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 6

귀록격(歸祿格)

귀록격(歸祿格) 갑일생(甲日生)이 시지(時支)가 인시(寅時)면 甲日干의 寅木은 祿星이 되고 녹성이 時支에 있으므로 귀록(歸祿)이라 한다.귀록격(歸祿格)이 되기 위해서는 사주에 관살(官殺)이 없어야 하고 형충(刑沖)이 없어야 한다. 귀록격(歸祿格)이 되면 식상(食傷)이 太旺하지 않는 한 일주(日主)가 旺한 것이니 신왕운(身旺運) 식상운(食傷運) 재성운(財星運)은 모두 吉하다. ​ 편재       겁재  정재  己    乙    甲    戊  卯    亥    寅    子비견 정인 겁재 편인(建祿) 乙木이 卯時에 生하였고 官殺과 刑沖이 없으니 귀록격(歸祿格)이다.日支 亥水는 月支와는 六合 木局, 時支와는 半合 木局이 되니 地支에 木氣가 太多하다. 따라서 日干이 旺한 勢力을 從할 수밖에 없으므로 從格 中 從旺..

격국 이야기 2024.12.17

군비겁쟁재격(群比劫爭財格)

군비겁쟁재격(群比劫爭財格)  일주가 왕할 때에는 비겁이 있으면 오히려 사주가 혼탁해진다. 일주가 왕한 것은 좋으나 비겁이 있으면 왕한 일주를 더욱 왕하게 하여 흉하고 특히 재와 관살이 있는 경우 비겁이 있으면 재와 관살을 더욱 무력화시키므로 흉하게 된다. 이를 군비겁쟁재라 하는데 이런 경우 평생을 빈천하게 살거나 요사하는 경우도 있다. ​ 편재         비견  비견 丙     壬     壬     壬 午     子     子     子 정재 겁재 겁재 겁재 壬水 日干이 子月에 생하여 得氣하였고 사주에 比劫이 많으니 일주가 旺한 세력을 從할 수밖에 없다. 從旺格으로 論한다. 時柱의 丙,丁 火 財星은 群比劫에 의해 爭財되니 심히 무력하다. "군비겁쟁재"가 된 것이다. 이럴 경우 貧賤하거나 夭死하게 되는..

격국 이야기 2024.07.20

공망 육친(空亡 六親)

공망 육친(空亡 六親) 육친의 안위(安危)와 유무(有無)를 살필 때는 육친궁과 육친성을 살핀다. 육친성을 보려면 사길신과 사흉신을 가려 취하고, 육친궁을 볼 때는 오행(五行)의 왕상휴수(旺相休囚)가 기준이다. 甲戌年 寅月生은 父의 자리 年干이 왕기(旺氣)를 띠므로 유력한 부친이다. 時 日 月 年 자식 명주(命主) 형제 부 자식 배우자 월지(月支) 모 육친궁의 오행(五行) 왕상휴수(旺相休囚)를 파악하는 기준은 월지(月支)이다. 월지(月支)를 기준으로 각 주(柱) 별 간지의 생극제화(生剋制化) 여부를 본다. 월지(月支)는 충(沖)이 되어도 월지(月支) 자체의 기(氣)는 유효하다. 월지(月支)가 합(合)이 되면 합(合) 오행(五行)이 성립하느냐에 따라 육친의 왕쇠(旺衰)를 논한다. 월지(月支)에서 사절(死絶)..

명리학 연구 2023.08.18

종관살격 (여명)

종관살격 (여명) 丙 庚 丁 甲 戌 午 卯 辰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대운 5)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이 사주는 庚金이 卯月에 生하여 失令하였고 年支에 辰土가 있으나 卯辰으로 류취방합(類聚方合)에 天干 甲木이 透出하여 천간유인력(天干誘引力)으로 木의 氣運이 化했으니 일주 경금에게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時支에 戌土 역시 日支 午火와 合을 이루며 時干에 透出한 丙火에 天干誘引力으로 火로 化하여 庚金 日干에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고로 陽干 日主라고 해도 從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본시 月令은 財星이었으나 官星을 生하며 終乃는 官星으로 집결되니 從官殺로 보아야 할 것이다. 초년 丙寅運에는 부유한 가정에서 어려움 없이 成長하였으나 그 以後 北方 水運을 지나는 동안 인생살이를 짠 내나게 살아..

명리학 실전 2023.05.23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1. 신강(身强), 신약(身弱)의 중요성. 四柱看命法 中에 약 70%정도가 이 强弱 기준으로 用神을 판단하게 됩니다. 따라서 强弱을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얼핏 쉬운 것 같으면서도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것이 이 强弱을 판단하는 일입니다. 變數가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命理寶鑑]에서도 가장 많은 소스를 차지하는 것이 이 强弱판단부분입니다. 2. 강약(强弱)판단 기준점. 사주가 太旺하거나 太弱한 경우는 누구나 强弱을 판단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中和에 가까운 사주는 자칫하면 거꾸로 强弱을 판단하게 됩니다. 强弱이 거꾸로 판단되면 用神이 전혀 엉뚱하게 잡히게 됩니다. ​ 위 도표에서 보듯이 强弱판단의 기준은 最弱을 0으로 보고 最强을 100으로 보게..

명리학 연구 2022.12.17

신강약 구분법(身强弱 區分法)

신강약 구분법(身强弱 區分法) 일주(日主)는 사주 주인공의 생일 천간(生日 天干)을 말하는 것인데, 이것을 명주(命主) 또는 일원(日元), 일간(日干)이라고도 부른다. 통칭 日干이라 한다. 일간(日干)은 四柱 中에서 제일 중요한 地位에 놓여 있는데, 사람으로 말하면 자신의 몸이 되는 것이고 또 자신의 몸으로 말한다면 生命力이 되는 것이므로 命主 또는 日主라고 한다. 인생사는 내 몸이 강건(剛健)하여야만 건전한 정신으로 事物을 主管할 수 있는 것이고, 내 몸이 쇠약(衰弱)하면 氣力이 不足하여 事物을 감당할 수 없는 것과 같다. 고로 四柱에 있어서도 日主가 强健해야 재관(財官)을 감당할 수 있고, 日主가 弱하면 재관(財官)을 감당할 수 없으니 日主의 강약(强弱)을 분별하지 않을 수 없다. 고로 日主의 强弱을..

명리학 기초 2022.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