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15

전남 무안. 강화노씨. 충신각(忠臣閣) 향토문화유산 제19호.

충신각(忠臣閣) 강화노씨 사우(江華魯氏 祠宇)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19호. (지정일: 2020년 12월 21일/ 창건일: 1893년)  *주소: 전남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 1205번지.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에 있는 충신각은 입향조인 노추소의 아버지인 임진왜란 공신 이우당(二憂堂) 노춘근(魯春根)을 모신 정려이다. 충신각에 배향된 노춘근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집안의 종을 이끌고 이순신 휘하에 들어가 당포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해전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왜적과의 전투 과정에서 화살이 떨어지자 적장을 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어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충신각은 출입문인 삼문과 정려각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정..

문화재 탐방 2025.02.05

전남 강진. 염걸장군 묘소(廉傑將軍 墓所) 전남 기념물 제36호.

염걸장군 묘소.  전라남도 기념물 제36호.    *소재지: 전남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 산61번지.   임진왜란 때 큰공을 세운 염걸장군의 묘이다. 장군은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나고 힘이 세었으며 크면서 말타기와 활쏘기를 익혀 그 재주가 비범하였다고 한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전쟁에 나가 왜구를 무찌르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 후 이순신 장군 아래 들어가 몰운대(歿雲臺)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수문장(守門將)에 올랐으나, 거제도 해전에서 왜구에 맞서다 전사하였다. 선조는 장군이 전사한 후 병조판서로 벼슬을 높여주었다. 묘역은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에 있으며 봉분은 높이 1.5m 둘레 15m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염걸 장군 묘소 안내문.   염걸 ..

문화재 탐방 2024.09.02

전남 강진. 충효사와 염걸장군 전승기적비.

충효사(忠孝祠)   *소재지: 전남 강진군 대구면 정수사길 403.  *충효사라는 이름으로 세워진 사당이 전국적으로 여러 곳이 있는데, 강진 충효사는 사찰 정수사 바로 앞 주차장 부근에 부속건물도 담장도 없이 달랑 사당만 갖추고 있다. 충효사 사당 앞에는 염걸장군의 전승기적비가 사당을 지키고 있다.   충효사(忠孝祠)  정수사 주변 계곡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과 일본군간에 격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당시 전투에 참여했던 염걸 등 의병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정수사 주지 스님이 2003년에 정수사 입구에 염걸장군 전승기적비(파주 염씨 임란사충 전적비)를 세웠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염걸(廉傑, 1545~1598)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두 동생과 아들을 불러 나라의 위급을 구하는 길은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

발길을 따라 2024.08.30

전남 강진. 양건당 충효사적비 & 의마총.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20호.

양건당 황대중 충효사적비. 주변 환경이 볼상 사납게 되어있다.  ▶소재지: 전남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436-5.  장수황씨 양건당공 휘대중충효사적비.長水黃氏 兩蹇堂公 諱大中忠孝史蹟碑.  양건당(兩蹇堂) 황대중(黃大中, 1551~1597)은 양정공 황사효(黃事孝)의 증손이며, 황윤정(黃允禎)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효건(孝蹇)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성장해서는 참봉에 천거되었다. 임진왜란 때 장사로 뽑혀 전투에 참여했으며, 병사 황진(黃進, 1550~1593)을 따라 진주성 전투에 참가했다.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성이 함락될 때 성을 빠져나온 그는 삼도 수군통제사 이순신 휘하에 들어가 활약했다. 이순신의 진중에서 활약하던 중 일본군의 총탄이 오른쪽 ..

문화재 탐방 2024.08.21

전남 나주. 최희량 장군 신도비 및 무숙사.

최희량 장군 신도비. (崔希亮 將軍 神道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53호. (1981.10.20. 지정) *주소: 전남 나주시 다시면 가흥리 369 1981년 10월 20일 전라남도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다. 1901년(광무 5)에 최희량 장군의 공을 추모하기 위하여 그의 후손이 건립하였다. 최희량(崔希亮) 장군의 본관은 수원(水原) / (수성:隋城), 자는 경명(景明), 호는 일옹(逸翁), 시호는 무숙(武肅)이다. 신도비가 있는 나주군 다시면 가흥리에서 태어났다. 1594년(선조 27)에 무과에 급제, 선전관이 되었다. 1597년 임진왜란 때 흥양현감으로 이순신 아래에서 큰공을 세웠다. 또 적에게 포로가 된 신덕희(申德希) 외 700여 명을 생환시키기도 하였다. 이순신이 전사한 뒤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문화재 탐방 2023.10.06

전남 나주. 고흥유씨. 장춘정(藏春亭) 전남 기념물 제201호.

