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윤씨 10

전남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永慕堂) 전남 민속문화재 제28호.

영모당 입구에 세워진 해남윤씨천(海南尹氏阡) 표지석.   해남윤씨 영모당 안내표지판.   최근에 건립된 해남윤씨 충혼탑.   해남윤씨 충혼탑.   해남윤씨 충혼탑을 세우며...   충혼탑 건립 헌성금록.    해남윤씨 영모당(海南尹氏 永慕堂) 전경.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8호. (1990년 02월 24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해강로 577-36 (계라리 707)   해남윤씨 문중의 제각(祭閣)으로 조선 숙종 13년(1687)에 지은 것이다. 해남윤씨의 묘소가 모여 있는 곳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며, 윤광전· 윤단봉· 윤단학 3부자를 제향하고 있다. 순조 12년(1812)에 일부 보수하였고, 최초의 건물은 1970년대에 보수하였다. 영모당, 행랑채, 바깥 행랑채 등 제례에..

문화재 탐방 2024.08.19

전남 강진. 해남윤씨. 명발당(明發堂)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

강진. 명발당(明發堂)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 (2009년 2월 2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항촌리 601 (항촌안길 9-1)    다산 정약용 선생의 외손자인 방산 윤정기 선생이 태어난 명발당이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로 2009년 2월 2일 지정되었다.  명발당은 해남윤씨 22세의 윤광택(尹光宅 1732.2.25-1804.12.13)이 남긴 건물로서 부친이 극효, 조부가 홍좌(1686-1738)이고 윤이면은 증조가 된다. 도암 항촌에서 태어나 자수성가하였으며 마을의 증흥조이다. 그가 남긴 자취는 명발당(明發堂), 항재(航齊), 서재동, 영모재, 의장(義庄), 생활의 규범, 남긴 말 등에 있다.태어난 항촌은 1923년에 간행된 강진군지의 61개 명지이며 도암은 귀라, 대치. ..

문화재 탐방 2024.08.16

전남 강진. 다산초당(茶山草堂)

정다산 유적 안내판. 다산 정약용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실학을 집성한 유적지(사적 제107호)    *소재지: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103-3.   다산초당으로 가는 오솔길.   해남윤씨 합장 묘. 다산초당으로 오르는 길목에 봉분을 보게 되는데 과거에는 볼 겨를없이 지나갔는지 묘역을 본 기억이 희미하다.    다산 서암(茶山 西菴)   다산초당(茶山草堂)   다산초당 안내문.   다산 정약용 선생 유상(茶山 丁若鏞 先生 遺像)   정석(丁石)다산이 직접 새겼다고 전해지는 정석은 다산초당의 제1경이다. 아무런 수식도 없이 자신의 성(姓)인 정(丁)자만 따서 새겨 넣는 것으로 다산의 군더더기 없는 성품을 그대로 보여준다.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연못 한 가운데 돌을 쌓아 만든 산이다. 다산은 원래 있..

문화재 탐방 2024.06.24

전남 해남. 해남윤씨 재실(추원당)

북일 금당 해남윤씨 재실. 해남군 향토유적 제15호. (2009.09.30. 지정) 북일 금당 해남윤씨 재실은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에 있다. 2009년 9월 30일 해남군의 향토문화유산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전남 해남군 북일면 금당리 515-2 (금당길 38-14) 해남윤씨 재실 행랑채의 솟을대문. 관경문(觀敬門) 해남윤씨 재실은 추원당과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중부지방 가옥형태인 ㅁ자형을 하고 있다. 추원당은 정면3칸, 측면 2칸으로 현판글씨는 근대 서예가이며 호남의 명필로 유명한 동양 이수형의 글씨다.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로 활주를 지붕의 사귀에 세웠고, 기둥에는 주련을 판각하였다, 사당은 오량집으로 되어 있고 기둥의 도리와 장여 등은 근대건축물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출입문..

문화재 탐방 2023.04.22

전남 해남. 사적 제167호. 녹우당(綠雨堂)

녹우당 전경. 사적 제167호(1968.12.19) *주소: 전남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 135 (연동리) 녹우당(綠雨堂)은 고산 윤선도가 살았던 집으로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3)이 연동에 터를 정하면서 지은 15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집터 뒤로는 덕음산을 두고, 앞에는 벼루봉과 그 오른쪽에 필봉이 자리잡고 있는 명당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마당인데, 앞면에 사랑채가 있고 서남쪽 담 모퉁이에는 조그마한 연못이 있다. 사랑채는 효종이 윤선도에게 내려준 경기도 수원에 있던 집을 현종 9년(1668)에 이곳에 옮긴 것이다. 사랑채 뒤 동쪽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ㄷ'자형으로 자리잡고 있다. 사당은 안채 뒤 동쪽 담장 안에 한 채가 있고 담장 밖에 고산사당과 어초은..

