從化論에서 자세히 다루어진다.
[해설]
간합(干合)은 물(物)의 支合과 달리 象의 개념으로 신속하게 合하여 원래의 屬性을 잃게 된다. 이를테면 甲己가 合하면 서로 매여 甲木이나 己土의 作用力은 소멸되기 쉽다는 뜻이다.
이때 甲이나 己土의 通根이나, 得令의 상황을 살펴 合 자체를 否定하는 說이 많은데 그렇지 않다. 여하한 상황을 막론하고, 일단 '干對 干'의 作用이 가장 우선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子平眞詮]이나 [팔자술 필살기]의 先後論을 通해 數回 반복되는 중요한 내용이다.
그런데, 甲己가 合하여 土로 變하는 문제는 視覺을 달리해서 접근하는 게 좋다.
처음에는 '合이 이루어지는지, 아닌지(不合)'의 여부를 살피고 合이 성립되면 다음으로 '화(化)가 되는지, 아는지(不化)'를 살피는 것이다.
化가 되려면 먼저 八字에 辰의 五土를 보아야 하고, 또는 季節의 氣運을 得해야한다. 다음의 경우를 통해 '합(合), 불합(不合), 화(化), 불화(不化)'의 조건 상황을 살펴보자.
화격(化格)의 순도(純度)와 가화(假化), 불화(不化)
1. 化氣가 月令을 얻고 會局을 지으면 眞化로 貴格이 성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大運과 歲月을 막론하고 水運에 순응(順應)해야 좋다.
辛丙□□
□申子辰
2. 化氣가 季節을 얻지 못하고, 會局으로만 得令해도 眞化로 貴格이 성립되기 쉽지만, 純度는 약간 떨어진다. 大運과 歲月을 막론하고 水運에 순응(順應)해야 좋다.
辛丙□□
□子辰□
3. 化氣가 月令만 得했다면 化格은 성립되지만 그 자체로 貴格을 단언할 수 없다. 즉 地支의 會局이 성립되지 않는 한 眞化는 아니다. 大運에서는 格局의 변화를 살펴 喜忌를 가리고, 歲月에서는 水運에 순응(順應)해야 좋다.
辛丙□□
□□子□
☞ 반복해서 설명하자면, '1'과 '3'은 같은 子月 丙火지만 '1'은 古書가 말하는 外格에 속하는 반면, '3'은 外格으로 성립시키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 물론 [滴天髓]는 內格과 外格의 兩分法을 견지하므로 化象만 이루어도 外格에 속한다.
반면 [子平眞詮]이나 [欄江網]이 거론하는 化格의 성립은 보다 엄격하다. 즉 化出한 것이 반드시 得時, 병령(秉令)해야 하고 四支의 局이 완전해야만 한다.
가령, 丁壬合化 木이 地支에서 亥卯未나 寅卯辰을 온전하게 갖추고 봄에 出生해야만 外格으로 구분하고 大富貴의 높은 가능성을 論한다. 이것은 從格이나 一行得氣와 같은 獨象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四地支의 局이 완전해야만 外格으로 분류한다.
가령 從財格도 地支의 財局을 보아야만 기명종재(棄命從財)를 論하는 式이다.
이 대목은 行運法과 관련하여 무척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위에 언급한 1, 2, 3의 3가지 八字 類型은 모두 化水格이 성립되는 이상, 대개 金,水,木의 印,比,食運을 기뻐할 것이다. 그런데 이 점은 歲月의 成敗와 관련된 것이지, 大運法에서는 전혀 다른 次元에서 運用되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 또한 體用의 명확한 분할과 관련된 論法으로 종래의 학습서들이 바른 설명을 기하지 못했으므로 八字術 實戰에서 後學들의 혼란을 막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古書 일반이 규정한 外格이 성립되면 大運과 歲月을 막론하고 氣勢에 順從해야지, 거스르는 運은 凶하다. 原詩의 <지론종(只論從), 지론화(只論化)>는 바로 이 點을 말한 것이다.
