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 6

가상관격(假傷官格)이란?

가상관격(假傷官格)이란?신왕(身旺)한 사주(四柱)에 설수(洩秀)하는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용신(用神)인 격국(格局)입니다.  가령,癸   壬   辛   丙卯   子   卯   子 이 명조(命造)는 가상관격(假傷官格)에 卯中 乙木이 用神입니다. ​​丙   乙   己   丙子   亥   亥   子 이 명조(命造)는 가상관격(假傷官格)에 時上의 丙火가 用神입니다. ​​己   乙   甲   癸卯   亥   寅   未 이 명조(命造)는 가상관격(假傷官格)에 寅中 丙火가 用神입니다.   *가상관격(假傷官格)은 이왕 신왕(身旺)하니 설수(洩秀)를 잘 할수록 貴格입니다. *가상관격(假傷官格)은 日主의 기(氣)가 뻗어나가 流行하니 대단히 영리하고 말을 잘 하는 사주입니다.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 상관생재격(傷官..

격국 이야기 2024.10.12

식상의 육친 성격.

식상의 육친 성격. 食傷의 六親 性格. 3. 식신(食神) ​식신(食神)은 수성(壽星)이라고도 한다. 내 日干이 生해 주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다. 식신은 재물을 생해주는 근원이 되고 신체를 기르는 神이며 女命에게는 자녀의 神이기도 하다. 나의 日干을 剋하는 오행이 偏官인데 일간이 偏官의 剋을 받으면 長壽할 수가 없다. 그러나 食神이 偏官을 剋하여 일간을 보호하니 食神 또는 壽星(수성)이라고 한다. 食神이 男命에는 장모나 조모에 해당하며 女命은 자식에 해당된다. 食神有氣勝財官(식신유기승재관)이라 하여 食神이 건왕하면 財官보다 낫다고 한다. 食神은 吉星(길성)에 해당하나 食神이 많으면 傷官으로 변하니 하나만 있는 것이 좋다 사주에 食神이 많으면 생각이 많고 시작은 좋으나 용두사미격(龍頭蛇尾格)이 된다. 食神의..

명리학 기초 2024.02.03

공망 정리

공망 정리 공망(空亡) 공망은 천중살(天中煞)이라고도 하는데 천간은 10개이고 지지는 12개이니 짝을 짓다보면 지지가 2개 남게 됩니다. 60갑자에서 천간과 짝을 짓지 못하는 2개의 지지를 공망이라고 합니다. 남은 2개의 지지 중에서 앞에 있는 양지(陽支)를 공(空)이라 하고 뒤에 있는 음지(陰支)를 망(亡)이라 하는데, 공(空)은 허(虛) 또는 부실(不實)이며, 망(亡)은 무(無) 또는 부재(不在)를 뜻합니다. 공(空)은 실(實)과 대비되고 망(亡)은 유(有)와 대비되는 말입니다. 甲子에서 癸酉까지는 戌亥가 공망이고, 甲戌에서 癸未까지는 申酉가 공망입니다. 甲申에서 癸巳까지는 午未가 공망이고, 甲午에서 癸卯까지는 辰巳가 공망입니다. 甲辰에서 癸丑까지는 寅卯가 공망이고, 甲寅에서 癸亥까지는 子丑이 공망입..

명리학 연구 2023.08.19

공망(空亡)의 속성

공망(空亡)의 속성 ■ 예를 들어 사주 내 水 오행이 없으니 水가 필요하다, 혹은 空亡이 水라는 등 없는 것을 없다고 말하지 말라. 1) 공심(空心)을 '비어 있고 망했다'라고 하여 실패하고 작살난 것으로 해석하며 공망을 천중살(天中殺)이라고도 한다 1. 재성이 空亡이면 재물이 비어 있고 실패하고 안 된다. 2. 관성이 空亡이면 직장, 명예가 비어 있고 망하여 실패하고 안 된다 등으로 의미를 정의한다. 2) 그러나 空亡은 하나의 단어가 아니고 '空'과 '亡' 두 단어로 된 것이다. 1. 空은 '비어 있다 없다'라는 글의 의미가 아니라 원래의 뜻인 '끊임없다 무한대로 영원불멸의 뜻이다. 2. 亡은 '아쉬움, 미련’이라는 것으로 '끊임없이 추구, 갈망하고 아쉬워하고 미련을 갖는다'라는 뜻이다. ◇ 비겁이 공..

명리학 연구 2023.08.17

남성 편력이 많은 여명.

남성 편력이 많은 여명. 본 명조는 지난 1980년대에 모 역학서적에서 발췌하였던 것인데 책 이름이 생각나지 않으며 그 당시 서책에 게재되어졌던 그대로 옮겨봅니다. *아래 내용이 저작권에 위배된다면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壬 丙 丁 己 辰 辰 丑 丑 (4) 女命 사주에 地支가 전부 土星이면 화류계 여성팔자라고 한다. 상관이 중첩되고 관성이 무력하여 이성운이 매우 불길하고 약하다. 이 사주는 丙火 일주가 추운 12월 축월에 태어났으니 우선 木이 필요하나 木이 없다. 모두 辰土와 丑土로 土版이고 모두 食神, 傷官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자 사주는 식상을 자식으로 본다. 식상이 많으니 성격은 나쁘지만 인정은 많고 매사처리가 분명하며 화려한 사치를 즐긴다. 여자 사주에 식상이 많으면 자식 복이 없고 호색하며 과부가..

명리학 실전 2023.03.22

통변성의 칠살관계.

통변성의 칠살관계. 1. 식신과 편인, 食神은 순수한 자연식품과 같아 유유히 살아가는 品格을 지니고 財物과 壽命에도 은혜를 입는다. 그런데 食神의 七殺인 偏印을 만나면 食神을 넘어뜨리는 倒食이 되어 食神의 좋은 점은 전혀 발휘되지 못하여 財物的으로도 빈곤하고 건강과 壽命에도 지장을 받는다. 食神과 偏印이 同柱하거나 地支에서 食神이 偏印의 沖剋을 만나면 불길하다. ​ ​ 2. 편재와 비견. 편재는 유통재물로서 타인의 재물을 운용하는 재주가 있으며, 육친상으로는 부친에 해당한다. 의협심이 강하고 재물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비성이 강하다. 强한 偏財를 가진 者는 天性이 商人이지만 이에 反하여 偏財가 弱하거나 편재의 七殺인 比肩과 同柱한 者는 사업에 적합지 못하며 또한 부친과 인연이 薄하거나 부친의 신상에..

명리학 연구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