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화격(從化格)
실례(案例) 「CASE STUDIES」
以下各案之命例, 其重點在分辨, 眞從(外格)或不從(內格), 眞從或假從, 眞化或假化.
命造 1 至8, 引自先賢張耀文之<滴天髓奧義>
이하 명례(命例) 별로 진종(眞從:외격)이냐 부종(不從:내격)이냐 또는 진종(眞從)이냐 가종(假從)이냐 진화(眞化)냐 가화(假化)냐 판별하는데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사례 '1에서 8'까지는 '장요문'의 '적천수오의'에서 인용했다.
1. 부종 내격(不從 內格)
戊庚丙丁
寅午午卯
丙丁火之氣勢太旺, 日干庚金無根, 故似爲從殺格, 但是內格之偏官格.
如此, 陽干有天干印星(戊土)出, 則幾乎不能成爲從格.
丙,丁 火의 기세(氣勢)가 태왕하고 일간(日干) 庚金의 뿌리가 없으니 종살격(從殺格)이 될 법하나 戊土 인수(印綬)가 투(透)하여 내격(內格), 편관격(偏官格)이다.
2. 부종 내격(不從 內格)
辛乙辛癸
巳丑酉酉
如上述之例, 乙木日干, 因透出印星癸水, 而不從.
但陰日主之天干印星, 必須通根於地支, 才可不從.
인수(印綬) 癸水가 투(透)하여 종격(從格)이 성립되지 않는다.
살격용인(殺格用印)으로 성격(成格)된 팔자다.
3. 진종 외격(眞從 外格)
丙壬甲戊
午戌寅辰
巨富之命, 從財格. 形成寅午戌三合局而透丙, ?難違逆其勢.
對此可以懷疑, 壬水陽日干通根於辰土, 如何成爲從命?
雖爲陽干日主, 若不得月令, 天干無印星, 則可從.
故判斷身弱命之從格與否時, 印星爲主要判斷根據.
地支 화국(火局)에 火를 거스르는 세력이 없어 진종(眞從), 부호(富豪)의 팔자.
4. 부종 내격(不從 內格)
甲辛乙戊
午亥卯寅
雖印星戊土透干, 被孤立, 不能圓滿生扶辛日干(陰干), 故形成無情之關係.
如此, 印星與日干離隔時, 較容易從, 但旣然戊土印星通根而透, 必須驗證過去之事.
亥卯 목국(木局)으로 기세(氣勢)가 재(財)로 종(從)했지만, 戊土 인수(印綬)로 인해 종격(從格)이 성립되기 어렵다. 재격투인(財格透印)의 내격(內格)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가종(假從)
丁庚丁甲
亥寅卯戌
從殺格之命.「透派」對此造之觀點是, 地支寅亥合, 卯戌合,
天干木火之根失去作用, 則假從.
但筆者認爲, 地支合, 不失去其成分, 故稱之爲眞從, 也無妨.
有關「支合」, 我與透派之觀點較有所?異.
地支六合使地支固有成分稍微?淡, 而使通根於此地支的天干稍微無力,
但不似「六沖」其力量大受損傷.
투파(透派)의 관점에서는 지지(地支) 육합(六合)이 가종(假從)을 상정하는 요인이 되지만, 지지(地支) 회국(會局)을 이루지 못하고 오직 세(勢)에 종(從)했으므로 가종(假從)이다. 종재격(從財格)이다.
6. 진종 외격(眞從 外格)
乙己丁壬
亥卯未寅
因丁壬合, 成爲從殺命, 假從.
有關天干合, 不應採用其化之五行, 因天干合之二字完全失去其作用之故.
例如, 對於甲己合, 以甲與己之作用完全消失之觀點, 論命爲妥當.
取格局或論行運時也同樣, 此一觀點是非常重要.
以天干合之化神, 取用神之方法, 爲絶不可有之事.
?日干合, 除了化格成格之時以外, 絶不合化.
인수(印綬) 丁火로 인해 가종(假從)으로 분류할 수도 있지만, 壬丁 합(合)으로 기반(羈絆)되고, 지지(地支) 목국(木局)을 보아 능히 종살격(從殺格)을 이룬다. 이만하면 진종(眞從) 외격(外格)으로 분류하는 게 타당하다.
