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강(身强)과 신약(身弱)
1. 신강(身强), 신약(身弱)의 중요성.
四柱看命法 中에 약 70%정도가 이 强弱 기준으로 用神을 판단하게 됩니다. 따라서 强弱을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얼핏 쉬운 것 같으면서도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것이 이 强弱을 판단하는 일입니다. 變數가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命理寶鑑]에서도 가장 많은 소스를 차지하는 것이 이 强弱판단부분입니다.
2. 강약(强弱)판단 기준점.
사주가 太旺하거나 太弱한 경우는 누구나 强弱을 판단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中和에 가까운 사주는 자칫하면 거꾸로 强弱을 판단하게 됩니다. 强弱이 거꾸로 판단되면 用神이 전혀 엉뚱하게 잡히게 됩니다.
위 도표에서 보듯이 强弱판단의 기준은 最弱을 0으로 보고 最强을 100으로 보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 四柱는 0%나 100%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比劫과 印綬의 힘을 合算하여 日主의 힘으로 판단하며, 食傷, 財, 官 등 五神의 각각의 힘을 계산하였습니다.
强弱을 세분화하여 極弱, 太弱, 身弱, 中和, 身旺, 太旺, 極旺으로 나누었습니다.
3. 강약(强弱)판단의 원리(原理) - 八字 하나하나를 이 原理로 판단한다.
가. 절기천심(節氣淺深, 得令) - 衰旺論을 볼 것.
나. 통근(通根, 得地)
① 祿旺 通根.
(가) 甲乙 木이 地支에서 寅卯를 만날 때
(나) 丙丁 火가 地支에서 巳午를 만날 때
(다) 戊己 土가 地支에서 辰戌丑未, 巳午를 만날 때
(라) 庚辛 金이 地支에서 申酉를 만날 때
(마) 壬癸 水가 地支에서 亥子를 만날 때
② 長生 通根.
(가) 甲乙 木이 地支에서 亥를 만날 때
(나) 丙丁 火가 地支에서 寅을 만날 때
(다) 戊己 土가 地支에서 寅申을 만날 때
(라) 庚辛 金이 地支에서 巳를 만날 때
(마) 壬癸 水가 地支에서 申을 만날 때
③ 墓庫 通根.
(가) 甲乙 木이 地支에서 未를 만날 때
(나) 丙丁 火가 地支에서 戌을 만날 때
(다) 庚辛 金이 地支에서 丑을 만날 때
(라) 壬癸 水가 地支에서 辰을 만날 때
④ 餘氣 通根.
(가) 甲乙 木이 地支에서 辰을 만날 때
(나) 丙丁 火가 地支에서 未를 만날 때
(다) 庚辛 金이 地支에서 戌을 만날 때
(라) 壬癸 水가 地支에서 丑을 만날 때
다. 득세(得勢) - 比劫, 印星의 숫자.
天干, 地支에서 比劫이 돕거나 印星이 生해주면 得勢한 것이다.
① 天干의 1개의 比劫이 地支의 1개의 墓庫 通根, 餘氣 通根보다 못하다.
② 天干의 2개의 比劫이 地支의 1개의 祿旺 通根, 長生 通根보다 못하다.
그러나, 天干에 나온 比劫이 바로 밑의 地支에 祿旺, 長生地를 깔고 앉았으면 힘이 있는 것이다. 위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뿌리 없는 天干의 比劫을 말한다.
라. 유정무정(有情無情, 원근:遠近)
① 通根한 地支 또는 天干, 地支의 比劫, 印星이 日主와 가까이 있으면 有情하여
힘을 더 받고, 멀면 無情하여 힘을 덜 받는다.
② 官殺이 日干에 가까우면 剋을 더 받고, 멀리 떨어져 있으면 剋을 덜 받는다.
총론컨대 比劫, 印星은 日干과 가까운 月,日,時에 있어야 좋고, 官殺은 年,時로 떨어져 있어야 좋다. 예컨대 다음 그림과 같이 日干의 편은 가운데로 뭉치면 좋고 食傷,財,官은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 아니면 구슬을 꿰듯이 엮여도 좋다.
예)
시 일 월 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 합충(合沖)에 의한 변화.
① 通根한 地支가 沖을 받아 파괴되면 無情하여 힘을 못 받는다.
② 通根한 地支가 合이 되어 다른 五行을 따라가면 無情하여 힘을 덜 받는다.
(官殺)
① 官殺이 日干과 合이 되면 有情하여 剋을 덜 받는다.
② 官殺이 地支에서 合이 되어 比劫, 印星을 따라오면 有情하여 剋을 덜 받는다.
바. 4고지(四庫地)의 통근력(通根力)
壬
辰
위 命造의 天干의 壬水는 地支 辰土의 고장(庫藏)에 癸水가 있으니 뿌리가 된다. 그러나 辰土의 正氣는 土로서 水를 剋하니 生剋을 함께 하는 것이다. 이때 庫藏에 있는 癸水가 뿌리가 되는 힘은 약 30%, 正氣가 剋하는 힘은 70%정도로 본다.
