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임씨 3

전남 장흥. 장흥임씨. 공예태후 전설지. 아지정(娥池亭)

장흥. 아지정(娥池亭) 전경.    *장흥임씨 공예태후 언니의 애달픈 사연이 깃든 아지(娥池)이야기.    *주소: 전남 장흥군 관산읍 당동길 6-25.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당동마을은 고려 17대 인종의 왕비로 간택된 공예태후 임씨의 친정마을입니다.장흥 관산의 임원후(1089~1156) 둘째딸로 훗날 고려 3왕의 어머니인 공예태후가 됩니다. 공예태후가 왕비에 간택된 데는 꿈 이야기가 있는데, 공예태후는 비단 한 필로 꿈과 바꾸어 고려의 왕비가 되는 이야기입니다. 원래는 인종의 왕비로 간택된 분은 임원후의 첫째 딸이었습니다.그런데 둘째딸이 왕비가 된 사연과 아지의 전설을 살펴봅니다. 언니는 왕비의 간택을 기다리며 보내는 어느 날 밤 우연찮게 이상한 꿈을 꾸게 됩니다.바구니를 가지고 친구들과 산나물..

발길을 따라 2024.10.25

전남 해남.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22호. 운곡사(雲谷祠)

해남. 운곡사 영모당 전경.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22호. (2011년 12월 29일 지정) 소유: 장흥임씨 문숙공파. *주소: 전남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678번지. 해남 운곡사 영모당은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운곡사에 있는 사우이다. 2011년 12월 29일 해남군의 향토유적 제22호로 지정되었다. 운곡사는 1946년 예양사에서 분단된 장흥임씨(長興任氏) 사우(祠宇)이다. 이 중 영모당(永慕堂)으로 이름 한 이 건물은 서기 1918년 옛 사우를 중수한 것으로 건물은 목조기와 건물 4채를 세로로 배치하였고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옆면은 팔자 모양이고 팔작지붕 형식으로 지역 특유의 제작 양식을 잘 갖추고 있다. 운곡사에는 1명의 효자와 6명의 임진왜란 공신(임근, 임희진, 임자영, 임영길..

문화재 탐방 2023.04.20

전남 해남. 임달유 정려문 및 고부이씨 효열비

임달유 정려문. 任達儒 旌閭門. *주소: 전남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900 (태인길 2) 장흥임씨 임달유(任達儒) 정려문(旌閭門) 이 건물은 임달유(任達儒)의 탁월한 효행(孝行) 사실을 표창하여 길이 전하고 후세들의 귀감(龜鑑)이 되게 하고자 세운 정려문(旌閭門)이다. 공(公)의 자(字)는 영유(永有)요, 호(號)는 묵암(默巖)인데 서기 1829년(순조29) 11월 25일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에서 태어나셨다. 어려서부터 효행이 남달리 출중(出衆)하여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 부모님 입에 맞고 몸에 좋으며 마음과 뜻에 맞게 음식을 만들어 봉양하였고 부친(父親)께서 돌아가시자 곡읍(哭泣)함에 있어 몸이 지치도록 하여 이를 지켜보는 주위 사람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하였다. 부친의 묘(墓)를 보살피기 위하여 묘 옆에..

발길을 따라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