7. 진화(眞化)
甲壬丁甲
辰辰卯戌
壬丁合, 卯月出生, 天干無違逆木五行之字, 因天干無財官土金。故能化格成格。
*此時, 有關地支之辰與戌, 要如何解釋?
無透在天干之地支, 其力微弱, 不能成爲取格局時所考慮之對像.
雖然微弱, 反正有違逆化神(木)之勢, 故列爲假化命.
卯月生으로 壬丁 합화(合化) 목기(木氣)는 월령(月令)을 득(得)했다. 또한 辰土를 얻어 화신(化神)의 원신(元神)이 나타나므로 진화(眞化)로 볼 수 있다.
8. 불화 내격(不化 內格)
辛丙戊庚
卯寅子戌
丙辛合水, 子月出生, 因有違逆水勢之官星戊土, 通根而透, 不能成爲化格.
若官星戊土無根, 就可成爲假化格.
對於此造, 先賢張耀文規定爲假化, 與筆者有所?異.
?指出, 將此造可以改換爲, 庚戌年、戊子月、壬寅日、癸卯時之八字.
但筆者認爲, 較難接受之.
對於從格與化格, 論六親之助力, 較不容易.
此時, 先要考慮「根苗花實論」, 則依各柱之喜忌, 而判斷六親之喜忌.
但從旺格, 雖比劫爲喜神, 但有時其兄弟貧賤又無助力.
對此, 要以論十干互相關係之「十干推論法」, 予以解釋.
有關六親之諸多論法, 我將在「六親論篇」, 再加以解釋.
수기(水氣)를 제복(制伏) 戊土의 출간(出干)으로 불화(不化)의 팔자다. 투파(透派)의 견해는 월령(月令)을 득(得)한 이상, 가화(假化)로 규정하여 차명(此命)을 '庚戌年 戊子月 壬寅日 癸卯時'로 보면 타당하다고 설명한다.
以下 命例9 至12, 出自先賢任鐵樵之 <滴天髓闡微>
有關取格局之方法, 與本書略有所不同.
이하 '9에서 12'까지의 명례(命例)는 임철초의 [적천수천미]에서 발췌했다.
9. 진종 외격(眞從 外格)
丙庚壬丁
戌午寅卯
<滴天髓闡微> 之眞從之例.
因壬丁合成爲從格, 嚴密說來, 要以假從論之, 但以眞從論, 也無大碍.
地支 火局으로 官殺의 기세(氣勢)에 종(從)하는 진종(眞從), 종살격(從殺格)이다.
10. 진종 외격(眞從 外格)
乙乙辛辛
酉酉丑巳
乙木無根, 木勢太弱, 而不能違逆金勢之從殺格.
지지(地支) 금국(金局)으로 관살(官殺)의 기세(氣勢)에 종(從)하는 진종(眞從), 종살격(從殺格)이다.
11. 가종(假從)
甲癸壬丙
寅巳辰戌
辰戌沖, 傷到壬癸水之根, 而成爲從財格.
先賢任鐵樵論此命爲從殺, 但與辰土、戌土之官殺相比,
通根於日支、時支的丙火(財星), 其勢力更强, 故論爲從財格, 爲合理.
假從之條件爲, 因干合或支沖成爲從格,
或有違逆「從之五行」之微弱天干或地支(無透在天干).
辰月 癸水가 인수(印綬)의 生扶를 잃고, 식재관(食財官)의 勢에 從했다. 가종(假從)으로 세월(歲月)에서는 財運을 기뻐하지만, 大運의 喜忌를 잘 가려 取해야 한다. 진정한 외격(外格)으로는 성립되지 않으므로 귀격(貴格)을 단언할 수 없다.
12. 가화(假化)
己甲甲己
巳子戌卯
地支子水與年支卯木無透干, 其勢力微弱, 不可違逆化神土.
月干甲木也與年干己土合, 失去其作用, 故成爲假化格.
如此, 地支正氣不透, 或浮干(無根), 其力量太弱, 對命造之强弱或取格, 無甚作用.
雖爲月支也與此相同, 分辨內格之身强身弱是, 其作用無所不同.
