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의 육친 성격.
財星의 六親 性格.
5. 편재(偏財)
偏財는 음양이 같은 五行을 日干이 剋하는 것을 말한다 .
偏財는 衆人(중인)의 재물이니 日干이 강해야 개척하고
고난을 타개하며 노력한 댓가로 재물을 얻을 수 있다 .
日干이 약하면 재물을 감당하기 어렵다.
재물은 養命(양명)의 근본이므로 귀한 神이다.
偏財는 인정이 많고 사교적이며 풍류 기질이 있고 일확천금을 꿈꾼다.
六親으로는 부친, 애인, 처남, 숙부, 고모에 해당하며 女命은 媤母가 된다.
偏財의 성격은 편파적 행동을 하는 자이다.
재물에 욕심이 많고 애정문제를 많이 일으킨다.
주색을 좋아하고 금전을 아낄 줄을 모른다.
돈을 버는 일이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또한 요행과 도박 등을 좋아하여 적은 돈이 생기는 일은 하지 않으려 한다.
타인과 더불어 식사를 하더라도 남이 밥값을 지불하기 전에
먼저 내는 돈쓰기를 좋아하고 다소 허풍이 심하다.
항상 남들보다 아이디어가 좋고 행동까지 민첩하니 돈 버는 재주꾼이다 .
처보다는 첩을 좋아하고 놀기를 좋아한다.
남명 사주에 정,편재가 혼잡하면 다른 부모를 모셔본다.
偏財가 있고 신왕하면 대 사업가의 기질이 있다.
偏財가 과다하면 타향에서 자수성가 한다.
女命 사주에 재성이 많은 자는 시모 간에 의리 없고 시댁에 덕이 없다.
月支 偏財는 호걸의 기상을 지녔으며 여행과 유흥을 즐겨한다.
거래와 비즈니스에도 뛰어나며 수입수출 등의 원거리 거래 능력을 가지고 있다 .
偏財가 刑沖되면 재산이나 여자 문제로 패가망신의 우려가 있다.
또한 항시 일신이 불안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
偏財가 用神이면 금전 福이 넉넉하여 풍류호객으로 돈을 잘 쓰고 잘 번다.
사업의 귀재로서 머리 회전이 빠르다.
애정문제나 풍류를 즐기는데 쓰는 돈은 조금도 아깝지 않다.
돈을 버는 일이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기질로서 도박행위, 투기,
밀수, 고리대금업 등으로 돈을 벌려고 한다.
6. 정재(正財)
正財는 음양이 다른 五行을 日干이 剋하는 것이다. 財星은 正官을 生하니
좋은 神이다.
사주가 旺하면 심신이 건전하여 가정생활이 원만하고 재물을 마음대로
부릴 수 있으나 身弱하면 활동력이 약해 돈도 못 벌고 관리도 하지 못 한다.
오히려 재물로 인해 禍(화)를 당할 수 있다 .
六親으로는 男命은 妻, 女命은 媤父母(시부모)에 해당한다.
正財의 성격은 항상 바르게 살고자 노력한다.
가정을 평탄하게 사랑으로 이끌고, 직장은 천직으로 생각하고 성실하게
일하는 성격이다. 검소한 성격으로 저축심이 강하며 꾸준하다 .
부당한 금전은 피하고 노력한 대가만을 바라는 본받을 인물이다.
단점이 있다면 금전을 활용할 줄 모르니 평인에 머물며 약자를 돕고 싶어도
아까워서 도와주지 못하는 소심한 성격이다 .
正財는 정당한 재물이니 매월 받는 봉급과 같으므로 융통성이 없다 .
正財가 刑沖 되면 고지식하여 수전노 소리를 듣는다.
또한 타인과 금전관계를 하지 않는 의심이 많은 성격이다.
부부도 못 믿고 금전을 따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
正財가 太過하면 무슨 일이든 벌려놓고 수습을 못하는 나약한 者로서
妻나 부모에게 의지하는 성격이 두드러지고 쓸 줄만 알지 벌 줄을 모른다.
정재가 용신이면 정직하고 부지런하다. 가정적인 사람으로 효심도 지극하다.
금전의 복이 넉넉하니 극히 안정 추구형의 성격이다.
정확성과 성실성이 있으며 물질적으로는 의식주 어려움이 없다.
직장을 천직으로 알고 성실하게 일하며 정확하게 시간 약속을 잘 지킨다.
낭비가 없고 수입의 범위 내에서 저축생활을 한다.
명예, 번영, 신용, 복록 등 정당한 재물의 축적을 의미한다.
正財가 비겁을 많이 보면 분탈 되어 가산이 탕진된다.
正財는 지지에 있어야 좋으며 월지에 있으면 더욱 좋다.
- 芝山堂 -
'명리학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성의 육친 성격. (1) | 2024.02.13 |
---|---|
관성의 육친 성격. (1) | 2024.02.08 |
식상의 육친 성격. (0) | 2024.02.03 |
비겁의 육친 성격. (1) | 2024.02.01 |
육신의 특수성(六神의 特殊性) (0)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