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합의 통변 (1)
동악문파에서는...
六合을 해석하면서 化氣運은 論하지 않습니다.
즉 卯戌 合일 뿐 ...卯戌 合火는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고수합니다.
古書를 비롯한 전통적인 命理學에서 六合의 기능과 작용력에 대하여
별도로 상세하게 언급된 것이 미미하거나 아예 없는 실정입니다.
다만 몇몇 學派에서 그것을 '묶인다'라든가 하여...
일종의 '喪失'의 의미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이수학파에서도 일종의 喪失로 보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습니다.
筆者도 역시 '喪失'의 상황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일지(日支)의 六合입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日支의 六合은 '득(得)'의 상황으로 통변하며...
많은 경우에 實證됩니다.
이수학파에서도 日支의 六合만은 ...得의 상황으로 보기도 합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린다면...
日支의 六合은 하나는 잃고 하나는 得하는 상황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그 得한 것도 온전한 모습이 아니라는데 핵심이 있습니다.
@ 癸 @ @
@ 卯 @ @ <--戌이 오면....卯戌 合이 이루어집니다.
1) 食神과 正官이 合을 이룸
2) 여성이라면...食神과 正官이 合하므로...
속도위반 같은 모습을 띠면서 男性이 생기는 형국입니다.
3) 失 : 食神 --> 자유로움. 의지. 라는 요소는 喪失의 모습입니다.
4) 得 : 正官 --> 남자. 직업 등은 得의 모습입니다.
--> 남자가 생기므로서...
그 남자에 올인하여 다른 것들은 소홀하게 되는 결과를 드러냅니다.
--> 직장을 얻으므로서...
다른 취미활동이나 자유로움은 포기하는 결과일 수 도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이것을 생각하면 저것이 아깝고,
저것을 생각하면 이것이 아깝습니다.
--> 모두 다 온전치 못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 日支 合으로 得한 남성이나 직장은 결국...
一種의 變故상황이거나 온전치 못한 徵候를 갖게 됩니다.
5) 日支의 六合은 ...방향성도 매우 중요합니다.
日支+月支의 六合 : 현재성이 强함
日支+時支의 六合 : 미래성이 强함
@ 丙 @ @
卯 戌 @ @
1) 食神과 印綬가 六合입니다.
2) 식신--> 표현. 표출. 언어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인수--> 생각. 논리성. 학문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 이 사람의 글이나 말의 표현의 특징은...
논리성을 추구하거나 너무 현학적인 모습을 띠게 됩니다.
--> 표현이 너무 진부하니...寸鐵殺人의 산뜻함이 부족합니다.
--> 농담을 거의 못하고 재미가 없습니다.
--> 筆者의 命式입니다.
* 모든 것을 버리고 산 속으로 들어가고 싶어도(食神의 자유로움)
* 印星(집. 가정)때문에 실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學文도 제대로 못하고...산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지도 못하고 어정쩡합니다.
* 둘 다 喪失이니...學文으로 성공도 어렵고, 산 속 道人이 되기에도 글렀습니다.
* 行運에서 沖으로 풀리는 등의 변화를 기다려야 합니다.
- 동악재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의 세력 알아보기. (0) | 2024.12.28 |
---|---|
육합의 통변 (2) (0) | 2024.12.26 |
지지 합에 대하여 (0) | 2024.12.21 |
개고법(開庫法) (0) | 2024.07.13 |
묘고법(墓庫法)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