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조후론, 을목(十干調候論, 乙木)
◆ 乙木
◎ 寅月 乙木은 초춘(初春)의 한기(寒氣)가 남아 있을 때이니 丙火가 있어 해동, 보온(解凍, 保溫)해야 貴命이 되고, 地支의 癸水는 乙木의 뿌리를 滋養하므로 역시 吉하나, 壬,癸 水가 透干하면 丙火를 困하게 하여 不吉하므로 丙火와 壬,癸 水가 年이나 時 天干에 있어 거리를 둠이 吉하다.
대개 乙木은 火를 기뻐하는데, 만일 水가 많으면 木의 뿌리가 傷하니 土가 藥神이 되고 또 寅月에 丙火는 많은데 水가 없다면 봄철 가뭄격이라 富는 成就해도 德望이 없는 사람이다.
한편 寅月의 乙木이 地支에 木局을 이루고 木이 過旺하다라도 한 点의 庚金으로 木을 制할려고 한다면 乙木은 金을 가장 꺼리는 屬性으로 金運을 만나면 도리어 凶한 運이 된다. 이는 甲木이 雨水 以後부터서 庚金을 쓸 수 있으나 乙木은 金을 싫어함으로 甲木과는 성질이 다름을 알아야 된다.
◎ 卯月 乙木은 陽氣가 漸進할 때이니 日主가 强하면서 丙火를 만나면 貴格이 되고, 癸水가 있어 乙木을 滋養해 주는 것이 좋은데, 이때 丙火를 직접 傷하지 않아야 한다.
火는 없고, 水만 있으며, 庚金이 透干하면 木은 强하고 金은 弱하여 金이 折傷하므로 오히려 災殃이 되니 이러한 경우 丑,辰가 있어 木과 金을 同時에 보호하는 것이 좋다. 대개 봄철의 乙木은 芝蘭과 같으니 水,木,火가 吉神이다.
◎ 辰月 乙木은 주변의 氣勢에 따라 火勢가 强하면 癸水를 쓰고 木이 强하면 丙火로 木氣를 洩함이 우선이다. 乙木은 甲木과 달리 辰月에도 庚金을 쓰지 않는다.
辰月은 地支의 배합에 따라서 申,子를 만나면 水局으로 變하므로 자연 水勢가 强해지는데 乙木은 甲木에 比해 濕함을 심히 꺼리므로 이때는 戊土가 있어 水를 制해야 된다. 또한 辰月은 土旺한 節氣라 주변에 土를 많이 만나면 財多身弱의 사주가 되므로 比劫이 있어야 된다.
◎ 巳月 乙木은 丙火가 得勢한 때이니 癸水로 調候해야 乙木을 살아나고, 庚金이 있어 癸水를 生助하면 上格이 되나, 丙,戊가 太多하고 地支 火局을 이루면 身上에 缺陷이 있다.
또 癸水가 없고 辛金이 旺하면 短命할 것이니 辛金 七殺이 乙木을 剋制하기 때문이다. 癸水가 아닌 壬水를 만나면 壬水는 强해 자칫 乙木을 傷하게 할 수도 있어 癸水보다 下格이 되어 貴보다는 富를 얻는다.
巳月의 乙木이 庚,辛 金이 透出하여 丙,丁 火로 制殺을 해도 調候와 相反되어 평온한 팔자는 못된다.
◎ 午月 乙木 역시 癸水를 떠날 수 없으며, 戊,己 土가 盛한 것을 꺼리는데, 癸水를 剋하여 사주를 燥烈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午月의 乙木은 四柱배합 상 壬水를 잘 만나는 구조가 되어 癸水로 乙木을 生助하는 구조보다는 格이 떨어지는 팔자가 된다.
◎ 未月 乙木 역시 火氣가 燥烈할 때이라 癸水가 필요하다. 土가 强하면 木이 있어 반드시 土를 疎土해야 하지만, 金이 있으면 乙木이 갈 곳이 없어지는 꼴이 되니 크게 凶하다.
大暑 後는 점차 火氣가 물러나는 때가 되니 金,水가 많으면 夏節期라도 丙火를 써야 한다.
未月의 乙木에 金을 많이 만나 丙,丁 火로 制殺해야 되는 구조도 癸水가 있어 乙木을 生助해야 吉하다.
