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 3

전남 무안. 죽헌정(竹軒亭)

무안. 죽헌정(竹軒亭) *죽헌정은 양림사 바로 위쪽에 자리하고 있다.  *소재지: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수양길 145-1 (매곡리 806-3)    조선 중기 문인 죽헌((竹軒)) 박염(朴恬: 1525~1603)이 1544년(중종 39)에 학행으로 천문습독과 군자감판관에 제수되었다가 이듬해 을사사화로 어진 선비들이 화를 당하는 것을 보고 낙향하여 지은 정자이다. 박염은 단종복위운동에 참여한 박익경(1438~1520)의 증손이며, 모재 김안국(1478~1543)의 문인이다.  하서 김인후(1510~1560), 규암 송인수(1487~1547), 미암 류희춘(1513~1577)과 교류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늙음을 자탄하고 장남인 경록(1572~1647)에 명하여 군량을 조중봉의 휘하에 원조하였고, 아..

발길을 따라 2025.03.05

전남 무안. 평산사(平山祠) 향토문화유산 제9호.

평산사(平山祠)와 평천정사(平川精舍) 최익현·기우만·박임상 유학자를 모신 사우.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9호.(제작연도: 1945 /2009.4.19)  *주소: 전남 무안군 현경면 원평산길 62-10.   평산사(平山祠)는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에 있으며 2009년 4월 16일 무안군의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최익현·기우만·박임상 등 3명의 유학자를 모신 사우로 1945년 건립되었다.박임상(朴琳相, 1864~1944,무안출생)은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제자 수 십 명을 규합하여 최익현(위정척사 계열)의 진에 참여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후 지도 두류(智島 頭流)에 단(壇)을 설치하고 이항로·기정진·김평묵·최익현 등 네 스승의 위패를 봉안하여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그 후 최익현과 기우만 선..

문화재 탐방 2025.01.08

전남 장흥. 수원백씨. 백수장(白壽長) 별묘(別廟)

입구에 일곡선생 백공 행적비가 세워져 있다.일곡선생이 백씨인줄 알겠으나 어떤 인물인지 자세히는 모르겠음.  정해군(貞海君) 백수장(白壽長) 별묘(別廟)와 진수재(進修齋)  *주소: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금길 24-62 (상금리 579)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 579 (상금길 24-62)에는 조선 중종 때 공조판서를 지낸 정해군(貞海君) 백수장(白壽長)의 별묘가 위치한다. 수원백씨 후손들의 세거지인 용산면 상금마을 진수재(進修齋) 좌측 위에는 별묘(別廟)가 있다.  백수장(白壽長)의 행장을 살펴본다. ◆백수장(白壽長: 1469~1543년) : 수원人으로 자는 팽조(彭祖)이다. 평택·연기현감을 지내고 호조판서에 추증된 백맹하(白孟夏)와 배(配) 증(贈) 정부인(貞夫人) 공주이씨 아들로 장흥군 안양면 동..

발길을 따라 2024.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