문화재 탐방 2023.04.13

전남 강진. 강진 향토문화유산 제32호. 명발당(明發堂)

강진. 명발당(明發堂)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 (2009년 2월 2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항촌리 601 (항촌안길 9-1) 다산 정약용 선생의 외손자인 방산 윤정기 선생이 태어난 명발당이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로 2009년 2월 2일 지정되었다. 명발당은 해남윤씨 22세의 윤광택(尹光宅 1732.2.25-1804.12.13)이 남긴 건물로서 부친이 극효, 조부가 홍좌(1686-1738)이고 윤이면은 증조가 된다. 도암 항촌에서 태어나 자수성가하였으며 마을의 증흥조이다. 그가 남긴 자취는 명발당(明發堂), 항재(航齊), 서재동, 영모재, 의장(義庄), 생활의 규범, 남긴 말 등에 있다. 태어난 항촌은 1923년에 간행된 강진군지의 61개 명지이며 도암은 귀라, 대치. 귤동, 지..

문화재 탐방 2023.04.04

전남 해남. 윤태현 생가와 윤두서 묘역.

해남 백포 윤태현 생가. *주소: 전남 해남군 현산면 백포길 118. 백포 윤태현은 공재 윤두서 9대손이며 (주) 크라운제과 창업자이다. 윤태현 생가는 윤두서 고택의 뒷편에 자리하고 있으며 윤태현 생가 윗쪽에는 윤두서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공재공 9대손 (주) 크라운 제과 창업자 백포 윤태현 생가 표지석. 윤태현 생가 문간채. 윤태현 생가 안채. 후손이 거주하는 것 같으나 인기척이 없었다. 윤태현 생가. 윤태현 생가. 윤태현 생가 뒷편에서... 공재 윤두서 묘역. 공재 윤두서 묘역은 윤두서 고택에서 바로 뒷집으로 자리한 윤두서 9대손의 윤태현 생가 윗쪽 동산에 자리하고 있어 해남 현산면 백포마을에 들리면 공재 윤두서를 비롯하여 9대손 윤태현 생가와 윤두서 묘역을 동시에 둘러 볼 수가 있다. 정면에서 본..

발길을 따라 2023.03.07

전남 해남. 중요민속문화재 제232호. 윤두서 고택(古宅)

윤두서(尹斗緖) 고택 전경. 중요민속문화재 제232호. 소재지: 전남 해남군 현산면 백포길 122.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인 공재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살던 집이라고 한다. 윤두서는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과 함께 조선 후기의 3재로 일컬어지며, 고산 윤선도(1587∼1671)의 증손자이다. 윤선도가 풍수지리상 명당터에 이 집을 지었으나, 바닷바람이 심해 다른 곳으로 옮기고 증손인 윤두서가 살게 되었다고 한다. 지은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현종 11년(1670)에 지어 후에 윤두서가 살게 되었고 순조 11년(1811)에 수리한 것으로 보인다. 지을 당시에는 문간채와 사랑채 등 48칸 규모였다고 하나, 지금은 안채와 곳간채· 헛간· 사당만이 남아있다. ㄷ자형의 안채는 지붕 옆면이 사람 인'(..

발길을 따라 2023.03.06

전남 강진. 강진 향토문화유산 제32호. 명발당(明發堂)

강진. 명발당(明發堂)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 (2009년 2월 2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항촌리 601 (항촌안길 9-1) 다산 정약용 선생의 외손자인 방산 윤정기 선생이 태어난 명발당이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32호로 2009년 2월 2일 지정되었다. 명발당은 해남윤씨 22세의 윤광택(尹光宅 1732.2.25-1804.12.13)이 남긴 건물로서 부친이 극효, 조부가 홍좌(1686-1738)이고 윤이면은 증조가 된다. 도암 항촌에서 태어나 자수성가하였으며 마을의 증흥조이다. 그가 남긴 자취는 명발당(明發堂), 항재(航齊), 서재동, 영모재, 의장(義庄), 생활의 규범, 남긴 말 등에 있다. 태어난 항촌은 1923년에 간행된 강진군지의 61개 명지이며 도암은 귀라, 대치. 귤동, 지..

문화재 탐방 2023.02.04

전남 강진. 윤복 신도비 & 영모당

윤복 신도비(尹復 神道碑) 입로석. 전라남도 기념물 제203호. (2002년 4월 19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용흥리 산23-23번지. 이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행당 윤복(1512∼1577)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윤복은 전남 해남에서 윤효정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중종 33년(1538) 문과에 급제해 성균관 학유, 전적, 예조정랑, 사헌부 장령, 승정원 좌부승지 등을 지냈고 외직으로는 부안현감, 광주목사, 안동대도호부사 등을 지냈다. 그는 학문이 깊었고 곧은 성품으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호남사림의 한 축을 형성한 인물로서 관인의 생활사 자료를 기록 『전라도도사시일록(全羅道都事時日錄)』,『은대일록(銀臺日錄)』으로 남기기도 하였다. 특히 안동도호부사로 재임시 퇴계선..

문화재 탐방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