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합과 방합.
巳酉丑 => 金
寅午戌 => 火
亥卯未 => 木
申子辰 => 水
申酉戌 => 金
巳午未 => 火
寅卯辰 => 木
亥子丑 => 水
이렇듯 3개의 글자가 일렬로 모이면 홍어 三合 혹은 方合이 된다. 예컨대,
○戊○○
寅午戌○
地支의 寅午戌은 根苗花實상 月柱 시점부터 시작하여 時柱 시점으로 들어서면서 모든 글자들이 글자 固有의 作動을 잃고 거대한 火로 變해 버린다.
○戊○○
火火火○
그렇다면, 通辯은 어떻게 전개되는가.
月柱 시점, 戌은 戊土 입장에서 比劫이 되는데 比劫이 사라지고 火 印星으로 變할 준비를 한다.
日柱 시점, 午는 印星이 되는데, 印星이 또 다른 印星으로 變할 준비를 한다.
時柱 시점, 寅은 官星이 되는데, 官星도 印星으로 變하면서 비로소 거대한 印星을 얻게 된다.
支藏干을 통틀어서 다 變한다.
이 사람은 比劫이 의미하는 사람, 印星이 의미하는 문서, 官이 의미하는 사회적 地位, 이 모두를 투자하여 또 다른 커다란 문서를 얻게 된다.
홍어 三合 혹은 方合은 이렇듯 글자 3개를 투자하여 큰 五行 하나를 얻는 一生一大의 프로젝트가 된다.
이게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는 喜忌 안에서 판단해야 하는데, 그건 筆舌로 말하기 어렵고, 3개를 투자하여 잃는 것이 크던가, 얻는 것이 크던가 하는 樣相으로 나타난다. 아무튼, 해당 時期에 하나씩 글자를 잃고 각각의 三合에 해당하는 五行을 얻었다 라고 通辯할 수 있다. 여기서 잃는다는 건 해당 六親의 死亡을 論할 수도 있다.
○戊○○
寅午戌○
이 경우를 보면 五行의 中和상 地支에서 골고루 갖춰주는 게 좋은데, 金이 戌中 辛金 하나로 가장 적으니 戌이 變하는 時點에서 辛金을 잃는 것이 가장 뼈아플 가능성이 높다.
三合 혹은 方合은 어떤 불가항력적인 힘에 의해서 삶이 끌려 들어가게 된다.
글자 3개가 붙어 있어야 프로젝트가 시작되며, 하나라도 떨어져 있으면 잃었네 얻었네 하는 變化는 일어나지 않는다. 2개만 갖추고 있어도 마찬가지가 된다.
이에 덧붙여 자평진전을 보면, 方合은 제외하고 三合에 해당될 때 格이 變한다.
○戊○○
寅午戌○
이 경우는 建祿格에서 印綬格으로 變하는 셈이다. 2글자만 모여도 格의 變化를 論하는데 三合의 중간에 해당하는 子,午,卯,酉의 旺支를 끼고 있을 때 格의 變化는 보다 有力해진다.
왜 方合을 제외하고 三合만을 고려 사항에 놓는가 하면, 格은 月令에서 求한다고 했는데, 月令은 季節을 존중한다는 의미이며, 三合은 季節의 운동을 의미하는 合이기 때문이다.
三合과 方合은 똑같은 水局을 짜더라도 차이가 난다. 예컨대,
申子辰 => 水
亥子丑 => 水
申子辰은, 金과 水와 土가 거대한 水로 變하므로 水에 해당하지 않는 五行인 金과 土에 해당하는 통변성 2개가 變한다.
반면, 亥子丑은, 水 2개와 土 하나가 水로 變하는 것이므로 土 하나에 해당하는 통변성 하나의 變化가 커지는 셈이다.
따라서 같은 홍어 三合이라도 方合보다는 三合의 變化에 해당하는 八字의 變化가 더 극렬해진다.
- 웹사이트 -
'명리학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개월 별명(別名)과 태식일국 (0) | 2022.11.03 |
---|---|
방국(方局)이란? (0) | 2022.11.02 |
십간 조후론(十干 調候論) (0) | 2022.10.27 |
명리추명론(命理推命論) (0) | 2022.10.24 |
24절기 이야기. (0) | 202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