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 21

전남 장흥. 장흥마씨. 충현사(忠顯祠)

충현사 경모당 외문(숭의문)   *소재지: 전남 장흥군 안양면 학송길 35-5 (학송리 614)   *충현사(忠顯祠) : 전남 장흥군 안양면 학송리에 있는 장흥마씨 제각.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을 도와 순국한 마하수 장군과 그 아들 마성룡, 마위룡 형제 등 3부자를 모심.    숭의문 앞에 세워진 2기의 공적비.   경모당 외문(숭의문) 숭의문(崇義門)은 1997년(丁丑) 중건확장하였다.   경모당 전경. 강당인 경모당(景慕堂)은 1917년(丁巳) 중수하였다. 후손 강학과 문중의 중요 행사를 주관하는 장소이다. 근래부터 10월 선조 묘전 시제는 묘소 진입로에 잡목이 우거져 진출입에 불편이 따르고, 도시에 거주하는 후손들이 제향에 참여가 적은 환경에서 불가피하게 묘전에서 제향을 봉행하지 못하고 경모당에서..

발길을 따라 2024.12.04

전남 강진. 한양조씨. 주봉서원(胄峰書院)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주봉서원(胄峰書院)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2004.11.01)  *소재지: 전남 강진군 옴천면 장강로 1785-3 (영산리 381-16)  주봉서원(胄峰書院)은 옴천면 영산리 계원마을에 있다. 조선시대 암행어사를 지낸 정치가요 문장가인 계음(溪陰) 조팽년(趙彭年, 1549∼1612) 선생과 정조 때 성균관 교수를 지냈던 덕림(德林) 조규운(趙奎運, 1725∼1800) 선생을 제향하고 있다.  주봉서원은 1624년(인조 2년) 도내 유림들이 주봉산 아래에 있는 기좌리 좌척마을에 세웠었으나 1868년 서원 훼철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유림들의 발의로 1965년 다시 터전을 마련하게 됐다.  옴천면 황곡에서 태어난 조팽년 선생은 1593년 임진왜란 때 암행어사로 지방을 순찰하던 중 상소를 올려 억울한 누..

문화재 탐방 2024.08.07

전남 영암. 김해김씨. 충효사(忠孝祠) 김극희 장군 사당

충효사. 김극희 장군 사당. 국가지정 문화재 제209호. *소재지: 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산2. 충효사는 김해김씨 김수로왕 58세손인 김극희 장군의 묘소와 유물을 간직한 곳으로 국가지정 문화재 제209호로 지정되었고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을 도와 한산도대첩과 명랑대첩에서 큰 전공을 세우고 순국하신 김극희(金克禧: 1532~1598)장군과 그의 아들 김함(金涵) 장군의 사우와 묘역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 참조 / 영암군 홈페이지 - 정의문(외삼문) 정의문(正義門) 현판. 송성룡 서. 충효사 안내도와 안내문. *안내도는 퇴색되어 희미하다. 충효사 안내문. 김극희장군 유물 전시관. *문이 잠겨있어 일반인들은 관람할 수가 없었다. 관리사. *행원당과 충효사로 들어가려면 이 관리사에서 우측 협문을 통하여..

문화재 탐방 2024.03.25

전남 나주. 금성나씨. 소충사(召忠祠). 전남 기념물 제26호.

소충사(召忠祠) 금성나씨. 체암 나대용 장군 사우. 전라남도 기념물 제26호. *주소: 전남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산 35-2. 소충사(召忠祠)는 해상 전투력 강화를 위해 노력한 나대용(羅大用)의 충절정신을 기리기 위해 1977년에 건립되었으며 매년 4월 21일 과학의 날에 추모제를 거행하고 있다. 체암(遞菴) 나대용((羅大用: 1556∼1612) 장군은 선조 16년(1583) 무과에 합격한 후 군함 연구에 관심을 갖고 10여 년 간 거북선을 연구 제작 실험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선조 24년(1591) 이순신 장군을 찾아가 거북선 제작을 협의하고 3척을 처음 진수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해전, 명량해전, 노량해전 등에서 커다란 공을 세웠으며, 임진왜란 후에는 새로운 전함인 창선과 ..

문화재 탐방 2024.02.05

전남 나주. 금성나씨. 체암 나대용 장군 생가. 전남 기념물 제26호.

체암 나대용 장군 생가. 금성나씨 가옥. 전라남도 기념물 제26호. *주소: 전남 나주시 문평면 오륜길 28-5. 조선 선조 때의 유명한 장군인 체암(遞菴) 나대용(羅大用: 1556∼1612)의 생가와 묘소가 있는 곳이다. 선조 16년(1583) 무과에 합격한 후 군함 연구에 관심을 갖고 10여년간 거북선을 연구 제작 실험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선조 24년(1591) 이순신 장군을 찾아가 거북선 제작을 협의하고 3척을 처음 진수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해전, 명량해전, 노량해전 등에서 커다란 공을 세웠으며, 임진왜란 후에는 새로운 전함인 창선과 쾌속정인 해추선을 발명하였다. 1611년 경기수군을 관할하는 교동수사에 임명되었으나 전쟁 때 입은 상처가 도져서 부임하지 못하고 1612년..

