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겁격의 용신과 직업적성.
建祿格은 比劫이 格이므로 天干에 透干되는 것에 따라 性格이 나타난다.
建祿格의 직업은 一定하지 않고 透干하는 十星에 따라 달라진다.
取用하는 六神과 五行에 따라 판단한다.
偏財가 透干하면 對人關係가 원만하고(사업가적 싹싹함),
正財가 透干하면 정확하며, 食傷은 예술, 체육,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고,
印星이 透干하면 학업, 예술에 관심이 있다.
正,偏財가 같이 있으면 强한 性格을 반영하여 偏쪽으로 해석한다.
큰 조직에 잘 맞고, 많은 사람이 모인 조직에서 근무하는 것이 좋다.
祿劫格은 自手成家하며 가난한 집안을 일으키는 것이 역할이다.
財星용신 : 건록격에 재성을 용신하면 사업가 명이다.
正官용신 : 건록격이 정관을 용신하면 관직으로 출세한다. 록은 녹봉이므로 관을 추구한다.
食傷용신 : 건록격에 식상이 강하면 체육, 예술, 기능, 연예 등이다.
印星용신 : 건록격에 인성이 투하면 학문, 연구 분야에 매진한다.
비견이(형제) 健旺하면 형제의 인연이 강하다. 비견이 약하면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비견이 많으면 부친과 인연이 약하다.
남명에서 재성은 부친인데 비겁이 재성을 극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은 떨어져 살아야한다.
비견이 나타나 있고, 재성을 탈재하면 처의 노고가 있고, 타인으로 인한 손재가 발생한다.
群劫爭財하면 형제간 재산다툼이 일어난다.
비견이 많으면 財星을 剋하므로 妻와 인연이 弱하거나 변할 수 있고, 여자도 부부인연이 변할 수 있다. 正官이 남편인데 정관에게 대항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비겁이 많으면 正官이 비겁을 剋制하기 어렵다. 비겁이 나타나있고, 재성을 두고 쟁합, 투합,爭財하면 의처증이나 의부증이 있다.
비겁이 健旺하고 喜神이면 형제간 도움이 있다.
偏官을 羊刃合殺했다면 형제가 偏官을 制壓한 것이므로 형제간 좋다.
반면, 比劫이 단순히 奪財만 하면 형제간 사이가 좋지 않고, 遺産을 가져가 버리는 등 좋지 않다.
比劫이 너무 많으면 印星이 사주에 나타나 있건 없건 도기(盜氣)가 된다.
그래서 어머니가 힘이 든다.
無財사주(여자는 無官)는 사주에 없는 것을 찾아다니는데 생기지 않는다. 無財四柱는 여자가 잘 안 붙는다.
多財四柱는 여자는 많으나 마지막에는 없다. 남자 財多身弱 사주는 離婚하기 쉽다. 너무 많은 것은 너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남자가 조후용신(調候用神)이 財星이 되는 경우 例를 들어 壬,癸 水日干이 추울 때 태어나면 丙,丁 火를 매우 찾아다닌다.
丁 庚 甲 乙
丑 戌 申 未
건록격(建祿格)인데, 財官을 用神으로 한다. 日干 强, 財星 强, 正官이 通根했다.
丑戌 刑은 水가 旺해야 작용하므로 여기서는 작용하지 않는다.
魁罡인데 남자 魁罡은 괜찮다(여자는 고생을 한다). 偏財가 가까워서 偏財 爲主로 산다.
正財가 가까우면 正財 爲主로 산다.
魁罡四柱는 壬辰>庚辰>庚戌>戊戌>壬戌 順으로 强한데, 壬辰日主는 離婚할 확률이 상당히 높다.
*註: 祿劫格에 陽日干은 剋하는 官星을 爲用하고 陰日干은 洩하는 食傷을 爲用한다.
例를 들면 甲日干이 卯月에 生하며 剋하는 庚金 七殺을 爲用하고
乙日干이 寅月이나 卯月에 生하면 洩하는 丙火를 爲用하는 게 大格이라 할 수 있다.
- 도현 -
==================================================
록겁격(祿劫格)이란?
일간이 월령에서 比肩(建祿)이나 劫財(羊刃)를 보게 되는 경우는 록겁격이라 한다.
록겁격일 경우 일간이 양간과 음간에 따라서 취용법이 다르다.
양일간이 록겁격일 경우 우선 극하는 육신을 보아야 한다.
즉 관성을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극하는 관성을 보더라도 정관보다 편관을 보아야 한다.
그런 다음 일간의 기운과 편관(관성)의 기운을 저울질하여 강자와 약자를 구분하여
약자를 돕고 강자를 억제하는 방법을 취한다.
음일간의 록겁격일 경우에는 우선 설하는 육신을 보아야 한다.
즉, 식상을 보아야 한다. 그런데 이때 양간의 식상을 보아야 길하다.
그런 다음 식상과 일간의 기운을 저울질하여 약자를 돕고 강자는 억제하는 방법을 취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가령 갑일간이 록겁격(인,묘월)일 때 양간의 관성 경금을 보아야 길하다,
음간의 관성 신금은 격이 떨어진다.
또한 음일간인 을목일간이 록겁격(인,묘월)일 때 양간인 병화를 보아야 길하다는 것이다.
음간의 식상 정화를 보게 되면 격이 떨어진다.
- 백산 -
'격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격의 성립 요건. (0) | 2025.02.25 |
---|---|
종격 사주. (0) | 2025.02.22 |
귀록격(歸祿格) (0) | 2024.12.17 |
종격과 화격의 이해. (0) | 2024.12.12 |
관살혼잡격(官殺混雜格) (0)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