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운 2

종재격(從財格)

종재격(從財格) 종재격은 사주의 전부 혹은 대부분을 재성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따라서 인성과 비겁운은 흉하고 재나 관살운은 길하다.식상운도 재성을 생해주므로 길하다. 종재격은 운의 흐름에서 식상을 만나면 크게 길하다.또한 운의 흐름에서 비겁이 있어도 식상이 비겁의 기운을 설기시켜재를 생하므로 흉하지 않게 운세가 넘어간다. 종재격은 사주에 식상이 있으면 공명을 떨칠 수 있고 일생을 통해크게 흉한 일을 당하지 않는다. ​상관       편인 편재 乙    壬    庚    丙 巳    午    寅    寅편재 정재 식신 식신 월지와 일지는 인오 반합 화국으로 사주의 대부분이 화기인 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종재격이다.월간 경금은 본시 인성인데 년간 병화의 극을 받아 인성의 역할을 못하고 있다.또한 시..

격국 이야기 2025.04.15

고관무보(孤官無補)

고관무보(孤官無補) 고관무보(孤官無補)란 외로운 정관(正官)을 도울 재성이 없거나 또는 合去되어 無氣力할 때를 말한다. 이런 경우에는 응당 정관(正官)을 돕는 재생운(財星運)을 기다린다. 乙 戊 丁 壬 卯 申 未 戌 (자평진전 例示 사주) 미중(未中) 을목(乙木) 투출(透出)로 정관격(正官格)이다. 지지(地支) 합(合)까지 있어 귀격(貴格)으로 갈 수 있었으나 정관(正官)을 도와야 할 임수(壬水)가 정임(丁壬) 합(合)으로 무기력(無氣力)하다. 벼슬이 칠품(七品)으로 그쳤다. - 벽수 - 乙 戊 丁 壬 卯 申 未 戌 위 명조는 未月 本氣에 出生했는지 아니면 餘氣에 출생했는지 현재로써는 알 수가 없으나 本氣生(正氣生)으로 해석하겠습니다. 1. 戊土 日干이 未月에 생하여 劫財(羊刃)格이다. 위에서는 未月에 ..

명리학 연구 202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