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주기씨 4

전남 무안. 행주기씨. 도산사(桃山祠) 향토문화유산 제6호.

도산사(桃山祠)  *행주기씨(幸州奇氏) 사우(祠宇)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6호. (지정일: 2009년 4월 16일/ 창건연대: 1930년/ 중건연대: 1997년)   *주소: 전남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1159-3.    도산사(桃山祠)는 1930년 향교 유림들의 발의로 기효근, 기자현, 수허당 기종헌 등 행주기씨(幸州奇氏) 3선생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사우로 매년 2월 22일 이들 세 명의 선생에 대해 제사를 지내고 있다.  현재 도산사의 건물은 1997년 새로 증축하였으며, 행주기씨(幸州奇氏)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도산사에 배향된 인물 중 기효근은 임진왜란 당시 남래 현령으로 원균을 따라 사천에서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당시 적군의 습격으로 순국을 하게 되었다.  1598년 기효근 선..

문화재 탐방 2025.03.12

전남 무안. 도산사(桃山祠) 향토문화유산 제6호.

도산사(桃山祠) *행주기씨(幸州奇氏) 사우(祠宇)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6호. (지정일: 2009년 4월 16일/ 창건연대: 1930년/ 중건연대: 1997년)  *주소: 전남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1159-3.   도산사(桃山祠)는 1930년 향교 유림들의 발의로 기효근, 기자현, 수허당 기종헌 등 행주기씨(幸州奇氏) 3선생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사우로 매년 2월 22일 이들 세 명의 선생에 대해 제사를 지내고 있다.  현재 도산사의 건물은 1997년 새로 증축하였으며, 행주기씨(幸州奇氏)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도산사에 배향된 인물 중 기효근은 임진왜란 당시 남래 현령으로 원균을 따라 사천에서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당시 적군의 습격으로 순국을 하게 되었다.  1598년 기효근 선생의 위..

문화재 탐방 2025.01.17

전남 나주. 함평이씨. 남사정(南莎亭)

남사정(南莎亭) 함평이씨 정각. *주소: 전남 나주시 다시면 초동길 39-1. . 전남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에는 초동마을이 있는데 마을형성은 고대국가시대부터 마을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 마을에는 맨 먼저 행주기씨가 거주하였고, 다음으로 함평이씨가 이 마을에 들어온 것은 1450년경에 병조판서를 지낸 이극명(李克明 1388~1454)이 시량에서 살다 이곳으로 와서 마을이 형성됐다. 사촌이라고도 부르는 이유는 이곳에 억새풀이 무성해 사(莎) 샛골이라고 불렀다 한다. 그래서 이 마을에 명칭 중에는 사(莎)자가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이 마을 중심에는 1938년경에 이 지역 초동마을의 부농(富農)이였던 함평이씨 남사 이계선(南莎 李啓善: 1863~1905)이 지은 남사정(南莎亭)이 육중하게 버..

발길을 따라 2023.08.22

전남 곡성. 행주기씨. 기성전(箕聖殿)

기성전 입구. 토란의 마을, 반송마을 표지석. 행주기씨 기성전(箕聖殿) *소재지: 전남 곡성군 죽곡면 반송길1-1 (신풍리 344-1) 반송마을 안내판과 범죄없는 마을 표지판. 기성전 안내문. 기성전은 행주기씨, 청주한씨, 태원선우씨 등이 원조로 하고 있는 기자조선개국조(箕子朝鮮開國祖)인 태조 문성대왕(文聖大王: 箕子)의 영정을 봉안하고 대왕제(大王祭)를 봉행하는 사당이다. 고종황제 광무3년(1899년)에 행주기씨 지평공파 곡성문중이 창건하였으나 화재로 소실(1930년대로 추정)된 후 1959년에 다시 신축하여 1960년부터 매년 음력 3월 2일에 대왕제(大王祭)를 봉행하고 있다. 문성대왕의 47세손인 마한왕 기훈이 아들 우성, 우평, 우량에게 기(奇), 한(韓), 선우(鮮于)의 姓을 하사하셨다. 건물은..

발길을 따라 2022.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