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운에 발전한 남명 사주
甲 丁 甲 癸
辰 亥 子 酉
戊 己 庚 辛 壬 癸 (8運)
午 未 申 酉 戌 亥
이 사주는 丁日이 子月에 生하여 日支에 亥水를 두고
天干에 癸水를 만나니 癸水가 亥子 水를 만나 천간유인력이 성립되어
水氣運은 더욱 강해져 日干 丁火는 추운 겨울날 홍수를 만난 격이다.
다행히 亥水에 통근한 甲木을 用神으로 定하여 殺重用印格이 되었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운 점은 用神으로 쓰는 甲木이 天干에 하나만 있어야
한 가지 일에 전력을 다하여 매진할 터인데 2개라서 결코 좋은 상태라고
할 수는 없다.
그래서인지 학창시절에 의과대학으로 방향을 잡았다가 그만 두고
전자공학으로 전공했으나 결국 본인의 적성에 맞지 않아 학업에
별로 관심을 두지 못하여 그리 좋지 못한 성적으로 졸업을 하고
직장도 없이 세월을 보내다가 2021년 신축년에 부모님이 투자해준
수산물양식장을 운영하여 예상외로 큰 재미를 보았다.
이 사주를 다시 해석해보면 丁日이 겨울에 水 官星이 强해 甲木 印星으로
用神을 하는데 辛酉大運 辛丑年은 金剋木으로 用神을 剋害하는데 재물이 따랐다니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그런데 이 사주에서 金運을 만나 金剋木으로 用神을 剋한다고 하여 凶하다고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甲木을 用神으로 하는데 用神으로 쓰는 甲木이 2개라는 것은 命造 주인공에
반갑고 좋은 일은 아니라 할 수 있다.
왜 그러느냐 하면 命造에 用神이 2개 되면 한 가지 일에 매진하지 못하고 어영부영하는
경우가 생겨 기회를 놓칠 수가 있는 것이다.
@자평진전에 의하면 용신다자 성정불상(用神多者 性情不常)이라는 說이 있는데
用神이 여럿이면 性情이 한결같지 못하고 어영부영한다는 뜻이다.
위의 甲木 用神이 2개인 것은 자평진전의 ‘용신다자 성정불상’의 이론과 같은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아니며 사주에 용신이 여럿이면 사주가 좋지 못하다는 것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옛말에 한 집에 늙은이가 둘이면 좋은 일은 자기가 차지하려고 하고 나쁜 일은 서로
안 하려고 미룬다는 말이 있듯이 用神에서도 그런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庚子年도 金運인데 왜 辛丑年이 吉했느냐? 할 수 있다.
2020년 庚子年은 天干은 庚金運이지만 地支의 子水에 庚金의 氣運이 洩氣를 당하니
2개의 用神인 甲木을 처리하기에는 力不足이라 별 볼 일없이 지나갔을 것이라 본다.
그런데 2021년 辛丑년은 本命의 癸酉年 年支의 酉金과 歲運 辛丑年支 丑과 酉丑으로
合金局을 이루고 歲運의 辛金이 천간유인력으로 金이 强해지면서 왕자편화(旺者偏化)의
작용으로 陰干 辛金이 陽干의 庚金과 같아지는 것이다.
고로 庚金으로 變한 辛丑년은 本命 天干에 떠있는 2개의 甲木 中 하나를 깨끗이
처리하게 되므로 混濁했던 命造가 맑아지므로 1개로 남은 用神 甲木이 제대로 本分의
任務인 殺印相生을 발휘할 수가 있으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初年 壬戌, 癸亥大運에는 本命에 水가 旺하여 甲木으로 洩氣하고 있는
와중에 또 다시 水氣運이 오니 甲木이 제대로 洩氣하는데 벅차 日干에게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니 주인공 역시 어느 일에 전력으로 매진하지 못하고
어영부영하니 세월을 지내 왔으리라.
▶왕자편화(旺者偏化)에 대하여.
사주 命造 中에 어느 六神이 너무 旺하면 生하는 것에 전념하지 않고 剋하는 것에
전념하게 되므로 4길신(四吉神)과 4흉신(四凶神)을 막론하고 凶의 작용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시 정관(正官)은 4길신(四吉神)이라 하지만 正官도 너무 太旺하면
偏官(七殺)의 성질로 變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령, 甲木日干에 辛金이 正官일지라도 왕자편화(旺者偏化)의 現象이 되면 偏官(七殺)
庚金과 같은 역할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즉, 본시 正官이 陰干일지라도 陽干의 성질로 變한다는 것이다. 또한 乙木日干에 庚金이
正官이지만 왕자편화(旺者偏化)의 現象이 되면 辛金 偏官(七殺) 이상으로 凶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天干誘引力에 의하여 透干된 天干은 비록 陰干일지라도 陽干으로 變한다는 것이다.
즉, 甲日干이 正官 辛金이 透干되어 있는데 地支에서 巳酉, 또는 酉丑, 巳丑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는 천간유인력에 의하여 天干의 陰干 辛金이 陽干인 庚金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甲木에 辛金은 正官이 되지만 결국에는 庚金의 작용을 하게 되므로 七殺 偏官의
작용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추신> 천간에 용신이 많은 것은 혼잡격으로 반드시 좋은 것이 아니다.
용신이 혼잡하면 처리하여 단일 용신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조 중에 관살혼잡이나 재성혼잡도 반드시 좋지 않는 것과 같다.
'명리학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학과를 바꾸고자 하는 여명. (0) | 2023.05.01 |
---|---|
양인격 남명 사주. (0) | 2023.04.28 |
식상생재격 남명. (0) | 2023.04.26 |
록겁격에 록겁을 위용하는 남명. (0) | 2023.04.22 |
자매강강격 여명(姉妹剛强格 女命)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