문화재 탐방 2024.01.31

전남 나주. 이용제 정려각(李容濟 旌閭閣)

후조당 이용제 정려각 전경.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32호. (2013.11.11 지정) *소재지: 전남 나주시 세지면 교산리 420-2. 후조당 이용제 정려각 안내문. 후조당 이용제 정려각(後凋堂 李容濟 旌閭閣)은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교산리 420-2번지에 있는 정려이다. 2013년 11월 11일 나주시의 향토문화유산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이용제(1565~1741) 정려각은 1741년 충신 정려를 받은 지 56년 후에 건립하였다. 이용제 장군은 본관이 전의이씨이며 호(號)는 후조당(後凋堂)으로 정려가 있는 발산마을에서 태어나 1591년 무과에 급제한 뒤 4년 후 흥덕현감으로 부임하고,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이순신 장군 휘하의 삼도수군 통제영에서 활약했다. 도원수 권율이 선조에게 올린 장계에..

발길을 따라 2023.09.07

전남 해남. 충장공 정운 장군 신도비 및 묘소

최근에 건립된 충장공 정운 장군 신도비. 전남 해남군 삼산면 오소재로 500 (평활리 6-3) 오소재민박에서 오소재 약수터 방향으로 약 400미터쯤 오르다 보면 우측으로 묘소 이정표가 보인다. 충장공 정운장군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 3년(1570)에 과거에 급제하여 웅천현감 등을 지냈으며,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큰공을 세웠으며 9월 부산포해전에서 전사하였다. 충장공 정운 장군 신도비. 신도비 건립 헌금 명세. 정운 장군 시집. 충장공 정운 장군의 묘 표지판. 입구에 하동정씨 세장산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충장공 정운 장군 부부 묘소. 필자가 촬영한 날짜는 추석 명절 전으로 벌초가 되지 않았는데, 그 후 벌초가 되었으리라 사료됩니다. 정운 장군 옛 묘비..

발길을 따라 2023.03.09

전남 해남. 전남 기념물 제76호. 정운 충신각(鄭運 忠臣閣)

정운 충신각 입비 (鄭運 忠臣閣 立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76호. 주소: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 산 19. 임진왜란 때 충신인 충장공 정운 장군의 공(功)을 기리기 위해 세운 각(閣)이다. 충장공 정운 장군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 3년(1570)에 과거에 급제하여 웅천현감 등을 지냈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큰공을 세웠으며 9월 부산포해전에서 전사하였다. 이 각(閣)은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정충보국의 사적 입석. 하동정씨 직장공파에서 세운 정충보국의 사적 입석 후면. 정운 충신각 입구. 정운 충신각 안내문. 충절사(忠節祠) 충절사 내부. 입구에 문이 잠겨있어 담장 밖에..

문화재 탐방 2023.03.08

경남 고성. 숭충사(崇忠祠)

숭충사(崇忠祠) *주소: 경남 고성군 회화면 당항만로 1116 (당항포 관광단지 내) 충무공을 이순신 장군을 추모하기 위하여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본당과 내·외삼문으로 건축되어 있으며 매년 4월 23일 당항포 대첩 제전향사가 봉행되고 있다. 본당은 목조 한식기와 팔작지붕층은 다포식 건물이고, 내·외삼문은 초립공 소슬대문이고 안진문, 추광문은 충무공의 시문에서 인용하였습니다. 충무공 영정은 당초에는 일봉 왕사조 화백 작품으로 모셨으나 1996년 11월 표준 영정으로 교체하였다. 표준 영정은 1953년 아산 현충사에 봉안된 월전 장우성 화백의 인물화로써 장우성 화백은 충무공을 문인으로 그린 것이 다른 영정과 차이점입니다. 1592년과 1594년 충무공 이순신이 당항포에서 거북선을 앞세우고 두 차례 왜..

이순신 유적 2022.11.19

경남 남해. 이순신 영상관

이순신 영상관. *주소: 경남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 107 (남해대로 3829) 남해 이순신 영상관은 이락사 바로 옆에 거북선 모양의 건물로서 내부에는 영상관과 전시관으로 나누어졌다. 영상관 관람 소요시간은 약 30분가량이며 영상관과 전시관을 동시에 관람하는 관람료는 3,000원이며 전시관이나 영상관 한 곳만 관람하려면 1,500원이면 된다. 영상관 관람은 생략하고 전시관만 둘러보기로하고 전시관으로 들어섰다. 이순신 장군 영정. 영상관 건물로 들어서면 1층에서 지하로 내려가는 입구에 이순신 장군의 영정이 자리하고 있는데 다른 곳에서 본 영정보다 더 근엄하고 엄중해보인다. 전시관 규모는 그리 크지는 않으나 여수 진남관이나 해남 우수영에서 볼 수 없었던 조선수군제복을 비롯하여 명 수군과 왜 수군 제복. 그리..

이순신 유적 202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