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 이야기

종격 사주.

백산. 2025. 2. 22. 05:00

종격 사주.

 

 

이제 각각의 例를 든다.


 
종관살격(從官殺格)

從官殺格은 從殺格이라고도 한다. 왜냐하면 正官도 많으면 七殺로 變하기 때문에 從官格은 즉, 從殺格인 것이다.

 

乙己丁壬
亥卯未寅   (오정방 사주)

 

己土가 未月에 生하니 月支에 通根했다. 그러나, 亥卯未가 木局을 이루고 年支에 寅이 있고 天干의 丁壬이 合하여 木으로 變하니 四柱가 모두 木으로 變하였다. 乙木이 日干을 剋하니 부득이 자신을 버리고 旺한 七殺을 從한다.

 

이 四柱는 未에 通根하고 있는데도 從格이 되니, 이는 陰日干은 氣가 地支에 通根해도 勢力이 强한 것을 從하기 때문이다. 未月은 木의 墓庫이므로 木이 當旺한 季節은 아니다. 그러나, 이 四柱는 眞從格이 되었는데 만약 陽日干이어서 戊寅日에 出生했다면 從格이 못되고 火,土가 모두 有氣하다고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註] 從格이 되는 결정적 이유는 丁火 印星이 干合되었기 때문이다.
 

 

종재격(從財格)

 

甲癸丙壬
寅巳午午   (절강성의 甲富 四柱)

 

天干의 壬,癸가 뿌리가 없고 午月에 나니 財星이 得時했다. 더욱이 甲木이 天干에 있어 水의 氣運을 洩氣하여 火를 도우니 眞從財格이 되었다. 더욱 妙한 것은 巳宮의 戊가 日干 癸와 戊癸合하여 火로 되고 午宮의 丁이 天干의 壬과 合해 木이 된 점이니 이른바 上下가 合하여 旺神으로 化한 것이다.

 

氣勢가 純粹하니 眞從格이 되어 金大運에 오히려 돈을 벌었다. 이는 從格은 旺神을 主體로 보고 運을 그 主體의 입장에서 보아 財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水大運에는 旺神을 正面으로 剋하니 쇠퇴하긴 했으나 죽지는 않았으니 이는 眞從格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가종살격(假從殺格)

 

甲乙癸己
申丑酉巳

 

乙木이 酉月에 生하니 日干의 氣가 이미 絶했고 巳酉丑 金局을 이루고 時支에 申이 있으니 從殺이 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天干에 癸의 印星이 있어 金의 氣運을 洩氣하여 日干을 돕고 있으니 假從殺格이 되었다. 假從格도 되지 않을 뻔했으나 不幸 中 다행이라고 己가 癸의 옆에 붙어 癸를 剋하니 癸가 맥을 추지 못하고 時干의 甲木이 멀리 떨어져 있는 己土를 剋할 수 없어서 다행이었다.

이는 [命理正宗]의 病藥說 理論에서 말한 원칙에 따른다면 癸는 病神이고 己는 藥神이다. 大運이 火로 가는 동안 몇 번이나 事業에 失敗를 거듭하다가 戊辰大運 10年 동안 病神 癸를 剋하고 金을 生하니 큰 재벌이 되었다가 丁卯大運에 죽었다.

 

 

가종재격(假從財格)

 

丙壬甲戊
午戌寅辰

 

壬水가 寅月에 生하니 日干의 氣가 衰退한 때이다. 地支에 寅午戌 火局을 이루고 甲과 丙이 透出하니 食神生財가 되어 假從財格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寅月은 火가 旺盛한 계절이 아니므로 從局이 失時했고 게다가 戊辰이 火의 氣運을 뽑아내고 辰은 日干 水의 庫支라 微弱하나마 通根한 셈이라 이 3가지 조건 때문에 眞從이 못 되고 假從格이 되었다. 大運이 火로 行하여 큰돈을 벌었고 己未運부터 衰退하여 庚申運에 죽었다.

 

己丙辛戊
丑申酉子

 

丙火가 酉月에 生하니 日干의 氣가 極히 衰盡하고 地支에 通根하지 못하고 天干에도 食傷 戊,己와 正財 辛이 있으니 食傷生財하고 財가 地支에 半局을 이루니 從財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土가 많고 地支에 子申 水局을 이루니 金氣가 純粹하지 못하고 水와 土의 氣運이 섞여 混雜하여 眞從이 못되고 假從財格이 되었다. 金大運에 이런 결점을 보완하여 富者가 되었다. 무릇 從財格은 旺神의 氣勢가 純粹하고 專一하지 못하면 假從財格이 된다.

