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살(地殺)과 역마살(驛馬殺)에 대하여.
年支나 日支를 기준하여 산출한다.
지살 구성표.
해묘미년: 亥. 인오술년: 寅.
사유축년: 巳. 신자진년: 申.
역마살 구성표.
해묘미년: 巳. 인오술년: 申.
사유축년: 亥. 신자진년: 寅.
지살(地殺)은 年地 三合의 생지(生支)를 의미하고 年地 三合의 첫 자(字)를 沖하는 生地가 역마살(驛馬殺)이 되니 지살과 역마살은 서로 상충을 하게 된다.
활동성을 의미하는 역마살은 잦은 이사, 여행, 이동, 변동, 발전 등을 의미하며 地殺과 작용력이 비슷하기는 하나 역마살은 地殺보다 활동범위가 넓다.
이러한 역마살이 명(命)에 있는 日干은 대체적으로 활동성이 强하고 성격이 부지런하며 旅行 등의 이동을 좋아하는 특징이 있고 단점은 성급하고 일을 크게 벌리며 항상 바쁘고 결혼생활에서는 別居, 이별수가 있게 되니 역마살이 强한 명(命)은 배우자가 强해야 무난한 결혼생활을 할 것이다.
명(命)에 역마살이 있으면 日干이 신왕해야 추진력이 强하고 吉하게 되며 반대로 신약하다면 가치관이나 마음이 수시로 변하고 분주하니 고단하게 되며 결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古書에서는 命에 역마살이 있어야 빠른 등과하여 벼슬길에 나가게 되고 公卿의 地位에 오르려면 사마(四馬)가 있어야 된다고 했다.
직업은 외교, 운수업, 무역업, 여행업, 서비스업, 영업직, 운반업, 택배업, 운전기사, 해외생활 등이 길하다.
이러한 특징이 있는 육신 역마살의 종류에는 록마살, 재마살, 활마살. 그리고 천마살 등이 있으니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록마살(祿馬殺)은 日干의 록지(祿支)가 역마살이 되니 양간(陽干)에게만 작용하고 이마(二馬)라고도 하며 역마살 中에 가장 강한 말(馬)이 되고 공무원이 되면 大吉하게 된다.
재마살(財馬殺)은 日干과의 관계에서 재성이 역마살과 동주(同柱)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역시 재물과 관련이 있는 吉한 말이 되는 것이다.
활마살(活馬殺)은 日干과 同一한 五行. 즉 비견과 함께 하는 역마살이니 例文을 들면...
○ 己 己 ○
○ 巳 亥 ○
일지 기준으로 기토 비견이 해수 역마에 앉았다.
이와 같은 명(命)이 되는데 이는 활동성이 아주 활발한 역마살을 의미하는 것이다.
천마살(天馬殺)은 三合의 왕기(旺氣)가 역마살이 되는 경우를 의미하니 "申子辰 三合"은 壬寅 역마살을 의미하고, "亥卯未 三合"은 乙巳 역마살을, "寅午戌 三合"은 丙申 역마살을 그리고 "巳酉丑 三合"은 辛亥 역마살을 의미하니 여기서 旺氣는 三合이 추구하는 오행의 生地가 되는 强한 기운을 의미하는 것이다.
- 웹사이트 -
*백산철학관.
'신살론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합살(滾狼殺)의 흉해 (0) | 2022.10.14 |
---|---|
오귀살(五鬼殺)에 대하여 (0) | 2022.10.13 |
괴강살(魁罡殺)에 대하여 (0) | 2022.10.06 |
백호살(白虎殺)에 대하여 (0) | 2022.10.04 |
원앙살(鴛鴦殺). 一名: 쌍원합(雙怨合). 회기살(晦氣殺) (0)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