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연구

육합의 통변 (2)

백산. 2024. 12. 26. 05:00

육합의 통변 (2)

 

六合을 이루는 2개의 氣運이 모두 상실된다는 개념을 도입한 추론입니다.

 

 

1. 남성 (‘55년생)

 

癸 戊 己 乙

亥 寅 卯 未

 

1) 從殺格. 丙子大運에는 시행 착오를 많이 겪었다고 함.

 

2) 대기업 CEO로 근무 중임.

 

3) 세계 곳곳에 세컨드를 두고 있을 정도로 여성 편력은 심함.

 

4) 寅亥 合.

*말년의 .

*재성(여자)을 얻기 위해서 관성(자기 절제력. 체모)을 돌보지 않는다.

->관성의 상실.

 

*사회적 권위 때문에 그 여성들을 노출시킬 수 없을 것이고 재물도 나간다.

->재성의 상실.

 

 

 

2. 남성(‘1980)

 

己 乙 辛 庚

卯 巳 巳 申

 

42 32 22 12 2

丙 乙 甲 癸 壬

戌 酉 申 未 午

 

1) 외국어 고등학교 졸업. 고려대 법대 졸업.

 

2) 고교 때 학생회장.

 

3) 외무고시 준비 중.

 

4) 巳申 合으로 묶여서 從殺格이 안 되고, , 喜神이다.

 

5) 巳申 合->내 진로(傷官)에 대한 한 의지 때문에 취직(正官)을 미루고 있음.

-->사회적 지위(官星)에 대한 욕심 때문에 자유로움(傷官)을 유보함.

 

 

 

3. 여성(‘1958)

 

庚 己 庚 戌

午 巳 申 戌

 

44 34 24 14 4

乙 丙 丁 戊 己

卯 辰 巳 午 未

 

1) 초년 대운에 부친과 사별함->戌未 癸水 재성이 입묘(인성 도 입묘)

 

2) 巳申 육합->엄마와 내가 합을 한 상황.

->내 생각을 먼저하고 나만 챙기자니 엄마가 섭섭해 하고 힘들다.

->엄마를 우선 챙기고 생각하자니 내가 힘들고 괴롭다 (자유로움 상관 상실)

 

 

 

4. 여성(‘1960)

 

乙 甲 庚 庚

丑 子 辰 子

 

1) 子丑 合으로 인성과 재성이 하였다.

 

2) 엄마와 오빠가 계속 돈을 뜯어간다고 한다.

 

3) 돈 때문에 안정성이 깨어지고, 안쓰럽고 어진 마음 때문에 돈을 주고 만다.

 

 

 

5. 여성(‘1957)

 

甲 己 庚 丁

戌 卯 戌 酉--戊土 월령

 

42 32 22 12 2

乙 丙 丁 戊 己

巳 午 未 申 酉

 

1) 약사. 독신녀 50.

 

2) 地支에서 官星 卯 六合으로 묶여있다.

 

3) 에서 이나 가 와도 잘 풀리지 않는다.

 

4) 자기의 主體性 때문에 남자를 얻지 못하고(官星 喪失)

 

5) 獨身이라는 것 때문에 친구들과 주변 사람들에게 열등감(比劫 자신감 喪失)

즉 주변 관계에서 남편이야기만 나오면 외톨이가 되니...친구를 잃는 .

 

 

 

6. 남성(‘1962)

 

庚 乙 辛 壬

辰 丑 亥 寅

 

1) 초등학교만 졸업.

 

2) 독립해서 돈을 벌려고 학교에 다니지 않았다고 함.

 

3) 나중에 독학하여 공무원 하급직에 합격함.

 

4) 寅亥 六合은 인성과 비겁의 합이니, 공부와 친구를 사귈 기회를 모두 잃은 셈.

 

#.없는 것도 문제지만 있는 것이 合沖으로 喪失되면, 그 체감력이 더욱 하다.

 

 

 

7. 여성(‘1973)

 

丙 丁 甲 癸

午 酉 子 丑

 

1) 일찍부터 다양한 직업에 종사->포크레인. 지게차. 대리운전. 일반영업 등.

 

2) 그 이유를 사주학적 측면에서 고찰한다면

->子丑 合 (官星 食傷 )

->官星 天干에는 에 있고 地支에는 月支에 있으니 일찍부터 취업이고

->다양한 기술. 소질(食傷) 때문에 직업(관성)이 자주 바뀌는 형국이고

->직업(官星)이 내 자유로움(식상)을 묶으니 자꾸 튀어나가고 싶은 것이다.

->그러한 現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결과로써 직업도 자주 바뀌고 있다.

 

 

 

8. 여성(‘1969)

 

戊 辛 辛 己

戌 卯 未 酉

 

1) 결혼을 하지 않고 종교적 수행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여성이다.

 

2) 그러나, 世俗을 완전히 등지지 않고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3) 卯戌 合으로 印星 財星 하고 있다.