 

 

종살격(從殺格)의 破格.

 

辛乙辛癸
巳丑酉酉   허세영 사주

 

酉月에 金氣가 極旺하고 巳酉丑 金局을 이루고 辛金이 透出하여 日干을 剋하니 從殺格이 될 것 같다. 그러나 癸水가 透出하여 金生水, 水生木으로 通關이 되니 從格이 안 된다. 만약 天干에 戊나 己가 있었다면 癸를 無力化시켜 假從格이 되었을 것이다. 乙木은 本性이 剋을 두려워하지 않으므로 巳宮의 丙火로 制殺하는 것이 원칙이고 癸의 印星으로 用神을 삼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四柱의 用神을 巳中 丙火다. 만약 甲子日柱였다면 癸水를 用神으로 삼았을 것이니 이것이 陽干과 陰干의 性質상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註: 地支의 巳酉丑 金局으로 성립되어 巳火로 剋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癸水 印綬로 殺重用印格이 이루어진다.

 

 

 

己庚丙丁
卯午午卯

 

庚金日主가 午月에 生하고 丙,丁,午,午가 重疊했으니 從殺格이 될 것 같지만 天干에 己의 印綬가 透出하였으므로 從殺格이 될 수 없다. 午月에는 火,土가 旺하니 필히 水로서 調候하는 用神으로 삼으면 貴格이다. 그러나 水가 없으므로 부득이 己土로써 用神을 삼으니 비록 돈은 있었지만 貴하지는 못했다. 水運과 丑運과 己의 濕土 運에 日主를 生하고 調候하니 돈을 벌었다.

 

 

종재격(從財格)의 破格.

 

壬壬庚丙
寅午寅午  청나라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의 사주

 

壬水가 뿌리가 없고 庚金 역시 뿌리가 없다. 丙火가 庚金을 剋하고는 있으나 壬水가 丙火를 剋하니 庚金이 자기 力量을 發揮할 수 있게 되어 天干의 印星 庚金이 살아있고 時干에 壬水 比肩이 있는 연고로 從財格이 되지 못하고 破格이다. 만약 丙午時였다면 假從財格이 되었을 것이다. 비록 地支에 寅午戌 火局을 이루었으나 寅月은 寒氣가 가시지 않을 때라 火神이 秉令하지 못하니 財神이 失勢했다. 다만 火가 勢力만 많았지 得時하지 못했고 陽日干이라 破格이 된 것이다. 이상에서 眞從格과 假從格과 破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그 구별하기란 쉽지가 않다.

 

 

 

종아격: 從兒格(子旺母衰 = 順局)

 

從兒格이란 傷官格이 變化된 것이며 全局이 食傷으로 되어 있어 食傷이 主體가 된 상태를 말한다. 一名 順局이라고도 한다. 日干이 食傷을 順生하기 때문에 붙은 名稱이다.

 

옛 책에서 이르되 <用神이 많으면 마땅히 用神으로 하여금 洩氣케 해야지 剋하면 안 된다(用神多者, 宜洩不宜剋)>고 했다. 특히, 食傷이 太重하여 從兒格을 構成했을 경우에는 마땅히 財星으로써 食傷을 洩氣해야한다.

 

[적천수]에 이르되 <從兒格은 身强 身弱을 불문하고 무조건 財星으로 食傷의 氣運을 洩氣해야 한다>고 했다. 모든 從格은 比劫이 있으면 나쁘고 地支에 比劫이 있으면 나쁘지만 유독 從兒格만은 比劫이 있어도 해롭지 않으니 그 이유는 身强 身弱에 拘碍받지 않을 뿐더러 比劫이 旺한 用神 食傷을 生해주고 用神 財星을 직접 剋하지 않고 比劫 生食傷, 食傷 生財가 되기 때문이다. 從格은 從神이 用神이 되지만 유독 從兒格만은 財星이 用神이 된다.

 

專旺格이 食傷을 用神으로 삼고 從兒格이 財星을 用神으로 삼는 것은 旺者宜洩의 원칙 때문이다. 그러나, 從兒格이라고 해서 무조건 財星을 用神으로 삼는다고 고집해서는 안되고 마땅히 잘 살펴야한다.