사. 합(合)에 의한 변화.
壬 @
辰 子
위 명조는 辰土는 壬水日干의 通根과 土剋水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데 地支에서 子와 辰이 子辰 水局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辰土가 水를 剋하는 작용이 弱化되는 것이다. 이때는 生하는 힘이 70%, 剋하는 힘이 30%로 판단한다. 만약 이 경우 月令이 子水이고 申金이 있다면 완전한 三合局을 이루니 辰土는 水로 化하여 剋하는 힘이 전혀 없다고 판단한다.
@ 丙
午 子
丙火가 子水 위에 앉아서 위태로운데 다행히 午火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런데 子水가 午火를 沖하니 丙火의 뿌리가 꺾인다. 만약 丙火가 用神이라면 用神의 뿌리가 뽑히니 凶하다.
丙 @
午 子
丙火가 午火 羊刃 위에 앉았는데 비록 子水가 沖하나 午火가 天干의 丙火에 의지하여 한 몸이 되었으니 動할지언정 뿌리가 뽑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地支는 반드시 天干에 의지가 되는 比劫, 印綬를 싣고 있어야 튼튼한 것이고 天干에 依支處가 없으면 沖을 당할 때 뿌리가 뽑히는 것이다.
癸 @
亥 卯
癸水가 亥水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卯木이 亥水를 合하여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고 하고 있다. 亥水는 卯木과의 合을 탐(貪)하니 癸水의 뿌리가 弱化된다. 만약 卯木이 月令이라면 木이 더 强한 힘으로 끌어당기니 癸水는 더욱 弱化된다.
辛 @
酉 辰
酉金이 辰土를 合하여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고 하고 있다. 만약 酉金의 天干이 다른 五行이었다면 合하는 힘이 弱하지만 辛金이 透出하였으니 酉金의 힘이 旺盛하여 辰土를 끌어당긴다. 만약 酉金이 月令이고 辰土의 주변에 火,土가 없다면 金으로 化한다.
4. 강약(强弱) 판단의 실례(實例).
상관 일주 비견 정인
庚 己 己 丙
午 未 亥 戌
편인 비견 정재 겁재
가. 八字의 强弱판단.
年干 丙火 : 木이 없고 亥月은 絶地이니 節氣상은 衰弱하다. 그러나 地支 戌土의 墓庫地에 通根하고 午火에 通根하고 午戌 火局이 되어 丙火가 힘이 있다.
月干 己土 : 亥月에는 土가 弱하다. 그러나 火,土가 많아 得勢하였다.
時干 庚金 : 午火 위에 앉았고 亥月이니 弱하다. 그러나 土의 生을 받는다.
年支 戌土 : 天干의 丙火가 生助하고 土가 透出하였으니 强하다.
月支 亥水 : 月令이니 본래 힘이 强하나 庚金이 時干에 있어 별 도움을 받지 못하고 주위에 火,土가 가득하니 勢力을 잃었다.
日支 未土 : 天干에 火,土가 透出하여 힘이 强하다.
時支 午火 : 木이 없고 亥月이라 弱하다. 그러나 丙火가 透出하고 午戌 火局이 되어 힘이 있다.
나. 오행(五行) 강약 판단.
木 : 微弱: 四柱에 木이 없으나 亥中 甲木이 있고 未中 乙木이 暗藏해 있다. 運路에서 天干으로 木이 온다면 暗藏된 木을 쓸 수 있다.
火 : 有力: 亥月이라도 土가 많아 水를 制壓하니 火가 힘이 상당히 있다.
土 : 强: 亥月에 節氣상 弱하기는 하나 火,土가 많아 得勢하여 强하다.
金 : 弱: 힘은 있으나 마른 土가 많아 金이 生氣가 없다.
水 : 弱: 月令이니 힘은 있으나 火,土가 많아 失勢하였고 木이 없어 剋을 받는다.
다. 최종 일주(日主) 강약(强弱) 판단.
火,土의 숫자는 6개/8개로서 强하다. 그러나 失令하였으니 좀 弱化된다.
뿌리가 튼튼하고 位置상으로도 火,土가 가까이 있으니 힘이 强化된다.
日主의 强弱 최종판단 : 신왕(身旺)
라. 용신(用神) 판단.
土가 많아 木으로 疎土해야 한다. 四柱에 木이 없으나 亥中 甲木이 暗藏되어 있고 亥未 合木으로 木氣運이 나오니 쓸 수 있다. 木用神. 木을 도와야 하니 水가 喜神이다.
- 웹사이트 -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후용신표(調候用神表) (0) | 2022.12.21 |
---|---|
왕쇠강약(旺衰强弱) (0) | 2022.12.20 |
양팔통(陽八通)과 음팔통(陰八通)의 사주. (1) | 2022.12.08 |
오행총론(五行總論) (0) | 2022.12.06 |
육친(六親)에 대하여...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