->財星 때문에 印星(정신적 활동)이 묶여있는 형국이고

->印星 때문에 財星(활발한 경제활동)도 묶여있는 형국이다.

 

4) 癸未년 말부터 어려워져 甲申년에 부도가 나고, 재판에 계류 중이다.

 

 

 

9. 남성(‘1971)

 

乙 辛 丙 辛

未 巳 申 亥

 

45 35 25 15 05

辛 壬 癸 甲 乙

卯 辰 巳 午 未

 

1) 巳申 合으로 묶이니 日干 해졌다.

 

2) , 喜神이 된다.

 

3) 六合 通根力 喪失 작용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身强한 사주이므로

 

4) .. 喜神이 된다.

 

5) 본인이 말하는 자신의 근황.

#.법학을 전공하고 법률 계통의 일을 했었다.

#.직장의 잦은 변동이 있었다.

#.아직 未婚이다.

#.癸巳대운 甲申년에 재물의 큰 손실이 있었다.

#.자영업을 하고 있으나 손실만 커서 직장을 구하려고 하는 중이다.

 

 

 

10. 여성(‘1985)

 

己 丁 甲 丙

酉 未 午 寅

 

28 18 08

辛 壬 癸

卯 辰 巳

 

1) 아빠와는 相剋이고, 엄마와는 사이가 매우 좋음 (原局 地支 印星이 있음)

 

2) 집안은 엄마가 생활력이 있어서 경제적으로 비교적 풍요로움.

 

3) 단순 사무직이나 군인. 경찰을 하고 싶음.

 

4) 壬午(17)에 고등학교 중퇴(성적 최하위권,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함)

 

5) 결국 친구를 잃는 形局이었음.

->午未合으로 午火 비견이 流失되는 상황.

->친구 때문에 未土 식신(진로)도 동반 流失.

->巳大運의 일이므로, 寅巳 火刑(비견겁의 형살)이니 친구문제로 힘들게 됨.

 

 

 

11. 여성(‘1972)

 

丁 辛 癸 壬

酉 丑 丑 子-->월령

 

1) 도 강하지만, 일간도 강한 편이다 (2-3 득령, 1-3)

 

2) 공부는 뒷전이고 모델. 연기자를 꿈꾸며 연기학원을 전전함. 현재 이혼직전

 

3) 子丑합으로 식상과 인성이 묶였다.(공부와 진로가 모두 묶인 상황)

 

 

 

12. 여성(‘1960)

 

戊 甲 己 庚

辰 子 丑 子

 

1) 원국에 子丑 合.

 

2) 인성과 재성의 합.

->부친이 바람을 피워서 태어난 사람임.

 

3) 丙戌 대운에 이혼하고 술집을 운영함.

->丑戌  관성이 입묘상황.

 

 

 

13. 남성(‘1955)

癸 戊 己 乙 乾

亥 寅 卯 未

 

종살격으로 木水가 희용이니 운로가 아름다워 대기업에 CEO로 근무한다.

 

격이 천간급으로 뚜렷하고 종격이며 체용이 동주하고

지지를 아우르는 격이니 국제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寅亥합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六合으로 재성과 관성이 합하고 있어

여성편력을 위해서는 자신의 조절능력을 상실한다고 보이며

세계 곳곳에 세컨드를 두고 있다하니

비록 종살이지만 寅亥 合으로 을 망각하고 있어 명조에 흠이 되고 있다.

합이 부정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14. 남성(‘1980)

己 乙 辛 庚 乾

卯 巳 巳 申

 

月令 巳 , 중에 庚金 天干級格으로 하고 最强 五行으로부터 을 당하고 있어

 藥神으로 기대되고 用神 이 되고 喜神 가 된다.

 

土金喜用인데,  月令 하고 天干級 用神으로 透干되나 混雜된 것이 이 된다.

 

癸未大運 하여 고교와 大學을 잘 보낸 것은 未土 喜神이기 때문이고

甲申大運 申金 地殺로 들어오면서 巳申合 解合되어 地殺驛馬 하니

외무고시에 뜻을 두고 매진하며 뜻을 이루게 될 것이다.

 

 

 

15. 여성(‘1992)

丙 壬 乙 壬 坤

午 子 巳 申

 

월령  , 중에 丙火가 천간급 격으로 하고 最强 五行에 들어가니

火體水用(화체수용)으로 , 희용을 취한다.

 

巳申 합으로 申金이 기반되어 解合(해합)되지 않는 한 희신이 없어

고립무원에 처해진 꼴이 되니 용신의 등급은 하향하게 된다.

 

巳火는 노는 것에 해당하고 금은 공부하는 것에 해당하는데,

노는데 빠져 공부는 뒷전이고 노는 것도 엄마의 질책과 간섭으로 마음 놓고 놀지 못한다.

 

 

 

- 동악재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문답(命理問答)  (0) 2025.01.16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0) 2024.12.28
육합의 통변 (1)  (1) 2024.12.24
지지 합에 대하여  (0) 2024.12.21
개고법(開庫法)  (0) 2024.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