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문 이선제 2

전남 강진. 광산이씨. 수암서원(秀巖書院) 전남 기념물 제39호.

동령마을로 들어서는 입구에 세워진 수암서원 통로(秀岩書院 通路) 안내석. 전라남도 기념물 제39호.(1979.08.03. 지정)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동령길 51 (수양리 288)  수암서원(秀岩書院)은 이선제·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 등 5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이선제는 본관은 광산, 자는 가부, 호는 필문이다. 1419년(세종 1) 문과에 급제한 후 세자빈객,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 때는 정인지 등과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세종실록』편찬과 『고려사』의 내용 중 사실과 다른 점을 고쳐서 편찬하는 일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 등은 모두 이선제의 자손으로 여러 벼슬을 하였던 분들이다. 인조 2년(1624)에 세운 이 ..

문화재 탐방 2024.08.12

광주 남구. 광주시 기념물 제24호. 괘고정수(掛鼓亭樹)

필문 이선제 신도비(畢文 李先齊 神道碑) 괘고정수로 들어서는 입구에 자리한 필문 이선제 신도비이다. 필문 이선제 신도비. 괘고정수(掛鼓亭樹)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4호. (1998년 5월 7일. 지정)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579-3. 괘고정수(掛鼓亭樹)는 광주시 남구 원산동 만산마을 입구에 있는 왕버들이다. 이 정자는 실존건물이 아닌 노거수로 이 나무를 가리켜 정(亭)이라 한 것은 원래 광산이씨 중조인 필문 이선제(畢門 李先齊; 1389∼1454)가 손수 심은 것으로 그 모양이 정자의 지붕처럼 뚜렷하고 또 피서의 적지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을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한다. 높이가 약 15m 가량이며, 가슴 높이의 직경은 약 1.7m 정도이다. 수관(樹冠)의 너비는 13m 내외로 수령은 ..

문화재 탐방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