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찰 2

전남 영암. 축성암(祝聖庵)

축성암 극락보전.  주소: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1841-1번지. 축성암은 1920년대 일제초기에 창건된 전통사찰로서 목포시에 인접한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일대가 1990년대초 한라조선소 조성단지로 편입되면서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1.5㎞ 떨어진 현 장소로 1994년 이전하였다.  한지에 묵서한 조성발원문(가로 118㎝×세로 26㎝)에 따르면 1700년(숙종 26) 해남 성도암에서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 웹사이트 -  아미타삼존불.  관세음보살.  나반존자.  칠성단.  신중단.  대웅보전.  영암 축성암 목조 나반존자상 안내문.靈巖 祝聖庵 木造 那畔尊者像 안내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0호. 나반존자상은 소발의 머리에 상호는 원만하며, 눈과 코 입 등이 사실..

한국의 절집 2024.06.12

전남 영암. 전통사찰. 축성암(祝聖庵)

축성암 극락보전. 주소: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1841-1번지. 축성암은 1920년대 일제초기에 창건된 전통사찰로서 목포시에 인접한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일대가 1990년대초 한라조선소 조성단지로 편입되면서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1.5㎞ 떨어진 현 장소로 1994년 이전하였다. 한지에 묵서한 조성발원문(가로 118㎝×세로 26㎝)에 따르면 1700년(숙종 26) 해남 성도암에서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 웹사이트 - 아미타삼존불. 관세음보살. 나반존자. 칠성단. 신중단. 대웅보전. 영암 축성암 목조 나반존자상 안내문. 靈巖 祝聖庵 木造 那畔尊者像 안내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0호. 나반존자상은 소발의 머리에 상호는 원만하며, 눈과 코 입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한국의 절집 20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