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천간과 지지의 이해.

백산. 2024. 1. 23. 06:00

사주명리학에 있어서 천간과 지지의 이해.

 

 

제목은 그렇습니다만 무거운 주제는 아니고 단지 사주명리하는 사람으로서

천간지지에 관련된 근본적인 것을 나름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이야기하는 동양문화,

 

이 동양문화의 시발지가 된 동북아시아 지역은 서양의 해양문화나 유목생활에 수반된 문화와는 다른 농경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이와 같은 특징은 농경생활 즉 농업을 위한 시간적 일정을 중시한 데서 비롯한 것입니다.

 

어느 계절에 씨를 뿌리고, 어느 계절에 곡식을 거두어들이는가,

혹은 가뭄과 홍수 등에 대한 대비적인 측면에서 시간을 인식하고자 하였을 것이며, 또 시간의 변화를 나타내는 曆法(오늘날 달력)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時間의 변화 원리를 밝히려는 학문적 관심으로 인하여 天道를 일찍부터 깨닫게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역법의 발전 과정에 수반된 천도에 대한 인식은 대중적 하부로부터의 시발이 된 것이 아니라 소수의 성현들이 천도의 운행원리 즉 天命을 먼저 깨닫게 됨으로서 발단이 된 것입니다.

 

하도와 낙서에 의해 음양과 오행의 근원이 나타나고, 복희씨와 문왕에 의해 선후천의 괘와 상 등을 인지하게 된 것입니다.

 

성현들에 인지된 天道는 모든 존재하는 만물은 계절이라고 하는 時間的 運行에 의해서 생성하고 변화를 하는데, 변화하게 하는 근원은 영원한 절대자의 뜻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며, 이 만물이 생성하고 변화하는 현상은 바로 空間的 現象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시간과 공간의 합일에 의해 만물이 생성되고 변화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천도 즉 하늘의 도에 따라 지상에서의 物化작용(만물의 생성변화작용)이 일어나고, 지상물 역시 천도의 뜻을 구현하여야 한다는 것인데 천도의 지상물화, 지상물의 천도화 모두 시간 운행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특정시간에는 그 시간에 합당한 지상물이 나타나야만 천도를 어긋나지 않는 것이 됩니다.

 

가령 申月에는 이 설쳐서는 안 되는 것이며, 寅月이 설쳐서는 안 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천도로서 시간의 운행은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느냐?

일월성신, 즉 태양과 별과 달의 을 통해서 시간적인 의미를 알 수 있다고 하는 것인데, 태양과 별과 달이 어떠한 위치에 위치하고 또 상호간의 구성이 어떠한 가를 앎으로서 계절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사주명리학을 하는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천도의 작용이 사주의 어디에 어떻게 나타나느냐 궁금할 것입니다.

 

우선 사주명리학은 대우주의 현상(천도)이 인간을 담고 있는 소우주에 그대로 반영이 되고 인간(소우주)은 천도(대우주)를 따라야 한다고 하는 것이 기본적 바탕입니다.

 

그래서 하늘의 현상(天時)과 땅의 잇점(地利)와 인화를 중시하는 것입니다.

 

天時는 천간에 나타나 있고, 地利는 지지에, 인화는 지장간에 나타나 있는 것입니다.

天時를 보자니 그 계절에 명령권을 가지고 있는 당령이 근간이 되는 것이며, 지리와 인화를 보자고 하니 사령이 근간이 되는 것입니다.

 

당령과 사령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 월령이므로 산음 선생께서는 용신을 월령에서 구해야 한다고 소리 높혀 외치신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시간적인 면이라고 보아야 하겠지요.

또 한편 중요한 것은 사주명리학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특정시점의 공간을 표시하고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물론 시간흐름 상의 전체적인 공간의 현상을 포함하고도 있습니다.

 

시간의 운행은 연월일시라고 하는 근묘화실과 대운 세운 등 시간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것에서 알 수가 있으며, 그리고 천간의 구성과 배치 등은 공간적 요소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대운의 천간도 공간적 요소가 될 수 있고 세운의 천간도 공간적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대운 전체로 보아서는 시간적 요소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한편 지지는 천간의 뜻을 담아내는 그릇으로서 작용을 하는데, 동방서방 등과 같은 방향(空間)개념과 子時 丑時 등과 같은 時間개념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합니다.

 

결론적으로 천간은 일월성신 즉 별과 달의 配置構成, 일월성신 간의 作用이 투영되어 있어 공간적 관점(천간의 구성과 배치, 합충작용)을 잘 표현해내고 있으며 지지는 시간의 흐름과 시간 흐름속의 일정시점, 방향과 아울러 지지간의 합충형파해 등이 투영이 되어 시간적 관점과 일부 공간적 개념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천간과 지지는 각각의 작용이 교차하여 투영되어 있기도 합니다.

지지의 합충작용이 천간에 투영되기도 하고, 천간의 합충작용이 지지에 투영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가령 허자의 작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를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ae3372/60152014327

 

 

- 청천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싸움 잘 하는 사주들  (1) 2024.02.17
용신다자(用神多者)의 단점(短點)  (0) 2024.01.25
실전 통변론  (1) 2024.01.20
정관의 고관무보.  (0) 2024.01.18
한해의 성패를 아는 법  (0)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