통정대부도의부사 장춘유공유장비. 通政大夫都議府使 藏春柳公遺庄碑. 나주. 장춘정(藏春亭) 전라남도 기념물 제201호. (2002.04.19. 지정)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969 (화동길 13-10) 장춘정(藏春亭)은 마을 가까이의 경승지에 건립된 유실형(有室形) 정자이다. 처음 건립은 1561년(명종 16)에 고흥유씨 장춘(藏春) 유충정(柳忠貞: 1509∼1574)이며, 1818년(순조 18)과 1930년에 중수한 건물로서 건립연대가 오래되었으며, 옛 모습을 잘 보전하고 있다. 유충정은 고흥유씨로 1534년(중종 29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강진현감, 김해부사 등을 지내며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뒤에 벼슬을 버리고 만년에 향리로 돌아와 이 정자를 지었다. 그는 부안 현감으로 재직시절, 서해..

문화재 탐방 2023.08.28

전남 영암. 밀성박씨. 삼충사(三忠祠)

영암. 밀성박씨 삼충사. *소재지: 전남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 107 (쌍정월비길 29-13) 1919년 세 명의 충신을 기리기 위해 삼충려(三忠閭)를 창건하였는데 1939년 훼철(毁撤)되었다. 광복 후에 다시 삼충사(三忠祠)를 세우고 박광춘(朴光春: 1550~1608)을 주벽으로 박광년, 박계원을 배향하였다. 박광춘의 자는 해화(海華), 호는 읍천(읍川), 본관은 밀양이며 전라남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이지함(李之涵)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며 공양 군수를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에 진주에서 이순신을 따라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워 선무원종일등훈(宣武原從一等勳)에 책록되었다. 박광년(朴光年: 1552~1621)은 박광춘의 아우로 자는 여중(汝中), 호는 월계(月溪)이다. 임진왜란 때 평양에서 임금의 어가..

발길을 따라 2023.07.01

전남 강진.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주봉서원(胄峰書院)

주봉서원(胄峰書院)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2004.11.01) *주소: 전남 강진군 옴천면 장강로 1785-3 (영산리 381-16) 주봉서원(胄峰書院)은 옴천면 영산리 계원마을에 있다. 조선시대 암행어사를 지낸 정치가요 문장가인 계음(溪陰) 조팽년(趙彭年, 1549∼1612) 선생과 정조 때 성균관 교수를 지냈던 덕림(德林) 조규운(趙奎運, 1725∼1800) 선생을 제향하고 있다. 주봉서원은 1624년(인조 2년) 도내 유림들이 주봉산 아래에 있는 기좌리 좌척마을에 세웠었으나 1868년 서원 훼철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유림들의 발의로 1965년 다시 터전을 마련하게 됐다. 옴천면 황곡에서 태어난 조팽년 선생은 1593년 임진왜란 때 암행어사로 지방을 순찰하던 중 상소를 올려 억울한 누명을 쓴..

문화재 탐방 2023.01.19

전남 강진. 염걸장군 묘소(廉傑將軍 墓所)

염걸장군 묘소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36호. *주소: 전남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 산61번지. 임진왜란 때 큰공을 세운 염걸장군의 묘이다. 장군은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나고 힘이 세었으며 크면서 말타기와 활쏘기를 익혀 그 재주가 비범하였다고 한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전쟁에 나가 왜구를 무찌르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 후 이순신 장군 아래 들어가 몰운대(歿雲臺)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수문장(守門將)에 올랐으나, 거제도 해전에서 왜구에 맞서다 전사하였다. 선조는 장군이 전사한 후 병조판서로 벼슬을 높여주었다. 묘역은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에 있으며 봉분은 높이 1.5m 둘레 15m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염걸 장군 묘소 안내문. 염걸 장군 묘소 정화비..

발길을 따라 2023.01.16

전남 강진. 염걸장군 묘소(廉傑將軍 墓所)

염걸장군 묘소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36호. *주소: 전남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 산61번지. 임진왜란 때 큰공을 세운 염걸장군의 묘이다. 장군은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나고 힘이 세었으며 크면서 말타기와 활쏘기를 익혀 그 재주가 비범하였다고 한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전쟁에 나가 왜구를 무찌르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 후 이순신 장군 아래 들어가 몰운대(歿雲臺)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수문장(守門將)에 올랐으나, 거제도 해전에서 왜구에 맞서다 전사하였다. 선조는 장군이 전사한 후 병조판서로 벼슬을 높여주었다. 묘역은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에 있으며 봉분은 높이 1.5m 둘레 15m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염걸장군 묘소 안내문. 염걸장군 묘소 정화비. ..

발길을 따라 2023.01.04