그러나, 3의 類型과 같이 外格 체계로 확실히 구분되지 못하는 類型은 大運에 의해 格局이 變格되어 成敗의 變化를 겪게 되므로 歲月의 用法에 한해서만 氣勢에 順應하는 運을 기뻐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滴天髓]가 구분한 外格과 종래 일반의 外格은 정의가 다르다.
따라서, [써머리]에 언급된 從格이나 化格을 모두 古書의 外格 일반으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다만, 歲月의 成敗를 분간하는 理法 측면에서 1, 2, 3의 類型이 모두 一致하므로 [써머리]는 古書의 外格論에서 확장된 從化論을 견지한 것이다.
徐樂吾 以後 韋千里에 이르기까지 近世의 術家들이 선명한 從化論을 제시하지 못한 연유는 모두 體用의 분간이 미흡했기 때문이다. 최근의 [八字術 파이널블로] 外格 편에는 格局 전반을 분류하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면 以前보다 선명하게 格局 체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다만 [滴天髓]의 格局 분류에 충실한 해설로 그친다.
4. 化氣를 거스르는 글자가 나타나면 假化가 된다. 假化 역시 化格에 속하므로 歲月의 喜忌 用法이 同一하다. 大運에서는 格局의 變化를 살펴 喜忌를 가리고, 歲月에서는 水運에 순응(順應)해야 좋다.
辛丙戊□ (假化格)
□□子□
5. 化氣를 거스르는 글자가 通根해서 出干하여 현저한 勢力을 지니면 化格 自體가 成立되지 않으므로 內格 일반의 喜忌를 取한다.
辛丙戊□ (不化, 內格)
□□子戌
丙辛 干合에 月令 子水이지만 月上 戊土가 年支 戌土에 着根하여 일반 內格에 해당한다.
戊癸戊癸 (假化格)
午酉午亥
日,時에 戊癸 合하고 午月 月令에 年,月 天干이 戊癸 合하니 合化格으로 손색이 없다. 그런데 年支 亥水가 化格의 原神인 火를 剋하니 假化格에 準한다.
☞ 투파(透派)는 化氣가 일단 季節을 얻은 이상, 假化格으로 규정하고, 丙火日干을 壬水로 轉換한 後에 內格 일반의 喜忌를 取하는 독특한 方式을 선보이고 있다.
6. 한편 月令을 得하지 못해도 假化格을 論하는 사례가 있다. 八字의 전체 글자가 化氣 五行을 거스르지 않으면 化格으로 간주하는 觀法 일종이다.
가령, 다음과 같은 例다. 大運에서는 格局의 변화를 살펴 喜忌를 가리고, 歲月에서는 水運에 순응(順應)해야 좋다.
辛丙辛丙
卯子卯子
☞ [명리요강]에서 化格의 事例로 例示된 八字. 이와 같이 化氣 五行이 반드시 月令을 得하지 않아도 化氣를 거스르는 氣運이 없는 한, 化格이 成立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氣勢 兩面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勢에만 충실한 觀點인데, 徐樂吾 以後 韋千里에 이르기까지 命理의 氣學이 도외시되고 理法적 측면만 강조된 現象에 연유한다. 따라서 卯月 丙火의 八字는 化格의 一般的 정의에 벗어난다.
그러나, [써머리]는 이 같은 類型의 八字를 化格에 準하여 喜忌를 取한다.
왜냐면, 歲月 用의 喜忌에서는 勢의 抑扶 논리로만 通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從勢한다는 얘기다.
단 氣勢를 다 같이 고려했을 때 眞化에는 턱없이 미치지 못하므로 貴格과는 거리가 멀다. 결과적으로 化格의 貴賤을 가릴 수 있고, 大運과 歲月의 喜忌를 차별하여 운용할 수 있다면 體用을 이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웹사이트 -
'격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국의 성패(格局의 成敗) (0) | 2025.03.06 |
---|---|
격국의 중화(格局의 中和) (0) | 2025.03.04 |
종화격(從化格) (0) | 2025.02.27 |
종격의 성립 요건. (0) | 2025.02.25 |
종격 사주.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