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재 4

격국의 중화(格局의 中和)

격국의 중화(格局의 中和) 사주명리학 기존의 學說은 日干의 抑扶만을 論하여 身弱하면 日主를 生助하고 身强하면 抑制나 洩氣하는 것으로 用神을 定한다. 그러나 이는 中和의 개념을 모르기 때문이다. 日干과 格局을 나누어 따로 强弱을 분별하여 日干이 强하고 格局이 弱하면 格局을 扶助하고 日干이 弱하면 반대로 格局을 剋洩하여 中和를 이루는 이치를 모르기 때문이다.​진정한 中和의 개념은 日干 自體의 抑扶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 日干과 格局을 저울질하여 相互균형을 살피는 것이다.​그러니 抑扶法에서 用神이란 거듭 강조하지만 日干과 格局의 균형을 잡아주는 五行이 되는 것이다. 月令에서 格局이 透出했을 때는 일간(日干)과 월령용신(月令用神: 격국용신: 格局用神)과 同一한 資格으로 놓고 抑扶를 살펴야하고 日干과 月令이 同一한..

격국 이야기 2024.09.19

비겁의 육친 성격.

비겁의 육친 성격. 比劫의 六親 性格 육친이란 자신을 기준으로 하여 부모, 형제, 처자를 일컫는 것으로 표출 방법은 日干이 자신이므로 日干을 중심으로 다른 干支와의 陰陽 五行 相生, 相剋 등을 대별하여 運命上 必然的(필연적)으로 작용하는 원리로 표출되는 것이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生我者 (父母) 偏印. 正印 -.比我者 (兄弟) 比肩. 劫財 -.我生者 (子孫) 食神. 傷官 -.剋我者 (官鬼) 偏官. 正官 -.我剋者 (妻財) 偏財. 正財 1. 비견(比肩) 비견은 형제자매, 친구, 직장동료, 경쟁 상대자를 의미하는 比肩은 兄弟星이다. 比肩은 독주하려는 마음이 강하고 자만심이 강하며 고집이 세다. 比肩은 劫財와 함께 比劫이라 부른다. 이 둘은 奪財之神(탈재지신)이라 하여 나의 재산을 빼앗은 神이다. 그러..

명리학 기초 2024.02.01

육신의 특수성(六神의 特殊性)

육신의 특수성(六神의 特殊性) ​ 1. 비견(比肩) 자존심이 강하며 자유를 추구하며 협동심과 양보심이 적다. 장점은 불요불굴의 정신으로 방향만 정해지면 과감하게 행동하여 남보다 앞서 성공하기도 한다. 2. 겁재(劫財) 모험이나 투기를 좋아하며 조악한 성격과 불손한 버릇이 있다. 남의 일에 트집이나 간섭을 잘하며 필요이상의 낭비가 있다. 매사에 체념이 빠르고 염세적이며 자기학대를 잘 한다. 3. 식신(食神) 낙천적이며 투쟁심, 결단력과 악착스런 면이 결여된다. 큰 일을 리더할 기백과 투지가 부족하며 예능면에 재능과 다재다예의 취미와 특성이 있다. 4. 상관(傷官) 두뇌가 명석하고 감수성이 예민하여, 예술, 기술 방면에 특이한 재능의 소유자이다. 자만심과 교만심으로 사회생활에 지장이나 고립될 수 있으며, 조..

명리학 기초 2024.01.06

통변성의 칠살관계.

통변성의 칠살관계. 1. 식신과 편인, 食神은 순수한 자연식품과 같아 유유히 살아가는 品格을 지니고 財物과 壽命에도 은혜를 입는다. 그런데 食神의 七殺인 偏印을 만나면 食神을 넘어뜨리는 倒食이 되어 食神의 좋은 점은 전혀 발휘되지 못하여 財物的으로도 빈곤하고 건강과 壽命에도 지장을 받는다. 食神과 偏印이 同柱하거나 地支에서 食神이 偏印의 沖剋을 만나면 불길하다. ​ ​ 2. 편재와 비견. 편재는 유통재물로서 타인의 재물을 운용하는 재주가 있으며, 육친상으로는 부친에 해당한다. 의협심이 강하고 재물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비성이 강하다. 强한 偏財를 가진 者는 天性이 商人이지만 이에 反하여 偏財가 弱하거나 편재의 七殺인 比肩과 同柱한 者는 사업에 적합지 못하며 또한 부친과 인연이 薄하거나 부친의 신상에..

명리학 연구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