◎ 申月 乙木은 月令 庚金이 得勢하여 木氣가 弱한 때이니 丙火가 있어서 旺金을 制御하고 癸水가 있어서 金과 木을 疏通시켜주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申月에 丙火는 病地에 해당하므로 制하는 힘은 弱하고 日干 乙木에게는 剋洩이 交加되어 凶하게 되므로 이때는 己土로 丙火의 氣運을 洩氣하고 庚金을 埋金시키면서 濕한 己土로 乙木의 뿌리를 潤生케 하는 법을 쓴다.
또 申月에 乙木에 癸水가 있어 通關이 되면 金의 剋을 두려워하지 않아 사람이 大膽하나 申月은 金이 旺하고 水의 長生地라 乙木이 濕해져 上格의 사주는 못된다.
申月의 乙木이 地支에 水局을 이루면 반드시 戊土로 水를 制해야 된다.
◎ 酉月 乙木 역시 金氣가 깊어 가는 가을이니 먼저 丙火로 따뜻하게 하고 癸水로 乙木을 潤澤하게 해야 된다.
丙火, 癸水가 天干에 透出하면 上格의 四柱가 된다. 물론 이때도 丙火, 癸水가 서로 障碍가 안되어야 吉하다. 丙火가 없고 癸水만 있으면 酉月의 寒氣가 漸增하여 下格의 四柱가 된다.
또 酉月에 金을 많이 만나면 丁火로 制해야 吉한데 金多하고 制하는 火가 弱하면 가난하거나 短命의 사주가 된다.
◎ 戌月은 燥土라 癸水로 乙木을 마르지 않게 해야 되고 다시 庚金과 辛金으로 水源을 마르지 않게 해야 된다. 따라서 癸水와 辛金이 天干에 透出하면 上格이다. 辛金만 있고 癸水가 없으면 下命이다.
寅이나 甲이 있으면 이것을 등라계갑(藤蘿繫甲)이라 하여 金의 剋을 두려워하지 않고, 水旺하여도 浮木이 되지 않는다. 만일 甲申時가 된다면 乙木이 甲木을 보고 藤蘿繫甲이 되고 申中의 壬水로 官印相生이라 貴命이 된다.
◎ 亥月 乙木은 陰濕이 심한 때니 丙火가 解凍하는 것이 제일 吉神이 되고, 戊土는 除濕해 주므로 또한 吉神이다.
寒木은 癸水를 심하게 꺼리는데, 丙火를 剋害하기 때문이며, 또 癸水가 戊土를 除去하여 寒水를 돕는 결과가 되니 不吉하다.
丙火가 아닌 丁火가 天干에 있으면 亥月의 旺水에 丁火가 無力하여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 子月 乙木은 寒氣가 極에 達할 때이니 丙火의 溫暖이 긴요하며, 冬至에 一陽이 始生하니 丙火가 있으면 解凍할 수 있으니 貴命이 되고, 戊土가 透出하면 除濕하여 富格이 된다. 壬,癸는 크게 꺼리며, 丙,戊가 地支에 暗藏했으면 小格이다.
丙火만 있고 戊土가 없거나, 戊土만 있고 丙火가 없으면 中格으로 論한다. 丙火가 없고 丁火를 쓴다면 地支에 午,未가 있어 뿌리가 되어야 하고 天干에 甲木으로 丁火의 불길을 살려야 된다.
◎ 丑月 乙木은 역시 추운 季節의 木이라 丙火가 필요하고 癸水를 꺼리며, 丙火가 暗藏하면 衣食은 있다.
丑月은 土가 旺한 節氣라 戊土는 크게 필요하지는 않다. 四柱 內에 土가 旺盛하면 甲,乙 木이 필요하다.
丑月의 乙木이 金을 많이 만나고 丙,丁 火가 없다면 濕한데 官殺을 만난 꼴이라 가난에 短命의 命이 된다.
- 웹사이트 -
'명리학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간조후론, 정화(十干調候論, 丁火) (0) | 2024.05.21 |
---|---|
십간조후론, 병화(十干調候論, 丙火) (0) | 2024.05.18 |
십간조후론, 갑목(十干調候論, 甲木) (0) | 2024.05.14 |
사주(四柱)는 여덟 글자(八字)를 중요하게 본다. (0) | 2024.05.09 |
12지지의 이해. (0)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