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재 4

군비겁쟁재격(群比劫爭財格)

군비겁쟁재격(群比劫爭財格)  일주가 왕할 때에는 비겁이 있으면 오히려 사주가 혼탁해진다. 일주가 왕한 것은 좋으나 비겁이 있으면 왕한 일주를 더욱 왕하게 하여 흉하고 특히 재와 관살이 있는 경우 비겁이 있으면 재와 관살을 더욱 무력화시키므로 흉하게 된다. 이를 군비겁쟁재라 하는데 이런 경우 평생을 빈천하게 살거나 요사하는 경우도 있다. ​ 편재         비견  비견 丙     壬     壬     壬 午     子     子     子 정재 겁재 겁재 겁재 壬水 日干이 子月에 생하여 得氣하였고 사주에 比劫이 많으니 일주가 旺한 세력을 從할 수밖에 없다. 從旺格으로 論한다. 時柱의 丙,丁 火 財星은 群比劫에 의해 爭財되니 심히 무력하다. "군비겁쟁재"가 된 것이다. 이럴 경우 貧賤하거나 夭死하게 되는..

격국 이야기 2024.07.20

재성의 육친 성격.

재성의 육친 성격. 財星의 六親 性格. 5. 편재(偏財) 偏財는 음양이 같은 五行을 日干이 剋하는 것을 말한다 . 偏財는 衆人(중인)의 재물이니 日干이 강해야 개척하고 고난을 타개하며 노력한 댓가로 재물을 얻을 수 있다 . 日干이 약하면 재물을 감당하기 어렵다. 재물은 養命(양명)의 근본이므로 귀한 神이다. 偏財는 인정이 많고 사교적이며 풍류 기질이 있고 일확천금을 꿈꾼다. 六親으로는 부친, 애인, 처남, 숙부, 고모에 해당하며 女命은 媤母가 된다. 偏財의 성격은 편파적 행동을 하는 자이다. 재물에 욕심이 많고 애정문제를 많이 일으킨다. 주색을 좋아하고 금전을 아낄 줄을 모른다. 돈을 버는 일이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또한 요행과 도박 등을 좋아하여 적은 돈이 생기는 일은 하지 않으려 한다. ..

명리학 기초 2024.02.06

육신의 특수성(六神의 特殊性)

육신의 특수성(六神의 特殊性) ​ 1. 비견(比肩) 자존심이 강하며 자유를 추구하며 협동심과 양보심이 적다. 장점은 불요불굴의 정신으로 방향만 정해지면 과감하게 행동하여 남보다 앞서 성공하기도 한다. 2. 겁재(劫財) 모험이나 투기를 좋아하며 조악한 성격과 불손한 버릇이 있다. 남의 일에 트집이나 간섭을 잘하며 필요이상의 낭비가 있다. 매사에 체념이 빠르고 염세적이며 자기학대를 잘 한다. 3. 식신(食神) 낙천적이며 투쟁심, 결단력과 악착스런 면이 결여된다. 큰 일을 리더할 기백과 투지가 부족하며 예능면에 재능과 다재다예의 취미와 특성이 있다. 4. 상관(傷官) 두뇌가 명석하고 감수성이 예민하여, 예술, 기술 방면에 특이한 재능의 소유자이다. 자만심과 교만심으로 사회생활에 지장이나 고립될 수 있으며, 조..

명리학 기초 2024.01.06

통변성의 칠살관계.

통변성의 칠살관계. 1. 식신과 편인, 食神은 순수한 자연식품과 같아 유유히 살아가는 品格을 지니고 財物과 壽命에도 은혜를 입는다. 그런데 食神의 七殺인 偏印을 만나면 食神을 넘어뜨리는 倒食이 되어 食神의 좋은 점은 전혀 발휘되지 못하여 財物的으로도 빈곤하고 건강과 壽命에도 지장을 받는다. 食神과 偏印이 同柱하거나 地支에서 食神이 偏印의 沖剋을 만나면 불길하다. ​ ​ 2. 편재와 비견. 편재는 유통재물로서 타인의 재물을 운용하는 재주가 있으며, 육친상으로는 부친에 해당한다. 의협심이 강하고 재물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비성이 강하다. 强한 偏財를 가진 者는 天性이 商人이지만 이에 反하여 偏財가 弱하거나 편재의 七殺인 比肩과 同柱한 者는 사업에 적합지 못하며 또한 부친과 인연이 薄하거나 부친의 신상에..

명리학 연구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