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범세군이란?
일범세군(日犯歲君)이란? 일간(日干)이 태세(=歲君)를 剋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日干의 偏財가 되는 年干을 가리켜 일범세군이라 한다.
일범세군(日犯歲君)의 例.
甲日=戊年. 乙日=己年. 丙日=庚年. 丁日=辛年.
戊日=壬年. 己日=癸年. 庚日=甲年. 辛日=乙年. 壬日=丙年. 癸日=丁年.
아래는 연해자평 '論太歲 吉凶'중에 몇 구절입니다.
太歲乃年中天子, 故不可犯犯之則凶. 經云日犯歲君災殃必重, 五行有求其年反必招財.
태세(太歲)는 한 해(年)의 왕(王)이므로 가히 범(犯)할 수 없는바 범한 즉 凶하다.
그러므로 經에 이르기를 "日主가 歲君을 犯하면 재앙이 반드시 重하고 五行이 救해 줌이 있으면 그 해에 도리어 財物을 얻는다"고 하였다.
예컨대 甲日干이 流年에 戊年을 만나는 것이 그것이니 剋함이 重하면 사망에 이르는 것이다. 甲,乙日이 寅,卯,亥,子時에 生해서 歲君을 剋하는 者는 반드시 死亡한다.
그러나, 救해줌이 있으면 吉하니 八字 中에 庚,辛이 있고 巳酉丑 金局이 있어서 甲木을 救制해주는 것이 그것이다.
經에 이르기를 "戊,己 土는 甲,乙 木을 두려워하나 干頭(천간)에 모름지기 庚,辛 金이 透出할 것이며 만일 子息인 火局이 있어서 木을 태워주면 災가 되나 火가 生土해서 會通하므로 無救하다"고 하였다.
혹, 己土가 柱중에 있어서 甲과 合하여 化土하거나 甲이 己土와 合하여도 解救된다.
아래 명조는 명리신론에서 참조하였습니다.
乾命
時 日 月 年
戊 戊 癸 壬
午 寅 丑 申
87 77 67 57 47 37 27 17 07
壬 辛 庚 己 戊 丁 丙 乙 甲
戌 酉 申 未 午 巳 辰 卯 寅
월건(月建)은 비록 丑月이지만 월령(月令)은 水旺節로 財旺하니 火,土가 喜用神이 되는데 寅午 火局을 이루어 日干 戊土를 도우니 한곡회춘격(寒谷回春格)으로 그 妻가 현양(賢良)하고 功이 至極하여 대운 동남(東南)운에 처덕(妻德)으로 부재(富財)하였다.
戊午大運은 비록 길하나 태세(太歲) 壬戌年(50세)에 일주(日主) 戊土가 세군(歲君)을 중범(重犯)하고 대운 또한 太歲를 剋하니 太歲 壬戌을 救濟할 길이 없다. 그 해 甲辰月에 死亡하였다.
<출처-명리신론 참조>
'명리학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쇠강약(旺衰强弱) (0) | 2022.12.20 |
---|---|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0) | 2022.12.17 |
양팔통(陽八通)과 음팔통(陰八通)의 사주. (1) | 2022.12.08 |
오행총론(五行總論) (0) | 2022.12.06 |
육친(六親)에 대하여...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