 

從兒格의 四柱에 財星이 없으면 破格이 되니 正格의 方法에 依해 보아야 한다. 從兒格의 四柱에 印星이 있어도 破格이 되니 正格의 法則에 依해 四柱를 풀어야 한다. 이때는 印星을 剋하거나 合하여 印星을 去해야 비로소 假從格이 된다.

從兒格에 印星이 있고 印星의 뿌리인 官殺이 있으면 官印을 모두 剋하거나 合하여 除去하지 않는 한 破格이 된다. 破格이 되면 正格으로 보고 正格의 原則에 依해 四柱를 푼다.

 

木日干이 巳,午月에 난 從兒格은 火旺木焚이 되므로 從兒格이 이루어진 것이 오히려 害로운 바 이때는 마땅히 四柱에 金,水가 있어 調候를 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貧賤, 夭折, 淫亂, 夫婦死別한다.

 

火日干이 土月에 從兒格이 되고 四柱에 土가 많으면 土多晦光이 되므로 印星 木으로 用神을 삼는다. 따라서 木火, 火土의 食傷格은 印星을 用神으로 삼는다. 從兒格인데 四柱에 比劫이 없으면 富者는 돼도 官職을 얻지는 못한다. 火日干이 未月의 從兒格이 되면 夭折하거나 失明하거나 일찍 夫婦 離別한다.

 

從兒格에 財星이 剋을 받거나 沖을 받으면 貧困하다.

從兒格에 印星運이 오면 죽고 官殺運이 오면 파산, 퇴직, 범법, 수감되고 歲運이 月柱를 天剋地沖하면 죽는다. 從兒格은 食傷, 比劫, 財運이 좋고 印星, 官殺運이 나쁘다. 未月 火日干의 食傷格은 金,水運을 좋아하고 木運을 꺼리고 火運도 꺼린다.

 

四柱에 食傷보다 다른 六神이 많으면 從兒格이 될 수가 없다. 財星이 透出하지 않거나 財星이 없는 從兒格은 어려서는 祖上의 德으로 豊饒하지만 長成하면 가난하게 되고 自殺하거나 病이 들어 夭折한다. 그러므로 從兒格이라고 할 것도 없다.

 

 

戊丁戊己
申未辰未

 

중화민국 初期의 美女 魚揚의 四柱다. 土가 6개이니 從兒格인데 申金 財星이 있어 旺한 食傷의 氣運을 洩氣하니 진정한 從兒格이 되었다. 月支 辰과 日支 未사이에 巳,午가 끼었으니 丁,戊,己의 祿이고 財星 庚金이 巳에 長生하는 格이니 좋다.

 

 

辛甲甲丙
未戌午寅    女子 四柱

 

木火眞傷官格이다. 木火從兒格은 傷官格으로 轉落하기 때문이다.
正官 辛이 火에 견디지 못하고 四柱에 金,水가 없어 지나치게 乾燥하고 뜨거우니 中和를 잃어, 美貌였지만 가난하고 淫亂했다.

 

 

戊丙己戊
戌辰未戌

 

財星이 없는 從兒格. 人物은 俊秀했지만 일찍 父親을 여의고 貧寒하게 살다가 自殺했다. 火日干 未月 從兒格은 金,水가 있어야 좋다.

 

 

丙癸壬丁
辰卯寅卯

 

地支에 木方을 이루고 丁壬合이 되니 모두 木이고 財星 丙이 透出하니 眞從兒格이다. 일찍이 벼슬길에 올라 大貴했다.

 

 

壬辛辛壬
辰亥亥寅

 

財가 있고 比肩이 透出하고 水가 旺하니 貴하게 되었다. 四柱學 用語에서 貴란 벼슬이고 富란 財産이다.

 

 

乙癸丁甲
卯卯卯寅   (女子 四柱)

 

木이 많고 財星이 透出하고 印星이 없으니 眞從兒格이다. 初運 丙寅에 木火가 旺하여 富貴한 家門에서 出生하였다. 그러나 后의 運이 水木으로 行하고 財運이 오지 않아 淸貴할 뿐이었다. 眞從格이니 平安無事한 一生을 보냈으나 辛酉大運에 月柱를 天剋地沖하니 別世.

 

 

丙甲丙丁
寅午午未

 

食傷이 成象하고 日干이 외로우니 從兒格이다. 그러나, 水木從兒, 土金從兒, 金水從兒는 從兒格을 이루면 좋으나, 木火從兒는 火旺木焚하니 格을 이루어도 쓸모가 없고 火土從兒는 土多火晦가 되니 食傷이 旺盛할수록 凶하다. 이 四柱는 그러므로 大凶하다.

