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충의 통변.
육충(六沖)의 구성.
寅申
卯酉
辰戌
巳亥
午子
未丑
沖은 깨진다. 해당 六親의 散失을 의미한다.
반드시 死亡을 의미하지는 않으나 해당 글자를 써먹지 못한다.
예를 들자면...
○壬○○
○○寅申
壬水 입장에서 寅木 食傷과 申金 印星이 깨지는데, 근묘화실(根苗花實)을 적용하면 날 때부터
申金 印星이 깨지기 시작한다. 이유는? 寅木 食傷 때문에. 食傷은 친할머니. 印星은 어머니. 어머니가 깨지기 시작한다.
친할머니 때문에 六親 이외에 食傷은 進路 혹은 노는 거, 印星은 공부. 날 때부터 공부가 깨지기 시작한다.
이유는? 놀아서.
16세가 넘어가면 寅木이 깨진다. 이유는? 申金 印星 때문에. 어머니가 친할머니 등살 때문에 괴로웠고, 그 以後 어머니의 복수, 그 결과로 친할머니 역시 無力해진다.
놀아서 공부 안 했고, 그 결과로 進路 역시 불투명해진다.
寅木이 申金을 한 번 치고, 申金이 寅木을 다시 친다. 沖이 되면 두 글자가 同時에 깨지지만,
근묘화실(根苗花實)에 의해 時間상의 순서가 定해진다.
辰戌 沖, 丑未 沖은 土의 沖이기 때문에 土가 흩어지지는 않는다. 다만 土를 제외한 支藏干이 깨진다.
글자가 떨어져도 沖은 발생하나 붙어 있는 沖에 비하면 그 散失의 정도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沖은 깨지는 것이므로 별로 좋은 느낌은 아니다. 하지만 吉凶에 의해 沖의 결과가 좋아질 수도 있다.
비록 그 결과가 나쁘지 않더라도 沖에 해당하는 고난은 반드시 겪게 된다.
沖에 해당하는 고난은 激하게 싸우고 갈등하게 된다.
原局의 沖은 合으로 풀 수 있다.
예컨대,
○壬○○
○亥寅申
寅申 沖을 寅亥 合으로 풀기 때문에 이 경우 沖은 그 散失의 정도가 낮다.
그러나, 原局의 沖을 運에서 풀어주지는 않는다.
○壬○○
○○寅申 <- 亥
30세 以前, 이 경우 寅亥 合은 沖을 촉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合으로 촉발시키기 때문에 그 정도를 좀 弱하게 읽어줄 따름이다.
原局에 沖이 되어있으면 해당 時期의 合,刑,沖運에 沖이 움직인다.
原局은 암시이고 運은 암시를 촉발시킨다.
合, 刑, 沖으로 움직이니, 거의 每年 안 걸릴 수가 없게 된다.
寅이 들어오면 당연히 寅申 沖.
卯가 들어오면 寅卯 半合으로 움직이고
辰이 들어오면 申辰 半合.
巳가 들어오면 寅巳申 三刑.
午가 들어오면 寅午 半合.
未가 들어오면 그냥 넘어가고
申이 들어오면 寅申 沖.
酉가 들어오면 申酉 半合.
戌이 들어오면 申戌, 寅戌 半合.
亥가 들어오면 寅亥 合.
子가 들어오면 申子 半合.
丑이 들어오면 그냥 넘어간다.
위 경우는 12年 가운데 그냥 넘어가는 運은 未年과 丑年뿐. 半合으로 조금 沖이
덜한 해는 卯, 辰, 午, 酉, 戌, 亥, 子 7년, 심한 沖은 寅, 巳, 申 3년.
31세가 넘어가면 寅申 沖은 이 八字에서 큰 의미가 없어진다.
沖을 다 겪었으므로 寅과 申은 서로를 때릴 힘을 잃고 老衰해진다.
이 時期 以後의 合運에는 寅과 申이 一時的으로 살아남을 느낄 수 있다.
육충(六沖)의 통변 2.
沖은 깨고, 合은 沖을 푼다. 그런데 여기에 根苗花實의 時間 흐름을 도입하면 재미있는 부분이 발견된다.
예컨대,
○戌卯酉
時間의 흐름상 沖이 먼저이고 合은 後가 되는데, 沖이 먼저가 되므로 酉라는 글자는 비록 완벽하게 沖이 진행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일정 정도 損傷을 입게 된다. 卯가 酉를 때린 後, 酉가 卯를 때리려고 할 때 戌이 卯는 보호할 수 있는데, 酉가 沖을 맞는 時期에는 酉가 완벽하게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酉卯戌
이 경우는 먼저 合을 하고, 沖이 되므로 酉에 의해 合이 풀어지는 것이 中心이 되며, 따라서 卯가 酉로부터 받는 타격은 아주 경미하다.
歲運을 볼 때도 根苗花實상의 時期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지는 점이 있는데,
예컨대,
○酉卯戌
이 경우 똑같은 辰運이 오더라도 卯戌 合이 中點이 되는 時期에는 辰戌 沖으로 戌中 丁火가 타격 받는 일이 없는데, 合이 풀어지는 時點에는 辰戌 沖이 이뤄진다.
- 웹사이트 -
'명리학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음양오행 (0) | 2024.02.27 |
---|---|
오행의 장부 (0) | 2024.02.24 |
인성의 육친 성격. (1) | 2024.02.13 |
관성의 육친 성격. (1) | 2024.02.08 |
재성의 육친 성격.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