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진. 강덕사(康德祠)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4호.
(2004년 11월 01일)
*소재지: 전남 강진군 군동면 호라길 199-39 (나천리 1042)
고려 인종 때 왕위를 호종하고 나라를 보존시켜 강진의 명예를 드높인 탐진최씨 시조인 최사전을 주벽으로 최표, 최부, 최극충을 배향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으로는 1398년(태조 7)에 강진읍 동성리에 창건되어 지방교육을 담당해 오던 강진향교가 최초의 교육기관이었다. 이 지방 유림들에 의해 설립된 남강서원·금강사·강덕사·금산사(金山祠)·덕호사(德湖祠)·화암사(花巖祠)·구곡사·수암서원(秀巖書院)·서봉서원(瑞峯書院)·충정사·주봉서원(胄峰書院) 등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1820년(순조 20)에 건립된 수암서원은 사액되었다. 그러나,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모두 폐쇄되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강덕사 봉안선생 안내문.

창대문(외삼문)

강덕서원.

강덕서원.

동재 개축 헌성기념비.

독지종언 헌성비문.


전사청?인지 관리사?인지.

효인재(孝仁齋)

강덕사(康德祠) 내삼문.

강덕사 묘정비.

강덕사 내삼문.

강덕사 내삼문 입구.

강덕사.

강덕사 현액.

강덕사.


강덕사에 오르는 돌 계단.

관세위(관洗位)
한문으로 관字는 손 씻을 관, 또는 낯 씻을 관으로 표현합니다.
이 글을 직역하면 손이나 얼굴을 씻는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이곳에 들어올 때는
여기서 손이나 얼굴을 씻고 단정히하고 사당에 들어오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

망예위(望예位)
한문으로 예字는 묻을 예, 또는 제를 지내는 터(地) 예로 표현하는데,
아마 이곳에서 제(祭)를 지내는 것을 바라보는 위치를 뜻하는 것 같습니다.
2020.10.18.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강진. 주자갈필 목판. 남강사(南康祠) 전남 유형문화재 제154호. (0) | 2024.08.09 |
---|---|
전남 강진. 한양조씨. 주봉서원(胄峰書院)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0) | 2024.08.07 |
전남 강진. 여택정(麗澤亭) & 강회정(講會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269호. (0) | 2024.08.02 |
전남 강진. 창녕조씨. 효정재 & 대계사. 전남 민속자료 제47호. (0) | 2024.07.31 |
전남 강진. 명곡서원(明谷書院)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6호.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