 

 

癸壬戊乙
卯辰寅巳

 

木方을 이루고 乙이 透出하여 忌神 戊를 剋하며 財星 巳가 있으니 眞從兒格이다. 金水運에는 발달이 없으나 晩年에 火運이 드니 늙어서 福이 많았다.

 

 

甲己己壬
戌酉酉戌   (女子 四柱)

 

酉戌 金方을 이루고 財星이 透出하니 從兒格이 되었다. 戊申運은 親庭에서 好衣好食하며 지내다가 丁未運이 오자 印綬運은 凶하여 丙午運이 될 때까지 제대로 되는 일이 없고 몇 번이나 시집을 가며 신세가 고단했으나 乙巳運에 官殺運이 오고 巳酉 金局을 이루니 늙은 男子에게 시집을 가서 衣食住 걱정은 없었다. 女子가 傷官格에 官殺이 있으면 나쁜 運이 오면 男便과 離別하는 것이다.

 


종강격: 從强格(母旺子衰 = 反局)

 

從强格은 印星이 四柱에 가득하고 比劫이 섞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 日干은 印星에 從할 수 없다. 印星이란 본래 日干을 生하는 것이므로 자기를 버리고 굴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從强格은 棄命從格이 아니다.

四柱의 형세를 보아서 財星으로 印星을 파괴하든지 比劫으로 印星의 氣運을 洩氣시킴이 마땅하다. 그런데 財星 用神으로 삼아 印星을 파괴하는 것은 가능할 경우와 불가능할 경우가 있다.

 

즉, 食傷과 財星이 있으면 財星을 用神으로 하고 官殺과 財星이 있으면 財生官, 官生印이 되어 결국 印星이 强化되므로 財星이 用神이 되지 못한다. 특수한 경우에는 比劫, 印星을 用神으로 삼는다.

 

 

己丁甲戊
酉卯寅辰

 

地支에 木方을 이루어 印星이 太旺하니 木多火塞의 形象이다. 酉金 財星으로 木을 剋하고 火를 살린다. 四柱에 官殺이 없고 食傷이 있으니 財星이 有氣하여 印星을 剋할 수 있어서 좋았다. 申酉運에 元首가 된 中國의 林森의 四柱다. 이렇게 財星으로 印星을 剋하는 것을 君賴臣生이라고 한다.

 

辛乙癸壬
巳丑丑申

 

乙木이 丑月에 生하고 月支의 支藏干 癸가 透出하고 壬이 있으며 申中 壬이 있으니 印星이 太旺하고 官殺이 印星을 生助하고 있으니 財星으로 用神을 삼지 못하고, 巳中 丙火 食傷으로 調候用神을 삼는다.

乙卯, 丙辰運에 木生火하여 科擧及第하고 丁巳, 戊午運에 고관대작이 되었다가 己未運에 火를 吸收하고 土,金이 旺해지니 沒落하였다.

이처럼 食傷에 의지하는 경우를 兒能生母라고 한다. 겨울과 초봄의 木日干과 여름의 金日干은 調候를 쓰므로 兒能生母의 形勢가 된다.

 

 

庚癸乙庚
申卯酉辰

 

四柱를 보면 乙庚合하여 金으로 變하고, 辰酉合하여 金으로 變하고 卯中 乙木과 申中 庚金이 合하여 金으로 變하니 金의 印星이 太旺하다. 旺한 五行의 氣勢를 洩氣시키는 比劫이 用神이 되니 申中 壬水와 辰中 癸水가 用神이며 水運에 발달했다.

 

 

乙丙丁乙
未寅亥未

 

亥月이니 偏官이 得令했으나 亥未 木局으로 變하고 2개의 乙이 透出했으며 寅亥合하여 木이 되니 印星이 너무 많다. 財星이 없고 설령 있다고 해도 亥의 官殺이 있어 財生官, 官生印이 될 뿐이니 財星이 用神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比劫을 用神으로 삼아 旺盛한 印星의 氣運을 洩氣시켜야 한다. 그러나 木,火가 모두 失時하니 體와 用이 失時한 形勢이므로 큰 出世는 하지 못하였다.

