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 4

10천간의 이해.

10천간의 이해. ​甲木(갑목) 양목(陽木), 지지(地支)의 인(寅)과 같다.대림목(大林木), 십간 중(十干 中) 첫 번째, 큰 나무, 유실수, 상승의 기(氣), 강직, 단호, 두목, 사장, 우두머리, 책임자, 우월감, 활동적, 적극적, 경쟁에 강한 것이 특징, 자존심, 고집 때문에 직장생활 어렵다. 잘 자람, 뇌성벽력 중 腦에 속함, 성질은 따스함, 윗사람한테 억압 잘 받음, 넘어지면 잘 못 일어남(상체보다 하체 약하기 때문), 군인, 경찰계통 직업, 입이 4개이기 때문에 학자, 법관, 못 배워도 말을 잘함, 융통성 약함, 갑(甲)이 극(剋)을 받으면 머리에 이상 생길 수도, 받는 것 보다 주는 것을 좋아하는 군자의 덕, 한번 결정한 것은 잘 뒤집지 않는다. 경쟁자 있어야 더 잘하고, 아무리 커도 만족..

명리학 기초 2024.06.15

십간조후론, 임수(十干調候論, 壬水)

십간조후론, 임수(十干調候論, 壬水)  ◆壬水  ◎寅月 壬水는 아직 추운 季節로 丙火가 필요하고 寅月에 그 氣勢가 休囚되므로 庚金을 得하면 水源이 마르지 않는다. 이때에 戊土를 만나면 水勢가 强해짐을 調節하니 丙火, 戊土, 庚金 있어야 上格이다. 또 月令에 丙火, 戊土가 있어 庚金만 天干에 透出해도 좋다. 比劫이 많고 庚金이 있으면 水勢가 氾濫하므로 반드시 戊土가 있어야 하고 戊土가 없으면 下格이 된다. 壬水가 比劫과 印綬를 만나 身旺한데 戊土를 만나지 못하고 甲木이 있다면 水木傷官格으로 머리가 좋고 임기응변에 能한 者가 된다. 반대로 戊土나 己土가 旺해 壬水가 弱하면 甲木으로 戊土를 制해야 되는데 이러면 일장당관(一將當關)이 되어 높은 官職을 얻을 수 있는 命이 된다.   ◎卯月 壬水는 陽氣가 있는 때..

명리학 기초 2024.06.01

10천간의 이해.

10천간의 이해. ​◉甲木(갑목) 양목(陽木), 지지(地支)의 인(寅)과 같다.대림목(大林木), 십간 중(十干 中) 첫 번째, 큰 나무, 유실수, 상승의 기(氣), 강직, 단호, 두목, 사장, 우두머리, 책임자, 우월감, 활동적, 적극적, 경쟁에 강한 것이 특징, 자존심, 고집 때문에 직장생활 어렵다. 잘 자람, 뇌성벽력 중 腦에 속함, 성질은 따스함, 윗사람한테 억압 잘 받음, 넘어지면 잘 못 일어남(상체보다 하체 약하기 때문), 군인, 경찰계통 직업, 입이 4개이기 때문에 학자, 법관, 못 배워도 말을 잘함, 융통성 약함, 갑(甲)이 극(剋)을 받으면 머리에 이상 생길 수도, 받는 것 보다 주는 것을 좋아하는 군자의 덕, 한번 결정한 것은 잘 뒤집지 않는다. 경쟁자 있어야 더 잘하고, ..

명리학 기초 2024.05.04

천간 활용.

천간 활용. 1) 갑목. 생각은 많이 하나 행동력이 약하다. 피부 바깥은 거칠고 강하나 속은 여리고 약하다. 남에게 약하게 보임을 싫어하고 밖으로 부풀려 보이도록 하려는 성질이다. 자기보호 본능이 아주 강하다. 이런 성정은 사주 상황에 따라 또 어떤 지지에 뿌리박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 질수도 있으나 대강 그렇다는 말이다. 갑은 첫머리이므로 어떤 조직이던 머리의 역할을 많이 한다. 사물로는 막대기, 목재, 소나무, 잣나무 등 일반적으로 큰 나무다. 갑은 토를 좋아하니 나무는 땅에 뿌리를 박아야 하기 때문이다. 2) 을목. 새가 앉아 있는 모양, 줄기가 뻗어나는 모양,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 연한 수풀, 싹이요 넝쿨이다. 화초다. 약하지만 진취성있고 좌절하지 않는다. 바람에 흔들리는 잎새니 의지할 곳이 제한..

명리학 기초 2024.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