甲己 합토(合土)가 戌土를 보아 가화격(假化格)이다. 지지(地支)에 토국(土局)을 이루었다면 가색(稼穡)의 귀격(貴格)이 성립되었을 것이다.
13. 불화 내격(不化 內格)
己甲乙己
巳子亥卯
出自近賢徐樂吾之<滴天髓補註>, 論之爲假化命.
但, 違逆化神土之乙木通根於年支、月支, 故不能成爲化格.
[적천수보주]에 가화(假化)로 설명된 八字지만, 지지(地支) 목국(木局)으로 화격(化格)이 성립되지 않는다. 가화(假化)를 화격(化格)이 아닌 것으로 정의한다면 모르되, 일반적인 가화격(假化格)의 범주에서 벗어난다.
14. 진화 외격(眞化 外格)
戊癸甲甲
午巳寅戌
出自<三命通會>, 化像之例, 明顯是化格.
[삼명통회]에서 화상(化像)의 예로 든 화격(化格)의 팔자다. 진화(眞化)의 귀격(貴格)으로 보자면, 지지(地支)의 화국(火局) 여부가 관건인데, 천간(天干)에 丙,丁 火가 투(透)하거나, 화기(火氣)가 형성되면 寅戌도 화국(火局)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천간(天干)의 유인력'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삼명통회]는 離隔된 글자의 삼합(三合)도 取하므로 확연한 화격(化格)으로 간주한다.
15. 가종(假從)
丁癸丙癸
巳亥辰酉
出自<四柱精說>(韓國「明文堂」出版), 論之爲內格身弱命, 用年干癸水.
但丙丁火失去其根而力量微弱, 而成爲水之從旺格, 用癸水.
但, 嚴密說來, 此造成爲只透出癸水之, 一行得氣格, 故喜食傷之氣.
乃與從旺格有所分別.
[사주정설]에 내격(內格)의 신약(身弱)으로 癸水를 용(用)하는 팔자로 설명된다. 그러나 팔자는 癸水만이 오직 通根하여 세력이 旺하므로 강왕격(强旺格)에 속한다. 팔자는 인비(印比)를 기뻐하는 일종의 가종(假從)이다. 만일 지지(地支)에 수국(水局)을 지으면 윤하격(潤下格)의 屬象(속상)으로 귀격(貴格)이 확정되기 쉽다.
16. 진종 외격(眞從 外格)
癸壬辛辛
卯寅丑巳
也是出自<四柱精說>(韓國「明文堂」出版), 論之爲內格身弱命, 用辛金.
如前所述, 地支丑土與寅木不透, 其力甚弱, 故成爲金水從格, 喜金水之命.
[사주정설]에 또한 신약(身弱)의 내격(內格)으로 설명된 팔자인데 어이가 없는 설명이다. 신약격(身弱格)이어서 辛金을 용신(用神)으로 定하는 게 아니라 金,水로 세력이 종(從)한 종강격(從强格)이다.
17. 가화(假化)
辛丙辛丙
卯子卯子
出自<命理要綱>(韓國出版), 化格之例, 年月丙辛合, 而成爲假化格.
如此, 化神之五行, 雖無得令, 只無違逆化神之氣, 就可成爲化格.
[명리요강]에서 화격(化格)의 사례로 예시된 八字. 이것은 오직 세(勢)로만 論한 것으로 엄밀히 따지면 화(化)를 거론하기 어렵다. 그러나 세월(歲月)의 희기(喜忌) 用法은 기(氣)가 아닌 세(勢)로 판단하므로 수운(水運)이 유리하다. 기세(氣勢)에 따른 것이 아니므로 진화(眞化)의 귀격(貴格)은 될 수 없고 '위천리'나 譯者의 眼目이 이 점을 고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종화격 case study | ★ 적천수 스팩트럼 2006/01/28 02:17
http://blog.naver.com/finalblow/70001294021
*본문 내용은 백산의 견해와 상이할 수도 있습니다.
'격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국의 중화(格局의 中和) (0) | 2025.03.04 |
---|---|
화격에 대하여. (0) | 2025.03.01 |
종격의 성립 요건. (0) | 2025.02.25 |
종격 사주. (0) | 2025.02.22 |
록겁격의 용신과 직업적성. (0)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