 

 

甲甲癸壬
子子卯子

 

月支가 日干의 比劫이면서 四柱가 印星과 比劫으로 꽉 찼을 경우 從强格 또는 從旺格이 되는데 旺한 氣運을 따라서 用神을 定하는 특수한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에는 印星과 比劫運은 吉하고 財官運은 不吉하다. 만일 八字의 대부분을 比劫이 차지하고 있다면 食傷運도 吉하나 四柱의 대부분을 印星이 차지하고 있다면 食傷運은 不吉하다. 印星이 食傷을 剋하려 날뛰기 때문이다.

 

 


종세격(從勢格)

從勢格은 日主가 失令하고 比劫이나 印星이 없으면서 四柱가 財星, 官殺, 食傷이 3가지로 混雜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地支에 比劫이나 印星이 있으면 破格이 되므로 從勢格으로 論하지 않고 正格으로 論한다. 天干에 1개의 比劫이나 印星이 있을 때는 그 比劫과 印星이 地支에 通根하지 않고 虛浮가 되거나 剋을 당하거나 合去가 되어야 從勢格이 된다.

 

從勢格은 食傷이 當令하고 得勢하면 大貴하고 그렇지 않으면 富者는 되나 貴하지 못하다. 傷官이 天干에 2개 透出하면 武官으로 出世한다. 財, 官, 食傷의 3가지 中에서 가장 强力한 것이 用神이 되고 그 用神運에 발전한다. 三者의 力量이 비슷할 때는 財星으로 官殺과 食傷의 싸움을 解消시키는 通關 用神으로 삼는다.

 

用神을 沖剋하는 運이 오면, 특히 用神이 月柱일 때 月柱와 沖剋하는 運이 오면 死亡, 投獄, 疾病, 破産의 위험이 있다.

 

 

 

戊癸癸丁
午卯卯巳

 

天干의 比肩 癸가 뿌리가 없고 공중에 떠있고 四柱가 剋洩交集되니 從勢格이다. 從兒格도 안 되고 從財格도 아니고 戊의 正官도 있으니 從殺格도 아니다. 火가 用神이고 木이 喜神이며 金水運은 불길하다. 食神이 當令하니 貴命이다.

 

 

戊甲甲辛
辰午午未

 

比肩 1개가 通根하지 못하고 허공에 떠있고 四柱에 印星이 없고 財, 官, 食傷이 가득하니 從勢格이다. 土가 用神이고 火가 喜神인데 食傷이 得令하니 貴格이다.

 

 

甲癸壬丙
寅巳辰戌

 

辰,戌 沖하여 辰中 癸水가 파괴되니 天干의 壬癸가 뿌리 없이 虛空에 떠있다. 剋洩交集하니 從勢格이다. 通關之神 財星 火로 用神을 삼고 官殺과 食傷이 喜神이 된다. 木,火,土運에 貴하고 金水運에 敗亡했다.

 

 

戊丙己壬
子子酉申

 

從勢格이다. 財星 金으로 用神을 삼으니 水,土가 喜神이다. 行運이 따라주니 大富가 되었다.

 

 

戊丙癸己
子子酉卯

 

日主의 뿌리인 印星 卯木이 酉의 沖을 받아 파괴되었으므로 從勢格이 되었다. 財星이 비록 得時했으나 하나 뿐이니 從財格이 못되고 官星이 得勢했으나 得時하지는 못했으니 從殺格도 못되고 從勢格이 되었다. 財星 金으로 通關하는 用神을 삼고 土,水로 喜神을 삼으며 木火는 꺼린다. 卯運에 月支 用神을 沖하여 죽었다.

 

 

戊丁戊辛
申酉戌亥

 

從勢格이다. 傷官이 雙透하니 大貴했다. 明나라 武宗의 四柱다.

 

 

丙庚甲辛
子寅午卯

 

劫財 辛金이 공중에 떠서 丙과 멀리서 合해 除去되고 印星이 없으니 從勢格이다. 火가 用神이고 木이 喜神이며 金,水는 꺼린다.
대만의 재무국장을 지냈으며 癸酉년에 病死했다.

 

 

 

*註: 본문은 온라인상에서 수집한 것으로 백산의 의견과 상이할 수도 있습니다.

'격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화격(從化格)  (0) 2025.02.27
종격의 성립 요건.  (0) 2025.02.25
록겁격의 용신과 직업적성.  (0) 2024.12.19
귀록격(歸祿格)  (0) 2024.12.17
종격과 화격의 이해.  (0)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