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공망의 영향.

백산. 2023. 8. 7. 14:00

공망의 영향.

 

공망은 채워지지 않는 빈자리이며 허망한 것입니다.

 

공망은 주머니가 뚫려서 밑으로 새어 나가는 것이고,

물항아리에 금이 가서 물이 새어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공망이 있으면 남들보다 더 노력을 해도 항상 비어 있는 듯 하니

더욱 집착을 하게 되고 안타까워지는 것입니다.

 

애당초 없으면 없는 대로 잊고 살아가는데 있는 것이 부실하니 더욱 마음이 쓰이게 됩니다.

공망이 되면 공망이 된 그 육친에 대한 집착이 커지게 됩니다.

 

재성이 공망이면 재성에 집착을 하게 되고, 관성이 공망이면 관이나 명예에 대해서

남다른 집착을 보이게 되는데 그것이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운에서도 공망이 오면 그것을 잡으려고 애쓰게 되는데 결과는 허무해집니다.

 

공망은 육친적(십성)으로 적용이 되고 오행으로서는 공망을 논하지 않습니다.

 

甲子일주에 戌亥가 공망인데 戌亥는 육친으로 편재와 편인이 됩니다.

그러나 가 공망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지지에 공망이 있으면 그 지지를 깔고 있는 천간도 공망이 됩니다.

 

공망은 기본적으로 일주를 기준으로 보며 년주 공망도 참고로 합니다.

운에서의 공망은 세운의 공망은 적용을 하고 대운의 공망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년 공망이 되면 조상 덕이 없고 조상 봉양하는 일에 소홀히 하게 되고

조상의 환경을 잘 알지 못하며, 초년에 고초가 따릅니다.

 

월 공망이 되면 부모형제와의 덕이 박하고 혹은 형제가 무력하거나 출생의 비밀이나

고통이 있고 고향을 떠나서 살게 되고 사회생활이나 직장생활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년주 기준으로 보아서 일 공망이 되면 대체로 부모·조상과 무정합니다.

배우자가 가문에 없는 것이므로 할아버지 할머니 조상이 기뻐하지 않는 배우자

혹은 배우자가 조상의 뜻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니 배우자 인연이 고달픈 경우가 많습니다.

 

시 공망이 되면 가장 나쁜 경우로 말년에 큰일을 하기에는 불리한 환경이고,

자식수가 대체로 적거나 덕이 부족합니다.

자식궁이 공망이 되니 자식과 떨어져서 살아야 합니다.

 

인성이 공망이 되면 모친의 덕이 없고, 학업에 장애도 많으며,

인덕도 없으며, 자비심도 없으며, 생각하는 것이 진지하지 않습니다.

 

인성이 공망이 되면 뭔가 목적을 취하기 위해 가끔 도덕을 버릴 수 있어서

불법·탈법의 요소가 되고 운에서 인성 공망이 오면 불법이나 탈법을 행하기도 합니다.

 

인성은 문서도 되는데 공망 맞은 문서이므로 번듯한 문서가 아니라

뒷골목이나 산동네나 모양이 이상하게 생기거나 한 문서입니다.

 

비겁이 공망이 되면 형제와 일찍 헤어지고, 형제 덕과 친구의 덕이 없고,

사귀는 친구마다 오래 지속치 못하고 속마음을 털어 놓을 친구가 없어서 외롭고 고독합니다.

 

비겁이 공망이 되면 심하게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칼을 빼려다가 거두고

참으며 타협을 하게 되므로, 경쟁성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식상이 공망이면, 생활력이 없고, 직업에 변화가 많고, 노력에 비하여 대가가 적습니다.

 

여자는 자식이 못나고 어리석어서 믿을만한 일을 못하며, 아랫사람으로 인하여 구설이 따릅니다.

 

식신이 공망이 되면 제조. 기르는 행위. 축산 생산 등이 잘 안되는데 그런 일은 절대 피해야 하고

꼭 해야 한다고 하면 남의 땅을 빌리거나 일반 작물이 아닌 특용작물을 하면 됩니다.

 

식상이 공망이면 대체로 수명이 짧습니다.

 

재성이 공망이 되면 처덕이 없고, 재물의 논리에 약하고,

사업성이 없어서 학문이나 명예 중심으로 가야 합니다.

 

관성이 공망이 되면 직업이 확실치 않고, 변화가 많고 불안하며,

조직사회의 인연이 약하므로 자기사업이 인연입니다.

 

남자는 자녀와도 별 인연이 없으며, 여자는 남편의 덕이 없고,

알뜰한 직업이 되지 못하고, 계약직이나 임시직 같이 오래지속을 못합니다.

 

관성이 공망이 되면 말이 그럴듯하고 허풍과 허세가 있습니다.

관성이 공망이 되면 재적인 일로 가야 합니다.

 

 

- 자작나무님 -

 

 

- 백산철학관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억부용신의 이해  (0) 2023.08.12
조후법과 억부법에 대한 사견.  (0) 2023.08.11
격국과 억부법.  (0) 2023.07.24
자평 억부원리(子平 抑扶原理)  (1) 2023.05.09
간명의 기본원리  (1)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